보리스 알츠훌러
Boris Altshuler보리스 레오니도비치 알츠훌러 | |
---|---|
Борис Леонидович Альтшулер | |
태어난 | 레닌그라드, 소비에트 연방 | ) 1955년 1월 27일
국적 | 미국인의 |
모교 | 세인트 대학교페테르부르크 레닌그라드 핵물리연구소 |
수상 | 휴렛패커드 유럽물리학상(1993) 올리버 E.버클리 응축 물질상(2003) 라스 온사거상(2022) |
과학 경력 | |
필드 | 응축물리학 |
기관 | 레닌그라드 핵물리연구소 MIT 프린스턴 컬럼비아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레베데프 물리 연구소 |
Boris Leonidovich Altshuler (Russian: Бори́с Леонидович Альтшу́лер, born 27 January 1955, Leningrad, USSR) is a professor of theoretical physics at Columbia University.그의 전공은 이론적 응축물리학이다.
교육과 경력
알츠훌러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주 중등학교 489를 다녔다.1976년 레닌그라드 주립대학에서 물리학 졸업장을 받았다.알츠훌러는 1979년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은 레닌그라드 핵물리학연구소에서 계속 연구했다.알츠훌러는 그 후 10년간 연구원으로 연구소에 머물렀다.[1]
1989년에 알츠훌러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교수진에 합류했다.그곳에서 휴렛팩커드 유럽물리학상(현재의 애질런트물리학상)을 수상하고 미국물리학회의 회원이 되었다.[1]
알츠훌러는 1996년 MIT를 떠나 프린스턴 대학에서 교수직을 맡았다.그곳에 있는 동안, 그는 NEC 연구소에 소속되었다.최근 알츠훌러는 컬럼비아 대학 교수진에 합류해 NEC 연구소와 계속 협력하고 있다.[2]
리서치
알툴러의 응축물리학에 대한 기여는 광범위하고 다양하다.그는 특히 교호작용(Altshuler-Aronov correction)으로 인한 전자 전송에 대한 단수 양자 간섭 보정을 최초로 계산한 무질서한 전자 시스템에 관한 연구로 유명하다.아로노프와 함께 약한 국부화에서 탈(脫)화 이론도 발전시켰다.알트술러는 보리스 슈클로프스키와 협력하여 무질서한 금속의 레벨 반발 이론을 발전시켰다.
보편적 전도변동설에도 크게 기여했다.보다 최근에, 알츠훌러와 이고르 알레이너는 많은 신체 지역화의 새로운 분야를 개척했는데, 그곳에서 그들은 상호작용하는 다체 시스템이 국부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앤더슨 국산화라는 유명한 현상으로부터 하강하는 현상이다.알츠훌러와 알레이너의 후기 업적은 주요 이정표로 널리 평가되고 있으며 그들이 소개한 다체 국산화 작업은 현재 번창하는 새로운 물리학 분야로 발전했다.2016년 독일 뮌헨에서 임마누엘 블로흐 그룹이 다체 국산화 예측 현상을 실험적으로 관찰했다.[3]
수상 및 수상
- 1993년: 휴렛팩커드 유럽생물학상[4]
- 1993: 미국 체육 협회 회원이 됨
- 1996: 미국 예술 과학[5] 아카데미 회원
- 2002년: 국립과학아카데미에[6] 선출
- 2003년: 올리버 E. 버클리상[1]
- 노르웨이의 과학 및 편지[7] 아카데미 선출
- 2017: 디락 메달 (이론 물리학 발전을 위한 디락 메달,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에서 수여)[8]
- 2019: 시몬스 펠로우[9]
- 2022년 미국 물리학회[10] 라스 온서거상
참조
- ^ a b c "2003 Oliver E. Buckley Condensed Matter Physics Prize Recipient". American Physical Society. Retrieved 12 January 2020.
- ^ "MIT Reports to the President 1995-96". MIT. Retrieved 12 January 2020.
- ^ Olivia Meyer-Streng (8 July 2016). "Benchtop cosmology exploits solid-state systems". Phys.org. Retrieved 12 January 2020.
- ^ "Hewlett-Packard Europhysics Prize" (PDF). Europhysics News. Retrieved 12 January 2020.
- ^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A" (PDF).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Retrieved 12 January 2020.
- ^ "Boris L. Altshuler".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Retrieved 12 January 2020.
- ^ "Gruppe 2: Fysikkfag (herunder astronomi, fysikk og geofysikk)" (in Norwegian). Norwegian Academy of Science and Letters. Retrieved 12 January 2020.
- ^ "2018 DIRAC Lecture - Professor Boris Altshuler".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6 November 2017. Retrieved 12 January 2020.
- ^ "Boris Altshuler, Ph.D." Simons Foundation. Retrieved 12 January 2020.
- ^ "Prize Recipient". www.aps.org. Retrieved 2022-01-30.
추가 읽기
- 보리스 알츠훌러 컬럼비아 대학 페이지
- 보리스 알츠훌러 "앤더슨 현지화 50년": 렉처 1, 렉처 2, 렉처 3(2010년 6월, 젤레노고르스크, 상트페테르부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