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토프스카야 선
Butovskaya line![]() | |||||||||||||||||||||||||||||||||||||||||||||||||||||||||||||||||||||||||||||||||||
---|---|---|---|---|---|---|---|---|---|---|---|---|---|---|---|---|---|---|---|---|---|---|---|---|---|---|---|---|---|---|---|---|---|---|---|---|---|---|---|---|---|---|---|---|---|---|---|---|---|---|---|---|---|---|---|---|---|---|---|---|---|---|---|---|---|---|---|---|---|---|---|---|---|---|---|---|---|---|---|---|---|---|---|
2009년 3월 노선의 지상 구간 | |||||||||||||||||||||||||||||||||||||||||||||||||||||||||||||||||||||||||||||||||||
개요 | |||||||||||||||||||||||||||||||||||||||||||||||||||||||||||||||||||||||||||||||||||
소유자 | 모스코프스키 메트로폴리턴 | ||||||||||||||||||||||||||||||||||||||||||||||||||||||||||||||||||||||||||||||||||
로캘 | 모스크바 | ||||||||||||||||||||||||||||||||||||||||||||||||||||||||||||||||||||||||||||||||||
터미 | 비트세프스키 공원(북쪽) 부닌스카야알레야(남쪽) | ||||||||||||||||||||||||||||||||||||||||||||||||||||||||||||||||||||||||||||||||||
스테이션 | 7 | ||||||||||||||||||||||||||||||||||||||||||||||||||||||||||||||||||||||||||||||||||
서비스 | |||||||||||||||||||||||||||||||||||||||||||||||||||||||||||||||||||||||||||||||||||
유형 | 급행열차 | ||||||||||||||||||||||||||||||||||||||||||||||||||||||||||||||||||||||||||||||||||
시스템 | 모스크바 지하철 | ||||||||||||||||||||||||||||||||||||||||||||||||||||||||||||||||||||||||||||||||||
연산자 | 모스코프스키 메트로폴리턴 | ||||||||||||||||||||||||||||||||||||||||||||||||||||||||||||||||||||||||||||||||||
롤링 스톡 | 81-740/741 81-740/741.1 81-740А/741А 81-740.4/741.4 | ||||||||||||||||||||||||||||||||||||||||||||||||||||||||||||||||||||||||||||||||||
라이더십 | 1770만(2012년)[1] | ||||||||||||||||||||||||||||||||||||||||||||||||||||||||||||||||||||||||||||||||||
역사 | |||||||||||||||||||||||||||||||||||||||||||||||||||||||||||||||||||||||||||||||||||
열린 | 2003년 12월 27일 | ||||||||||||||||||||||||||||||||||||||||||||||||||||||||||||||||||||||||||||||||||
기술 | |||||||||||||||||||||||||||||||||||||||||||||||||||||||||||||||||||||||||||||||||||
선 길이 | 10km(6.2mi) | ||||||||||||||||||||||||||||||||||||||||||||||||||||||||||||||||||||||||||||||||||
캐릭터 | 터널링/이탈 | ||||||||||||||||||||||||||||||||||||||||||||||||||||||||||||||||||||||||||||||||||
트랙 게이지 | 1,520 mm (4ft 11+27⁄32 인치) | ||||||||||||||||||||||||||||||||||||||||||||||||||||||||||||||||||||||||||||||||||
전기화 | 제3철도 | ||||||||||||||||||||||||||||||||||||||||||||||||||||||||||||||||||||||||||||||||||
|
부토프스카야 선(러시아어: бу́оо оооо, IPA: [,butˈfskəjə ˈlʲinjjj]])은 모스크바 지하철의 노선이다.
이 노선은 메트로 터널의 지루하거나 굴착이 비싸고 비실용적이라고 여겨지는 지역에 급속한 교통을 구축하기 위한 실험이었다. 이전에는 필료프스카야 선처럼 지상에 선을 건설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러시아의 혹독한 겨울과 많은 양의 유용한 토지를 점유하는 것은 그러한 사업을 비실용적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도시 가장자리에서, 특히 모스크바 자동차 순환 도로(MKAD)를 넘어서는, 점점 더 많은 지역들이 일종의 급속한 교통 연결을 필요로 했다.
1980년대 후반 모스크바 메트로 설계국 메트로그로그로그로그로그로트랜스는 지상에 올려진 선로 시스템을 이용하여 MKAD를 넘어 빠른 트랜스포트를 가져올 일련의 프로젝트들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유즈노예 부토보 구는 이런 식으로 연결된 최초의 지구였다.[2]
이러한 새로운 프로젝트에는 경량 메트로(京都)라는 용어가 적용되었는데, 이는 지속적인 고도 구조를 특징으로 하기 때문이다. 보다 가혹한 기후 요소에 저항하고 더 날카로운 곡선을 협상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라인에 사용하기 위해 특수 롤링 스톡을 개발해야 했다. 운행의 편의를 위해, 경전철은 기존의 지하철 서비스에 통합되었다.[3]
부토프스카야 선은 본질적으로 세르푸홉스코-을 확장하고 있다.세르푸홉스키 종점 너머 티미랴제프스카야 선 5.6km(3.5mi) 노선은 2003년 12월 27일에 개통되었다. 처음 1.6km(0.99mi)는 터널 안에서 지루해졌고, 이로 인해 불바르 드미트리야 돈스코고 종착역에서 편리한 환승 연결이 가능했다. 나머지 길이의 경우 음속 장벽에 의해 단일 트랙과 이중 트랙이 모두 보호되고 상승한다. 현재 각각 동일한 설계의 고가역 4개가 운영되고 있다. 울리차 스타로카찰로프스카야를 제외한 이들 모두 휠체어 이용객만을 위한 승강기가 있다.
이 노선은 울리타 스타로카찰롭스카야 9호선과 비체프스키 공원 6호선과 교차한다.
스테이션
스테이션 이름 | 옮기다 | |
---|---|---|
영어 | 러시아어 | |
비트세프스키 공원 | Битцевский парк | ![]() |
레소파르코바야 | Лесопарковая | |
울리차 스타로카찰롭스카야 | Улица Старокачаловская | ![]() |
울리차 스코벨렙스카야 | Улица Скобелевская | |
불바르 아드미랄라 우샤코바 | Бульвар Адмирала Ушакова | |
울리차 고르차코바 | Улица Горчакова | |
부닌스카야알레야 | Бунинская аллея | |
롤링 스톡
이 노선은 바르샤브스코에 창고(8번)를 세르푸홉스코-와 공유한다.티미랴제프스카야 선 특별 제작된 81-740/741 (Rusich) 열차가 이 노선을 운행한다. 이것들은 야외 활동을 위해 고안되었다. 현재 총 12대의 3량 열차가 배정되어 있다.
최근 개발 및 향후 계획
비록 경전철이 정말 혁신적이긴 했지만, 그것은 또한 다른 사회 집단과 미디어로부터 비판의 몫을 받았으며, 이것은 그것의 미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주된 문제점은 재정에서 비롯되었는데, 그 디자인은 원래 비용 절감을 위해 계획되었지만, BLLM은 기존의 메트로 노선보다 더 비싼 것으로 밝혀졌다.[4] 승객들의 불편은 짧은 열차와 더 큰 구간에서 발생했지만, 특히 경전철 역은 뒤편으로는 역방향 편향이 없는 본선 양쪽에 2개의 분리된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울리타 스타로카찰로프스카야/불바르 드미트리야 돈스코고에서의 환승으로 일어났다. 결과적으로, 승객들은 플랫폼에서 더 긴 시간 동안 줄을 서야 하고 또한 기차를 타기 전에 빠져나가는 교통을 다루어야 한다. 비행교로 인한 경관 훼손으로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했다.
게다가, 개업한 지 불과 몇 달 만에 비용이 많이 들고 당혹스러운 개선이 이루어져야 했다. 첫째, 결함이 있는 새 열차는 즉각적이고 예상치 못한 재조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개선되어야 했고, 또한 소음 장벽에도 불구하고, 선로 자체의 관절을 수리함으로써 추가적인 소음 감소 작업을 수행해야 했다.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모스크바 메트로에서는 BLLM에 대해 몇 가지 확장 프로그램을 계속 내놓고 있는데, 그 중 첫 번째 프로그램은 터미널 플랫폼을 북쪽 방향과 남쪽 방향으로 분리하는 것이다. 현재 이것은 2010년에 발표되었다. 완공된 후, 처음에는 Kaluzhsko-Rizhskaya 선 종착역을 향해 북서쪽으로 지하 확장을 계획했고, 노보야세네프스카야는 두 개의 새로운 역이 생겼다. 2014년 2월 27일 문을 연 레소파르코바야와 비체프스키 공원. 그 이후로 모스크바 메트로는 프로젝트를 연기했고 심지어 2015년까지 완성될 주요 프로젝트 목록에서 그것을 삭제했다.[5]
부토버가 계속 성장함에 따라 남동부로의 3개 스테이션의 추가 확장이 제안된다. 울리차 스타로포타포프스카야, 울리차 오스타피예프스카야, 노보쿠리아노보 등이 새 창고와 함께 들어섰다. 후자의 건설은 이 노선이 운영에서 보다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중추적인 것으로 증명될 수 있다. 새로운 계획의 지도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역과 함께 밀리즈키 포슬록(또는 이스트 셔빈카)으로의 연장이 계획되어 있다. 부닌스카야 알레야에서 소콜니체스카야 선으로의 환승은 2023년 이후 계획되어 있다.
부토버 노선의 문제는 제2 계획 노선인 솔랑세브스카야 경전철 노선이 현재 취소됨에 따라 일반적으로 다른 경전철 노선의 전망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 노선은 2004년에 착공하여 2006년에 개통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연착을 거듭한 끝에 모스크바 메트로가 기존의 칼리닌스코-솔랑체브스카야 노선으로 되돌아가는 것이 보다 실용적일 것이라고 결정했다. SL이 취소된 이후 노선을 분해해 STL의 2-3국 증설로 대체하는 것이 더 실용적일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BL의 운명이 훨씬 더 나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왔다.
단점에도 불구하고, BL의 한 가지 긍정적인 측면은, 롤링 스톡의 직렬 생산인 81-740/741 열차는 더 넓은 용도를 얻었고, 현재는 Filyovskaya 노선에서 지배하고 있으며, 구형 열차를 모두 교체하고 Arbatsko-의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포크로프스카야 선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부토프스카야 선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참고 항목
참조
- ^ Moscow Metro. 2012 annual report (PDF). p. 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6-03-05. Retrieved 2015-04-07.
- ^ [1]
- ^ [2]
- ^ [3]
- ^ Перспективы развития (in Russ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5, 2008. Retrieved June 12, 2008.
외부 링크
경로 지도:
KML 파일(편집 • 도움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