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 로커스

Bridge locus

신경과학에서 특정 감각 지각에 대한 다리 위치는 활동이 감각 지각의 기초가 되는 가상의 신경세포 집합이다.이 용어는 D.N에 의해 도입되었다.텔러와 E.Y.1983년 푸그 주니어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1]브리지 로커스 뉴런의 활동은 감각 지각에 필요하고 충분하다고 가정된다. 브리지 로커스 뉴런이 활성화되지 않으면 실제 감각 입력과 상관없이 감각 지각은 발생하지 않는다.반대로 브리지 로커스 뉴런이 활성화되면 실제 감각 입력에 관계없이 감각 지각력이 발생한다.그것은 감각 지각의 가장 높은 신경 수준이다.그래서 예를 들어, 망막 뉴런은 자극적인 시각피질이 시각적 지각의 교량거점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극적인 시각피질은 시각적 지각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2]

모든 학자들이 그러한 의식의 신경 상관관계를 믿는 것은 아니다.[3]예를 들어 페소아 외 연구진은 신경 상태와 의식 상태 사이의 이형성 요건에 근거하여 브릿지 위치의 필요성이 없다고 주장한다.[4][clarification needed]톰슨은 활동이 지각의 즉각적인 기질을 형성하는 하나의 특정한 신경 단계가 있어야 한다는 전제를 의심하면서, 자신이 '지역화론적 접근법'이라고 부르는 교량 로커스의 개념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할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주장한다.그는 제키앤시프, 데요앤반 에센 등의 연구를 바탕으로 뇌 영역은 독립된 단계나 모듈이 아니라 상호 작용하는 전후방 투영이 밀도 있고, 시각적 처리는 상호작용이 높고 문맥 의존성이 높다고 주장한다.그는 또한 시각피질의 세포가 "단순히 '특징 검출기'가 아니며, 신경과학은 실제로 뇌가 중앙집중화된 표현이 아닌 분산된 네트워크를 채용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고 주장한다.그는 다리 위치의 개념을 데카르트 극장과 동일시하며, 개념으로 그것을 버려야 한다고 제안한다.[5]

참조

  1. ^ D.N. Teller; E.Y. Pugh Jr. (1983). J.D. Mollon; L.T. Sharpe (eds.). Colour Vision. Academic Press. p. 581. ISBN 978-0-12-504280-2.
  2. ^ Davida Y Teller "Linking propositions" Vision Research (1984)
  3. ^ Christof Koch (2004). The Quest for Consciousness. Roberts and Company Publishers. p. 88. ISBN 9780974707709.
  4. ^ David J. Chalmers (2000). "What is a Neural Correlate of Consciousness". In Thomas Metzinger (ed.). Neural Correlates of Consciousness. MIT Press. p. 37. ISBN 9780262133708.
  5. ^ Evan Thompson (1999). "Filling-in: Visual Science and the Philosophy of Perception". In Denis Fisette (ed.). Consciousness and Intentionality. Springer. p. 156. ISBN 9780792359074.

추가 읽기

  • Evan Thomson; Alva Noë & Luiz Pessoa (1999). "Perceptual Completion: A Case Study in Phenomenology and Cognitive Science". In Jean Petitot; Francisco Varela; Bernard Pachoud & Jean-Michel Roy (eds.). Naturalizing Phenomenology.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804736107.
  • Ronald G. Boothe (2002). Perception of the Visual Environment. Springer. pp. 9–10. ISBN 9780387987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