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르네오 코끼리

Borneo elephant
보르네오 코끼리
Borneo-elephant-PLoS Biology.jpg
과학적 분류 e
킹덤: 애니멀리아
망울: 코다타
클래스: 포유류
순서: 주둥상과
패밀리: 코끼리과
속: 엘레퍼스
종:
아종:
E. m. 보르네시스
삼위일체
엘레피프스 맥시무스 보르넨시스

보르네오 피그미 코끼리라고도 불리는 보르네오 코끼리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의 보르네오 북동쪽에 서식하는 아시아 코끼리(Elephas maximus)의 아종이다. 그 기원은 여전히 논쟁의 대상으로 남아 있다. Elephas maximus borenensis라는 결정적인 하위특정 분류는 상세한 범위 범위의 형태학유전학 연구를 기다리고 있다. 1986년 이후, 아시아 코끼리는 지난 3대에 걸쳐 60-75년으로 추정되는 개체 수가 최소 50% 감소함에 따라 IUCN 적색 목록에 '멸종위기'로 등재되었다. 그것은 서식지의 손실, 파괴, 단편화에 의해 특히 위협받고 있다.[1]

술루 술탄은 18세기에 보르네오에 포획된 코끼리를 소개한 것으로 생각되었는데, 이 코끼리는 정글에 방사되었다.[2] DNA 분석에서 보르네오 코끼리 개체군과 보르네오 코끼리 개체수를 비교한 결과 보르네오 코끼리는 인간에 의해 소개된 것보다 선다이크 가축에서 파생되고 보르네오 토착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르네오 코끼리의 유전적 다양성은 그들이 진화적으로 중요한 별개의 단위라는 인식을 보증한다.[3]

특성.

말레이시아 사바 주 수카우 키나바탄강 인근 코끼리 얼굴 클로즈업

일반적으로 아시아 코끼리는 아프리카 코끼리보다 몸집이 작고 머리에 가장 높은 신체 부위를 가지고 있다. 그들의 트렁크 끝은 손가락과 같은 하나의 과정을 가지고 있다. 그들의 등은 볼록하거나 수평이다.[4]

보르네오 코끼리를 '피그미' 아종으로 부르는 것은 흔한 일이 되어버렸지만, 양쪽 성별의 사바(Sabah)의 성인 코끼리들은 키가 말레이시아 반도에서 자라나는 코끼리들과 비슷하다. 고만통 보호구역에서 온 완전 성체 암컷 코끼리의 두개골을 측정한 결과 수마트라 두개골 2개에 대한 평균치보다 약간 작은 크기(72~90%)로 나타났다. 사용 가능한 측정값 중 Sunda 하위 영역의 다른 모집단과 크기가 유사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은 거의 없다.[2]

2005년 4월부터 2006년 1월까지 말레이시아 반도에서 포획된 코끼리 15마리와 사바에서 포획된 코끼리 6마리에 대한 형태학적 측정치를 측정하여 코끼리 1마리에 대해 3회 반복하여 평균을 산출하였다. 두 포로가 된 모집단 사이의 문자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5]

그것들은 또한 눈에 띄게 길들여지고 수동적이며, 일부 과학자들이 그들이 국내 수집품에서 유래했다고 생각하는 또 다른 이유다.[3][6]

분포 및 서식지

키나바탄강 근처에서 송아지를 안고 있는 암컷 코끼리.

코끼리는 보르네오 북부와 북동부에 한정되어 있다.[7] 1980년대에는 두 개의 뚜렷한 인구가 있었다. 한 마리는 타빈 야생동물 보호구역과 가파른 지형의 인접한 벌목된 디프테로카프 숲에 걸쳐 사바에 살고 있었고, 다른 한 마리는 그 당시 거의 방해받지 않고 그 주변에만 서식했던 디프테로카프 숲의 약 300~1500m의 구릉지대에 살고 있었다. 칼리만탄에서는 그들의 사거리가 동쪽의 셈바궁 상류의 작은 인접 지역으로 제한된다.[8]

사바와 칼리만탄의 야생 코끼리의 범위는 보르네오 다른 곳의 적절한 서식지에 접근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 100년 동안 거의 확대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보르네오의 토양은 어리고 침출수하며 불임하는 경향이 있으며, 천연 광물원의 발생으로 섬 내 야생 코끼리의 분포가 제한될 수 있다는 추측이 있다.[9]

1992년 사바의 예상 코끼리 개체 수는 타빈 야생동물 보호구역, 로어키나바탕간 지구, 데라마코트 산림 보호구역에서 실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500명에서 2,000명 사이였다. 2007년 7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사바에서 코끼리 개체수 조사를 실시했는데, 총 거리는 186.12km(115.65mi)에 달하는 5개 주요 코끼리 관리 구역에서 216개 선 트랑섹트를 따라 똥 더미를 세었다. 이 조사 결과에 따르면 타빈, 로어키나바탕간, 노스키나바탕간, 울루칼럼팡 산림보호구역, 사바의 중앙 숲에 서식하는 코끼리 개체수는 1,184–3,652마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끼리 밀도와 개체 크기는 (i) 저지대 숲의 전환, (ii) 서식지의 단편화, (iii) 벌목과 같은 기존 토지 이용 활동의 영향을 받는 5가지 주요 범위에 걸쳐 다양했다. 울루 세가마 산림보호구역의 상위 어획량은 코끼리 1km당2 3.69마리(0.39sqmi)로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다. 보호받지 못한 중앙 숲 지역만이 1,000명 이상의 코끼리 개체군을 부양했다.[10]

2005년에는 5마리의 암컷 코끼리가 사바에서 서식지와 이동 패턴을 연구하기 위한 추적 장치를 장착했다. 결과는 코끼리 떼가 파쇄되지 않은 숲의 최소 서식지 2502~400km(97~154sqmi)를 차지했고, 파편화된 숲 서식지에서는 코끼리의 연간 서식지 범위는 약 600km2(230sqmi)로 추정된다.[11]

위협

오늘날 아시아 코끼리에 대한 가장 두드러진 위협은 서식지 손실, 퇴화, 분열이다. 이는 늘어나는 인구에 의해 추진되며, 코끼리가 농작물을 먹거나 짓밟을 때 인간과 코끼리 사이의 갈등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한 갈등의 결과로 매년 수백 명의 사람들과 코끼리들이 죽임을 당한다.[12] 인간 개발의 확장은 그들의 이주 경로를 방해하고, 식량을 줄이고, 그들의 서식지를 파괴한다.[13]

칼리만탄의 코끼리 개체수는 보호림 피해로 인해 계속 줄어들고 있다. 2012년 4월 현재, 약 20-80마리의 코끼리가 북칼리만탄 누누칸 지구의 세부쿠 하위 지구에 있는 22개 마을 근처에 살고 있다.[14]

보존

무리

Elephas maximusCITES 부록 I에 열거되어 있다.[1] 보르네오 코끼리의 유전적 특수성은 코끼리를 아시아 코끼리 보호에 가장 우선시하는 개체군 중 하나로 만든다.[3]

말레이시아에서 보르네오 코끼리는 야생동물 보호법 제2호 일정에 따라 보호된다. 코끼리를 사냥한 죄로 유죄판결을 받은 사람은 5만 달러 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둘 다의 벌금에 처분에 처하게 된다.[9]

포틀랜드의 오리건 동물원에는 미국 유일의 보르네오 코끼리가 있는데, 첸드라라는 이름으로 구조된 암컷으로, 첸드라의 무리가 야자수 기름 농장에서 농작물을 재배한 후 고아가 되고, 홀로 굶주리고, 야생에서 부상을 입은 채 발견되었다.[15]

분류학사

보르네오 코끼리가 토착인지, 아니면 1750년 동인도 컴퍼니가 술루 술탄에 선물하고 나중에 보르네오 북부에 놓아둔 포획된 코끼리로부터 자손인지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8]

19세기 보르네오 북동부의 제한된 지역에서 야생 코끼리가 자연적으로 발생했다는 동물학적 탐험이 성립되었다. 보르네오 코끼리의 위상과 분류학적 특이성은 그 이후 논란이 되었다. 1940년 프레데릭 뉴터 차센은 보르네안 코끼리를 소개된 주식의 후손이라고 간주하고, 그들을 아종 엘르페스 막시무스 인디쿠스에 두었다. 영국 자연사 박물관에서 표본을 연구해온 레지날드 이네스 포콕은 1943년에 동의하지 않았고, 모든 순다이코끼리를 아종인 엘레프스 막시무스 수마트렌시스 속에 두었다. 1950년, Paules Edward Pieris Deraniyagala는 National Geography Magnific Magazine에서 그의 타입의 삽화로서 Elephas maximus borenensis를 묘사했다.[2]

2003년, 이 논쟁은 소개된 술루 코끼리와 북동 보르네오 코끼리들이 지금은 약칭이 된 자바 코끼리로부터 유래했을지도 모른다는 제안으로 다시 시작되었다. 자바코끼리는 데라니야갈라에 의해 엘르페스 막시무스 손다이쿠스라고 이름 붙여졌다. 이 가설은 민속학의 확증인 보르네오에 장기간 코끼리가 거주하고 있다는 고고학적 증거를 누락하고 코끼리가 보르네오 섬 전체를 식민지로 삼지 않았다는 사실에 근거를 두고 있다.[16]

2003년,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과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과 미시위성 데이터는 현존하는 개체군은 선다이크 주식에서 파생된 것이지만, 가정된 플리스토세 식민지화 이후 약 30만 년 동안 독립적인 지역적 진화를 거쳤으며, 보르네오를 연결한 육교와 다른 아시아 코끼리 개체군으로부터 고립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다른 순다 제도와 아시아 본토는 최대 18,000년 전 마지막 빙하 이후 사라졌다.[3]

역사

코끼리는 한 통치자가 다른 통치자에게, 또는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 주는 적절한 선물이었고, 그들을 바다로 운반하는 것이 관례였다. 1395년경 자바의 라자는 술루의 지배자 라자 바긴다에게 코끼리 두 마리를 주었다. 이 동물들은 보르네오 서쪽 끝에 있는 야생 동물의 시조로 알려져 있다. 1521년 페르디난드 마젤란의 지구 일주기의 잔해가 브루나이에 이르렀을 때, 항해의 고수는 대표선인 빅토리아호의 대표단이 실크로 덮인 코끼리를 타고 통치자의 궁전을 오가며 전해졌다는 사실을 되짚었다. 이 풍습은 1770년대 브루나이에 도착한 방문객들이 수확 후 현지인들이 사냥한 야생 코끼리 소떼를 신고하면서 중단되었다. 브루나이와 반자르마신의 초기 왕실 코끼리에 대한 기록에도 불구하고 보르네오에서는 지역 야생 코끼리를 잡아 길들이는 전통이 없었다.[2]

보르네오 북부 칼리만탄 지역에 코끼리가 도착한 것은 사바에 대한 술루족 술탄족의 지배와 일치한다. 술루 술탄국가는 힌두 술탄국 자바와 평화로운 관계를 누렸다. 감사의 표시로 자바의 지배자들은 술루로 코끼리를 보냈는데, 이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에서 작은 코끼리의 골격 유적이 발견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술루 술탄과 그의 가족은 땅 부족과 코끼리가 빠르고 긴 배를 만들기 위해 숲에서 통나무를 꺼내는 것을 돕기 위해 보르네오 북동쪽으로 그들의 소중한 자바 코끼리를 보냈다. 이 임대차계약이 체결되었을 때, 술루의 조선업과 무역업자들의 고용 하에 있는 이 소심하고 주로 길들여진 작은 코끼리들의 대부분은 숲으로 풀려나 그들을 전쟁에 이용할지 모르는 어떤 반목하는 술탄으로부터 멀리 정글 깊은 곳에서 살 수 있었다. 파키데럼을 야생에 풀어주는 이 단 하나의 행위는 술루와 그 동맹국들을 남아있는 코끼리의 구세주로 만들었다고 늙은 현지인들은 증언하고 있다.[17]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houdhury, A.; Lahiri Choudhury, D.K.; Desai, A.; Duckworth, J.W.; Easa, P.S.; Johnsingh, A.J.T.; Fernando, P.; Hedges, S.; Gunawardena, M. & Kurt, F. (2008). "Elephas maximus".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08: e.T7140A12828813.
  2. ^ a b c d Cranbrook, E.; Payne, J.; Leh, C.M.U. (2008). "Origin of the elephants Elephas maximus L. of Borneo" (PDF). Sarawak Museum Journal.
  3. ^ a b c d Fernando P.; Vidya T.N.C.; Payne J.; Stuewe M.; Davison G. Alfred, R.J.; Andau, P. Bosi; E. Kilbourn; A. Melnick, D.J. (2003). "DNA Analysis Indicates That Asian Elephants Are Native to Borneo and Are Therefore a High Priority for Conservation". PLOS Biol. 1 (1): e6. doi:10.1371/journal.pbio.0000006. PMC 176546. PMID 12929206.
  4. ^ Shoshani, J.; Eisenberg, J.F. (1982). "Elephas maximus" (PDF). Mammalian Species. 182 (182): 1–8. doi:10.2307/3504045. JSTOR 350404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30 August 2006.
  5. ^ Nurzhafarina, O.; Maryati, M.; Ahmad, A.H.; Nathan, S.; Pierson, H.T.; Goosens, B. (2008). "A preliminary study on the morphometrics of the Bornean Elephant" (PDF). Journal of Tropical Biology and Conservation. 4 (1): 109–1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7 March 2012.
  6. ^ "New elephant subspecies discovered". WWF News. 2003.
  7. ^ Medway, L. (1977). Mammals of Borneo: Field keys and an annotated checklist. Monographs of the Malaysian Branch of the R.A.S. Kuala Lumpur, Malaysia: Royal Asiatic Society.
  8. ^ a b Sukumar, R. (1993). The Asian Elephant: Ecology and Management (Seco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43758X – via Google Books.
  9. ^ a b 사바Ambu, L.N.; Andua. P.M.; Nathan, S.; Tuuga, A.; Jensen, S.M.; Cox, R.; Alfred, R.; Payne, J. (2002). "Asian Elephant Action Plan – Sabah, Malaysia"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2 July 2011. 야생동물부
  10. ^ Alfred, R.; Ahmad, A. H.; Payne, J.; William, C.; Ambu, L. (2010). "Density and population estimation of the Bornean elephants (Elephas maximus borneensis) in Sabah" (PDF). Online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10 (2): 92–102. doi:10.3844/ojbsci.2010.92.102.
  11. ^ Alfred, R.; Ahmad, A.H.; Payne, J.; Williams, C.; Ambu, L. N.; How, P. M.; Goossens, B. (2012). "Home Range and Ranging Behaviour of Bornean Elephant (Elephas maximus borneensis) Females". PLOS ONE. 7 (2): e31400. Bibcode:2012PLoSO...731400A. doi:10.1371/journal.pone.0031400. PMC 3275559. PMID 22347469.
  12. ^ Leimgruber, P.; Gagnon, J.B.; Wemmer, C.M.; Kelly, D.S.; Songer, M.A.; Selig, E.R. (2003). "Fragmentation of Asia's remaining wildlands: Implications for Asian elephant conservation". Animal Conservation. 6 (4): 347–359. doi:10.1017/S1367943003003421. S2CID 26206968.
  13. ^ Fernando P.; Vidya T. N. C.; Payne J.; Stuewe M.; Davison G.; et al. (2003). "Borneo Elephants: A High Priority for Conservation". PLOS Biology. 1 (1): e7. doi:10.1371/journal.pbio.0000007. PMC 176547.
  14. ^ "Kalimantan elephant population continues to dwindle, says official". Antara News. April 2012.
  15. ^ Lee, Stephanie (1970-01-01). "Borneo pygmy elephant in Oregon Zoo expecting a calf". The Star Online. Retrieved 2019-10-19.
  16. ^ Shim, P.S. (2003). "Another look at the Borneo elephant". Sabah Society Journal. 20: 7–14.
  17. ^ "Pygmy elephant may have been introduced to Borneo from Java". The Star Online. 1970-01-01. Retrieved 2019-10-1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