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너 패스
Brenner Pass브레너 패스 | |
---|---|
![]() | |
승진 | 1,495 m (4,495 피트) |
통과자 | E45 고속도로 |
위치 | 오스트리아-이탈리아 국경 |
범위 | 알프스 |
좌표 | 47°0′12″n 11°30′27″e/47.00333°N 11.50750°E좌표: 47°0º12ºN 11°30º27ºE / 47.00333°N 11.50750°E |
브레너 고개(독일어: Brennerpass, 일명 Brennero, 이탈리아어: Passo del Brennero)는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 국경을 이루는 알프스 산맥을 지나는 산길이다.이것은 동부 알파인 산맥의 주요 패스 중 하나이며, 이 지역의 알파인 패스 중 가장 낮은 고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젖소들은 여름 내내 고산지대의 고갯길 아래 계곡과 그 위 산에서 풀을 뜯는다.낮은 고도에서 농부들은 겨울 사료를 위해 소나무를 벌목하고, 작물을 심고, 건초를 수확한다.높은 목초지의 대부분은 1,500미터(4,900피트) 이상의 고도에 있으며, 소수의 목초지는 약 2,000미터(6,600피트)의 높은 산에 있습니다.
브레너 고개의 중앙 부분은 남쪽의 보젠/볼자노와 북쪽의 인스브루크를 연결하는 4차선 고속도로와 철도 선로를 포함한다.브레너 마을은 아웃렛 쇼핑 센터(슈퍼마켓과 상점), 과일 가게, 레스토랑, 카페, 호텔 및 주유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인구는 400~600명(2011년 기준[update])이다.
어원학
더 오래되고 쓸모없는 이론들은 브레너라는 이름이 브레니족의 고대 부족이나 갈리아 족장 브레누스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지만, 패스 네임이 처음 등장한 것은 14세기이기 때문에 더 최근의 어원일 가능성이 [1]훨씬 더 높다.프레너는 원래 근처 농장의 이름이었고, 농장 이름 자체는 이전 주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어떤 프레네리우스의 농장은 1288년에 문서에 언급되었고, 어떤 프레네르 드 미텐발데는 1299년에 언급되었다.독일어 프레너는 아마도 땅을 개간하기 위해 화전 기술을 사용하는 사람을 지칭할 것이다.통행증 자체의 이름은 1328년에 처음으로 ob dem Frenner(독일어로 프레너 [2]위)로 나타난다.
역사
로마 제국
로마인들은 가장 최근의 [3]빙하기 이후 선사시대 동안 이미 자주 사용되었던 브레너 산길을 정규화했다.그러나 브레너 고개는 로마 제국 하에서 정규화된 최초의 알프스 횡단 로마 도로는 아니었다.
알파인 산맥을 횡단한 최초의 로마 도로인 클라우디아 아우구스타 가도는 이탈리아 북부의 베로나와 로마 라에티아 지방의 아우구스타 빈델리코룸(현재의 아우크스부르크)을 연결했다.아우크스부르크로 향하는 페르난도 고개에 오르기 전에 아디게 계곡을 따라 인접한 레셴 고개(브레너 고개 서쪽)로 가는 경로가 완성되었다.
브레너 고개 위를 물리적으로 가로지르는 로마 도로는 서기 2세기까지 존재하지 않았다.그것은 푸스터 계곡을 지나 벨디데나(현재의 빌텐)로 내려갔고, 그곳에서 인을 지나 지르로 들어가 퓌센을 거쳐 아우크스부르크에 도착했다.
알라만니족(독일 부족)은 서기 268년 브레너 고갯길을 넘어 오늘날의 이탈리아로 들어갔지만, 그해 11월 베나쿠스 호수 전투에서 저지되었다.로마인들은 5세기에 [4]그들의 제국이 멸망할 때까지 그 산길을 통제했다.
신성 로마 제국
중세 전성기에 브레너 고개는 알프스 북쪽의 독일 왕국과 이탈리아 베로나 행진곡을 연결하는 제국주의 도로인 임페리 가도의 일부였다.806년의 카롤링거 '디비시오 레그노룸'에서 브레너 지역은 노릭 알프스를 통과하는 알페스 노리카로 불린다.[5]12세기 이후, 브레너 고개는 신성 로마 제국 내 티롤 백작들에 의해 통제되었다.프레데릭 바르바로사 황제는 이탈리아에 [6]대한 제국 원정 동안 알프스 산맥을 건너기 위해 브레너 고갯길을 자주 이용했다.12세기 브레너 고개는 노새 기차와 수레를 위한 선로였다.
브레너 고개의 현대화는 1777년 마리아 테레사 황후의 명령으로 마차 도로가 개설되면서 시작되었다.
오스트리아 제국
근대화는 1853년부터 1867년까지 단계적으로 완성되었던 오스트리아 제국과 브레너 철도 하에서 더욱 이루어졌다.그것은 주요 터널이 없고 (1,371m에서 브레너 고개를 가로지르는) 높은 고도에서 알파인 횡단 철도가 되었다.철도의 완공으로 오스트리아군은 병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었다; 오스트리아군은 그들의 영토인 베네치아와 롬바르디아 (알프스 남쪽)를 확보하기를 바랐으나 1859년 제2차 이탈리아 독립전쟁과 1866년 오스트리아-프로러시아 전쟁 이후 이탈리아에 빼앗겼다.
최근 이력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말기에, 브레너 고개의 통제는 생제르맹 앙 라예 조약(1919년)에 따라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 사이에 공유되었다.런던 조약(1915년)은 이탈리아가 협정의 힘을 지지한다는 이유로 브레너 고개 남쪽의 영토를 비밀리에 부여했다.웰슈티롤/트렌티노는 티롤 백국(현재의 남부 티롤)의 남쪽 지역과 함께 이탈리아로 넘어갔고, 이탈리아군은 티롤을 점령하고 1919~20년 브레너 고개에 도착했다.
제2차 세계대전 중, 아돌프 히틀러와 베니토 무솔리니가 1940년 3월 18일 그들의 강철 협정을 기념하기 위해 브레너 고개에서 만났다.브레너 고개는 1945년 독일 항복 이후 나치로부터 도망친 일부 사람들에 의해 사용된 라트라인의 일부였다.
브레너 패스 | ||||||||||||||||||||||||||||||||||||||||||||||||||||||||||||
---|---|---|---|---|---|---|---|---|---|---|---|---|---|---|---|---|---|---|---|---|---|---|---|---|---|---|---|---|---|---|---|---|---|---|---|---|---|---|---|---|---|---|---|---|---|---|---|---|---|---|---|---|---|---|---|---|---|---|---|---|
기후 차트(설명) | ||||||||||||||||||||||||||||||||||||||||||||||||||||||||||||
| ||||||||||||||||||||||||||||||||||||||||||||||||||||||||||||
|
고속도로
고속도로 E45(유럽 명칭, 이탈리아 A22, 오스트리아 A13), 브레너 아우토반/오토스트라다 델 브레네로는 인스브루크에서 시작하여 브레너 패스, 보젠/볼자노, 베로나를 지나 모데나 외곽에서 끝납니다.그것은 유럽에서 남북 연결의 가장 중요한 경로 중 하나이다.
1992년 셴겐 협정이 체결되고 1995년 오스트리아가 유럽연합(EU)에 가입하면서 브레너 패스의 세관과 이민국은 1997년 철거됐다.그러나 오스트리아는 유럽 이민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 2015년에 국경 검문을 재개했다.2016년 4월 오스트리아는 고개에 길이 370m의 울타리를 만들겠다고 발표했지만 "사람들을 '통행'하는 데만 사용될 뿐 [7]장벽은 되지 않는다"고 분명히 했다.
인스브루크와 브레너 패스 사이의 대략 중간 지점에 위치한 유로파브뤼케(유럽 다리)는 6차선 브레너 아우토반을 실 강(Wipptal) 계곡 위로 나르는 큰 콘크리트 다리입니다.높이 180m(590피트)와 폭 820m(2,690피트)의 이 다리는 1963년 완공되자마자 공학의 걸작으로 칭송받았다.다리에서 번지점프를 하는 것이 인기 있는 관광 명소가 된 장소입니다.
그러나 화물 및 레저 교통량의 증가는 국경 단속 없이 바쁜 시간대에 긴 교통 체증을 야기하고 있다.브레너 고개는 이 지역 내 유일한 주요 산길이며, 인근의 다른 대안으로는 2,000미터(6,600피트) 이상의 고도에서 높은 산을 가로지르는 산책로가 있습니다.그 결과, 공기와 소음 공해는 지역 및 유럽 정치에서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2004년 현재[update],[8] 약 180만 대의 트럭이 유로파 다리를 건넜다.
철도
도로 교통을 완화하기 위해 베로나에서 인스브루크로 가는 브레너 철도를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며, [9]브레너 지하의 브레너 베이스 터널을 포함한 일련의 터널이 있다.터널의 공식적인 기공은 2006년에 이루어졌지만(동년 측량 터널이 뚫린 상태), 실질적인 작업은 2011년에야 시작되었다.자금 문제로 터널 완공 예정일이 2022년에서 2032년 [10]이후로 늦춰졌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알로이스 트렌크발더: 브레너. Bergdorf und Alpenpa – – Brennero. Storia di un paesino e di un valico internazionale.Brenner 1999, 페이지 72 (Wayback Machine에서 2019년 8월 23일 온라인 아카이브 완료)
- ^ Egon Kühebacher(1991)디 오르츠나멘 수트톨과 이흐레 게시히테, 보젠: Atesia, 59페이지
- ^ 월터 우드번 하이드(1935).로마 알파인 루트(필라델피아:펜실베니아 대학 출판부), 페이지 194: "주요 패스루트의 사용은 선사시대부터 현재까지 지속되어 왔다."
- ^ "제시히테 슈바벤스 bis zum Ausgang des 18"Max Spindsler, Christoph Bauer, Andreas Kraus, 제3판, 출판사: C.H. Beck Verlag 2001, 80페이지 ISBN3-406-39452-3, ISBN978-3-406-39452-2
- ^ Martin Bitschnau; Hannes Obermair (2009). Tiroler Urkundenbuch, II. Abteilung: Die Urkunden zur Geschichte des Inn-, Eisack- und Pustertals. Vol. 1: Bis zum Jahr 1140 (in German). Innsbruck: Universitätsverlag Wagner. pp. 51–52 no. 73. ISBN 978-3-7030-0469-8.
- ^ Santosuosso, Antonio (2004). Barbarians, Marauders, and Infidels: The Ways of Medieval Warfare. New York: MJF Books. p. 190. ISBN 978-1-56731-891-3.
- ^ Scherer, Steve; Pullella, Philip; Jones, Gavin; Roche, Andrew (28 April 2016). "Italy, Austria seek to calm tensions over Brenner border controls". Reuters. Reute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November 2018. Retrieved 2 May 2016.
On Wednesday, Austria outlined plans to erect a 370 meter-long fence at the Brenner Pass, which is the busiest route through the Alps for heavy goods vehicles, but Sobotka said on Thursday it would be used only to "channel" people and was not a barrier.
- ^ [1][데드링크]
- ^ Galleria di Base del Brennero – Brenner Basistunnel BBT SE – 2005년 12월 22일 Wayback Machine에서 오프라인 아카이브 완료
- ^ "Governors protest latest delay to Brenner Base Tunnel construction". railjournal.com. 27 May 2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February 2022. Retrieved 12 January 2022.
외부 링크

- Chisholm, Hugh, ed.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
- 웹캠 브레너 패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