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드 그린
Bud Green버드 그린 | |
---|---|
태어난 | 모세 데이비드 그린 1898년 11월 19일 오스트리아 |
죽은 | 1981년 1월 2일 (82) 욘커스, 미국 뉴욕 |
직업 | 작사가 |
친척들. | 밥 러셀 (형제) |
버드 그린(Bud Green, 1897년 11월 19일 ~ 1981년 1월 2일)은 미국의 브로드웨이 뮤지컬 및 쇼곡 작사가였다.
어린 시절과 가족
그린은 오스트리아에서 Moses David Green으로[1] 태어났고, 유아기 때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2]버드 그린(버디)은 할렘 108 & 매디슨 애비뉴에서 성장했는데, 20세기 전환기에 7명 중 가장 나이가 많았다.그는 신문을 팔고 가족을 돕기 위해 초등학교를 중퇴했다.
그는 논문을 팔면서 작사가가 되기로 결심하고 언젠가 유용할 것이라고 생각했던 시와 운율이 적힌 수첩을 쓰기 시작했다.그의 여동생 한나는 '브라질', '프레네시', '더 이상 돌아다녀서는 안 된다', '헤아인이 무겁지 않다, 그는 내 형제다' 등을 작곡한 작사가 밥 러셀(1914~1970)과 결혼했다.
경력
그의 초기 경력에서 그는 vaudevilles의 자료를 썼다.[2]그는 음악 출판사의 스태프 작가였으며 브로드웨이 무대 악보뿐만 아니라 다른 뮤지컬의 곡도 썼다.[2]
1928년까지 그는 "앨러배미 바운드"와 "그것이 지금 나의 약점"을 썼고, 이 책은 우쿨렐레 이케와 헬렌 케인의 큰 히트를 쳤다.케인의 버전에는 "부프 부프 바두"라는 선정적인 통렬한 문구가 포함되어 있다.이 라인과 케인의 무대 페르소나는 이 곡을 플래퍼 시대와 동의어로 만들었다.케인과 노래는 1930년에 데뷔한 베티 부프 만화의 영감이 되었다.[3]이 곡은 그린과 샘 H. 스텝트가 자작곡을 냈다.그들은 7번가 745번지에 있는 브래스 레일 빌딩에 있었다.그 후 그들은 영화 산업에서 일하기 위해 할리우드로 갔다.그와 Stept는 결국 그들의 회사를 워너 브라더스에 매각하고 뉴욕으로 돌아왔다.
그는 레스 브라운, 버디 드실바, 알 두빈, 엘라 피츠제럴드, 슬림 가이야드, 레이 헨더슨, 벤 호머, 레이몬드 스콧, 샘 H. 스텝트, 해리 워렌을 포함한 많은 아티스트와 동료 작곡가들과 협업했다.[2]
사생활
21살에 버드 그린은 지그펠트 폴리스의 소녀 난 힌켄과 결혼했다. 그들은 1960년대 초 그녀가 죽을 때까지 함께 있었다.그린은 회사를 매각한 후 그의 가족을 뉴욕 욘커스로 옮겼고 그곳에서 매일 뉴욕으로 출퇴근하며 여생을 보냈다.[citation needed]그들에게는 두 아들이 있었는데 지금은 둘 다 죽었다.
죽음과 유산
그린은 1981년 1월 뉴욕 욘커스에서 사망했다.[2]
노래들
버드 그린은 다음과 같은 여러 곡을 작곡하거나 공동 작곡했다.
- "앨러배미 바운드"(Swingin' Down Yonder, 1955년, 1957년 빙크로스비, 1957년, 천재 레이 찰스, 1960년, 스키플 세션스 반 모리슨 - Belfast 1998, 2000년)
- "그것이 지금 나의 약점" (헬렌 케인, 1928)
- 아이 러브 마이 베이비 (Otilie Patterson, 1957)
- "오보이, 왓 어 걸"
- "인 마이 곤돌라"
- "Away Down South in Heaven"
- "I'll Always Be With You" (Ella Fitzgerald on Rhym Is My Business, 1962;)
- "뭐 좀 해"
- "축하한다"
- "굿 리틀, 배드 리틀 유"
- "어머니의 저녁 기도"
- "단순하고 달콤한"
- "꿈의 연인"
- "강 위의 달빛"
- "Swingy Little Thingy"
- "블루 페도라"
- "그 어느 때보다"
- "너는 내게 길을 보여줬어" (엘라 피츠제럴드; 빌리 홀리데이;Tony Bennett on Here's Ladies, 1995)
- "티아 후아나"
- "오랜만에"
- "돌아오는 남자"
- "플랫 풋 플루지 (플로이 플로이 플로이 포함)" (밀스 브라더스와 루이 암스트롱; 슬램 스튜어트, 1938)
- "센티멘탈 여행"(Doris Day and Les Brown's band, 1944)
- "속도 제한"
- "누가 알 수 있겠어"
- "우리의 모든 날들"
- "나의 1번 꿈이 실현되었다" (도리스 데이, 1946)
- "Account I Love You"
수상
그는 1975년에 작곡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2]
참조
- ^ "Lyric Writer Changes Name To Bud Green" (PDF). The Daily Argus, Mount Vernon, New York. Mount Vernon, New York. 26 October 1945. Retrieved 24 February 2019.
- ^ a b c d e f "Songwriters Hall of Fame - Bud Green Exhibit Hom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April 2008. Retrieved 28 August 2006.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July 2010. Retrieved 6 April 2010.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