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마라톤

C.D. Marathón
마라톤
풀네임클럽 데포르티보 마라손
닉네임엘 몬스투로 베르데 (그린 몬스터)
로스 판자스 베르데스 (그린 벨리즈)
베르돌라가스
에스메랄다스 (Emeraldas)
신포니아 베르데 (그린 심포니)
설립1925년 11월 25일, 98년 전 (1925-11-25)
이스타디오 얀켈 로젠탈,
온두라스 산페드로술라
용량.15,000
주인오린슨 아마야
부장님살로몬 나자르
리그리가 나시오날
2021–22아페르투라, 10분의 6
클라우수라, 10분의 5
웹사이트클럽 웹사이트

클럽 데포르티보 마라손(Club Deportivo Marathon)은 온두라스의 축구 클럽으로, 산페드로술라를 연고로 하고 있습니다. 1925년 11월 25일에 창단한 마라톤은 현재 온두라스의 나시오날 푸트볼 프로축구 리그에 참가하고 있습니다.[1]

역사

클럽 데포르티보 마라손은 1925년 11월 25일 산페드로술라에서 엘로이 몬테스와 그의 친구들에 의해 창단되었습니다.[2] 그 이후로, 마라톤은 온두라스에서 가장 권위있는 클럽들 중 하나가 되었고, 여러 번 우승을 했습니다. 클럽 데포르티보 마라톤에는 유소년팀을 위한 다양한 경기장이 있으며, 야간 경기를 위해 테니스 시멘트 기반의 푸스볼까지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 후, 장소는 여러 해 동안 마라톤 그룹의 친구들(GAMA)과 여러 이사회의 지원으로 개선되었습니다.

첫번째 타이틀 (1979)

구단은 1979년에 앙헬 라몬 로드리게스의 지휘 하에 창단 첫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호베르투 베일리, 아르투로 보니야,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톨레도, 셀소 귀티, 에프라인 오소리오, 라몬 오소리오, 르네 수아조, 호르헤 알베르토 부에소, 펠릭스 카란자, 호르헤 포유, 알베르토 메렐레스, 그리고 후안 카를로스 웨버와 같은 인물들로, 구단은 정규 시즌 순위에서 1위를 유지했습니다. 결승전 진출을 확정한 엘 몬스투베르데는 푸마스 UNAH를 두 다리로 2-0으로 이겼습니다.

두 번째 타이틀 (1985)

마라톤이 또 한번의 우승을 차지하는데 6년이 걸렸습니다. 이것은 1985년에 달성되었습니다. 당시세이바의 곤살로 젤라야가 팀 코치였습니다. 정규 시즌에, 마라손은 CD에 이어 조 2위를 차지했습니다. 골득실 올림피아. 마지막 라운드에서, 마라톤은 비다, 모타과, 올림피아에게 4승 1무 1패를 기록하며 챔피언이 되었습니다. 산페드로술라의 에스타디오 프란시스코 모라잔에서 열린 결정전에서, 마라톤은 비다와 맞붙었습니다. 로이 파딜라 바르달레스(Roy Padilla Bardales)의 골로 에메랄드 의상이 1-0으로 승리하여 두 번째로 리그 챔피언에 올랐습니다.

세 번째 타이틀 (2002)

마라톤은 거의 17년 동안 리그 우승 없이 가뭄을 겪었습니다. 그러나 새로운 세기가 시작되면서 클럽은 부활하기 시작했습니다. 2001년 온두라스의 첼라토 우클레스 감독이 대대적인 보수 공사를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유명 선수들이 많지 않은 팀을 이루면서, 우클레스는 마라톤을 다시 한 번 정상에 올려놓았고, 엘 몬스투루로 베르데를 리그에서 가장 강력한 팀 중 하나로 자리매김시켰습니다. 우클레스는 아페르투라 결승전에서 모타과를 상대로 승부차기 끝에 5-3으로 패하며 팀을 이끌었습니다. 그러나 마라톤의 위대한 업적은 여러 언론인들과 취미주의자들 그리고 기술자들에게 그들의 공격적이고 매력적인 축구로 인정을 받았고 박수를 받았습니다. 클라우수라 시즌, 마라톤은 승점 29점으로 정규 시즌 3위를 기록했고, 플라텐세와 준결승전에서 맞붙었습니다. 1차전에서, 마라톤은 산페드로술라에서 엔리케 르네우의 골로 2-1 승리를 거두었고, 플라텐스는 클리포드 라잉의 골로 1골을 만회했습니다. 2차전에서, 마라손은 푸에르토 코르테스와의 경기에서 0-0으로 비겼고, 결승전에 진출했습니다. 마라톤은 올림피아와 결승전에서 맞붙었고, 준결승전에서 빅토리아를 합계 3-2로 꺾었습니다. 이스타디오 올림피코 메트로폴리타노에서 열린 1차전에서, 마라톤은 나이젤 주니가의 페널티킥과 엔리케 르네우와 오스카르 바르가스의 골로 올림피아를 4-1로 물리쳤습니다. 에스타디오 티부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에서 열린 2차전에서 올림피아는 1-0으로 이겼지만, 마라톤이 합계 4-2로 이기며 3번째 리그 우승을 차지하는 데는 역부족이었습니다.

4번째 타이틀 (2003)

13개월 만에, 마라톤은 또다시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클라우수라 대회에서 에스메랄다스는 브라질 플라비오 오르테가 감독이 맡았습니다. 오르테가는 시즌 중반에 떠난 아르헨티나 출신 미겔 앙헬 렘메를 대신했습니다. 플라비오 오르테가가 팀을 들어올려 마침내 정규 시즌 2위에 올랐습니다(올림피아만 제쳤습니다). 준결승전에서, 마라손은 레알 에스파냐를 상대했습니다. 1차전에서 양팀은 1-1로 비겼고, 앙리 히메네스가 레알 에스파냐에서 먼저 골을 넣었지만, 퐁필리오 카초는 동점을 만들었습니다. 3일 후,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메트로폴리타노에서 열린 복귀전에서 양측은 다시 1-1로 비겼습니다. 마라손은 정규 시즌 순위에서 더 높은 순위를 기록하며 결승전에 진출했습니다. 마라톤은 결승전에서 모타과를 상대하였고, 모타귀엔세는 올림피아를 준결승전에서 탈락시켰습니다. 결승전 1차전은 에스타디오 티부르시오 카리아스 안디노에서 열렸고, 마라톤은 에밀 마르티네스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복귀전에서, 마라혼은 올림피코 메트로폴리타노에서 35,000명의 팬을 확보했는데, 이는 리가 나시오날 역사상 두 번째로 높은 관중 기록입니다. 전반 39분 루이스 오세게라의 골로 모타과가 먼저 치고 나갔지만 전반 막판 폼필리오 카초가 동점골을 터뜨렸습니다. 후반전에, 마라손은 2골차로 앞서 나갔고, 둘 다 데닐손 코스타가 득점했습니다. 이로써, 마라톤은 네 번째로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5번째 우승 (2004)

은 2004년에 다섯 번째 우승을 했습니다.선수인 니콜라스 수아소는 올림피아를 상대로 마라톤을 이끌었습니다. 산페드로술라에서의 첫 경기에서 승리한 후, 마라톤은 에드가르도 시모비치의 2골에 힘입어 연장전에서 동점을 획득했습니다.

6번째 타이틀 (2007)

2007년 12월 22일, 마라손은 6번째 리그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마누엘 케세이안의 지도 하에, 구단은 테구시갈파에서 열린 1차전에서 0-0으로 비긴 후, 산페드로술라의 모타과를 2-0으로 이겼습니다. 미첼 브라운에릭 스콧이 결승골을 넣었습니다.

7번째 타이틀 (2008)

2008년 12월 13일, 마라톤은 구단 역사상 7번째이자 새 세기의 5번째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케오세이안이 다시 감독을 맡으면서, 구단은 1차전에서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메트로폴리타노에서 레알 에스파냐를 1-0으로 이겼습니다. 2차전에서 양팀은 1-1 무승부를 기록했습니다.

8번째 타이틀 (2009)

2009-10 시즌, 마라톤은 올림피아와 아페르투라 결승전에서 맞붙었습니다. 테구시갈파에서의 1차전에서 1-0으로 패한 로스 판자스 베르데스는 2차전에서 기예르모 라미레스제리 팔라시오스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9번째 우승 (2018)

2018년 5월 19일, 마라톤은 9번째로 만원을 기록했습니다. 마라톤은 모타과를 상대로 두 경기를 1-1로 마친 후, 승부차기에서 5-4로 승리했습니다. 엑토르 바르가스 감독의 지도 아래 구단은 시즌 내내 평정심을 유지했습니다.

경기장

마라톤은 산페드로술라에 위치한 에스타디오 얀켈 로젠탈에서 홈경기를 치릅니다. 마라톤은 온두라스에서 유일하게 자체 경기장을 가지고 있는 팀입니다. 얀켈 로젠탈(Yankel Rosenthal)은 온두라스 산페드로술라의 콜로니아 라 사바나(Colonia La Sabana)에 위치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7,000명의 팬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2007년 전면 완공 예정이었던 이 사업은 재정 문제로 2009년으로 연기되었습니다.

클럽 대항전

고전파 나시오날

클라시코 나시오날(El Classico National Classic)은 온두라스의 축구 더비이다. 올림피아와 마라톤, 전자는 테구시갈파 출신이고 후자는 산페드로 술라 출신입니다. 라이벌 관계는 1928년 9월 당시 센트럴 존 챔피언이었던 올림피아가 북부 챔피언인 마라톤을 상대로 세 번의 결승전에서 승리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행사는 내셔널 클래식을 만들었습니다.

클라시코 데 라스 M's

클라시코 라스 엠스() 또는 엘 데르비라스 엠스()FC 간의 더비 축구 경기입니다. 온두라스에서 가장 성공적이고 인기 있는 두 축구팀인 테구시갈파와 마라톤 출신의 모타과.

고전파 삼페드라노

엘 클라시코 삼페드라노(El Classico Sampedran Derby)는 마라톤과 레알 C.D.가 맞붙습니다. 에스파냐. 두 팀은 산 페드로 술라 출신으로,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지지하다

마라톤은 온두라스의 라 리가 나시오날푸트볼 프로피시온의 빅 4 팀 중 하나로, 팬 수 기준으로는 온두라스의 두 번째 팀이며, 올림피아에 의해서만 패배했습니다.

IFFHS 클럽 랭킹

2009년, 마라톤은 국제 축구 역사 통계 클럽 세계 랭킹에서 당시 온두라스 구단 중 가장 높은 234위를 기록했습니다. 2020년 12월 31일 현재, 마라톤은 400명 중 384명으로 중국 슈퍼리그의 상하이 선화에 뒤지고 있습니다.

업적

국내의

1979-80, 1985-86, Clausura 2002, Clausura 2003, Apertura 2004, Apertura 2007, Apertura 2008, Apertura 2009, Clausura 2018
준우승 (12): 1966-67, 1967-68, 1973-74, 1980-81, 1987-88, 아페르투라 2001, 클라우수라 2004, 클라우수라 2005, 아페르투라 2005, 클라우수라 2007, 클라우수라 2008, 클라우수라 2012.
1994, 2017
준우승: 1972
2019
준우승: 2017

국제

3위: 1995

리그 및 플레이오프 성적

(1994–현재)[3]

계절 위치 GP W D L 여자친구 GA PTS 플레이오프. 플. W D L GS GA PTS
1994–95 6일 27 9 7 11 34 33 34 1차 2 0 2 0 1 1 2
1995–96 네번째 27 9 9 9 32 31 36 1차 2 0 1 1 0 2 0
1996–97 5일 27 10 7 10 31 29 37 1차 2 1 0 1 2 2 3
아페르투라 1997 네번째 20 8 8 4 30 24 32 1차 2 0 0 2 2 4 0
클라우수라 1998 네번째 20 7 9 4 29 28 30 1차 2 0 1 0 1 1 1
1998–99 일곱번째 18 4 9 5 16 16 21 자격 미달 - - - - - -
아페르투라 1999 8일 18 3 8 7 16 22 17 자격 미달 - - - - - -
클라우수라 2000 5일 18 6 4 8 24 22 22 준결승 4 1 3 0 4 3 5
아페르투라 2000 9일 18 4 6 8 20 25 18 자격 미달 - - - - - -
클라우수라 2001 세번째 18 9 3 6 30 20 30 준결승 4 1 2 1 4 4 5
아페르투라 2001 두번째 18 8 7 3 28 22 31 준우승 4 2 1 1 6 5 7
클라우수라 2002 세번째 18 8 5 5 27 21 29 챔피언스 4 2 1 1 6 3 7
아페르투라 2002 세번째 18 7 7 4 22 16 28 준결승 2 1 0 1 1 2 3
클라우수라 2003 두번째 18 10 3 5 33 17 33 챔피언스 4 2 2 0 6 4 8
아페르투라 2003 네번째 18 8 4 6 21 16 28 준결승 2 0 1 1 3 5 1
클라우수라 2004 세번째 16 7 4 5 22 14 25 준우승 4 2 1 1 5 4 7
아페르투라 2004 세번째 18 10 4 4 23 17 34 챔피언스 4 3 1 0 8 5 10
클라우수라 2005 두번째 18 7 6 5 24 22 27 준우승 4 0 3 1 3 4 5
아페르투라 2005 세번째 18 7 8 3 30 26 29 준우승 4 3 0 1 7 4 9
클라우수라 2006 9일 18 2 5 11 16 27 11 자격 미달 - - - - - -
아페르투라 2006 네번째 18 8 6 4 30 20 30 준결승 2 1 0 1 2 3 3
클라우수라 2007 두번째 18 11 4 3 32 16 36 준우승 4 2 0 2 5 6 6
아페르투라 2007 첫 번째 18 10 3 5 27 16 35 챔피언스 4 2 1 1 4 1 7
클라우수라 2008 두번째 18 9 3 6 30 23 30 준우승 4 1 1 2 6 7 4
아페르투라 2008 두번째 18 9 5 4 26 20 32 챔피언스 4 2 1 1 3 2 7
클라우수라 2009 두번째 18 10 4 4 42 23 34 준결승 2 0 0 2 2 6 0
아페르투라 2009 첫 번째 18 11 5 2 32 16 38 챔피언스 4 2 0 2 5 4 6
클라우수라 2010 일곱번째 18 4 7 7 23 24 19 자격 미달 - - - - - -
아페르투라 2010 두번째 18 8 7 3 26 18 31 준결승 2 0 1 1 2 4 1
클라우수라 2011 네번째 18 7 4 7 21 17 25 준결승 2 1 0 1 1 1 3
아페르투라 2011 두번째 18 9 4 5 32 19 31 준결승 2 0 1 1 0 1 0
클라우수라 2012 세번째 18 8 7 3 25 19 31 준우승 6 2 3 1 4 2 6
아페르투라 2012 네번째 18 6 5 7 21 26 23 1차 2 0 2 0 2 2 1
클라우수라 2013 네번째 18 5 9 4 26 21 24 1차 2 0 1 1 2 4 1
아페르투라 2013 10일 18 4 5 9 20 30 17 "자격 미달" - - - - - -
클라우수라 2014 5일 18 6 6 6 22 25 24 준우승 2 2 4 0 3 1 10
아페르투라 2014 일곱번째 18 5 7 6 20 25 22 "자격 미달" - - - - - -
클라우수라 2015 세번째 18 8 5 5 20 23 29 1차 2 1 0 1 3 4 3
아페르투라 2015 5일 18 6 6 6 26 22 24 1차 2 0 2 0 0 0 2
클라우수라 2016 6일 18 7 4 7 25 20 25 1차 2 1 0 1 2 1 3
아페르투라 2016 5일 18 6 6 6 22 22 24 1차 2 1 0 1 3 3 3
클라우수라 2017 5일 18 8 3 7 26 22 27 1차 2 1 0 1 1 1 3
아페르투라 2017 첫 번째 18 11 1 6 27 21 34 준결승 2 1 0 1 3 4 3
클라우수라 2018 첫 번째 18 11 4 3 35 23 37 챔피언스 4 2 2 0 4 2 8

기타사실

  • 마라톤은 온두라스에서 공식 경기에서 멕시코 클럽을 이긴 첫 번째 팀이었습니다. 1981년, 마라톤은 에스타디오 아즈테카에서 크루스 아술을 3-1로 이겼고, 이 과정에서 안방에서 멕시코 클럽을 이긴 첫 온두라스 팀이 되었습니다.
  • 마라톤이 남아메리카의 상대를 상대로 한 첫 경기는 1968년, 콜롬비아의 쿠쿠타 데포르티보와의 경기였습니다. 마라손은 이스타디오 모라잔에서 3-0으로 승리했습니다. 마라톤이 남미 팀을 상대로 치른 마지막 경기는 2002년 이스타디오 올림피코 메트로폴리타노에서 열린 아르헨티나의 강호 리버 플레이트와의 경기에서 3-1로 이겼다.[4]
  • 그들이 멕시코 팀을 상대로 한 첫 경기는 1967년 그들이 CD에 승리했을 때였습니다. 이라푸아토는 프란시스코 모라잔 스타디움에서 6-3으로 이겼습니다.
  • 마라톤은 1969년에 브라질 클럽 산토스와의 경기를 열었는데, 이 경기는 1-1로 비겼습니다. 펠레는 후반전에 패배했습니다.
  • 1960년대와 1970년대의 마라손은 "외국인 팀 집행자"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이때 온두라스 팀은 마라톤, 올림피아와 달리 외국인에게 휩쓸리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입니다. 당시 가장 중요한 승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966년에는 코스타리카의 데포르티보 사프리사를 프란시스코 모라잔에서 4-0으로 완파하고, 1967년에는 멕시코의 파추카를 2-1로, 1971년에는 페루의 스포르팅 크리스털을 2-1로 꺾었습니다.
  • 그 클럽의 최고 득점자는 78골을 넣은 길베르토 레오넬 마차도입니다.[5]
  • 마라톤의 역대 리그 최다 우승은 1976년 캄파멘토를 7-0으로 완파한 것입니다.[6]
  • 2009년, 멕시코의 톨루카이스타디오 네메시오 디에즈에서 열린 CONCACAF 챔피언스리그에서 7-0으로 패하면서, 마라톤은 역대 최대 패배를 기록했습니다.

CD 마라톤의 수비수인 안드레 오렐라나는 CD 올림피아와의 경기에서 그의 측면에서 끔찍한 두 발 태클로 레드카드를 받은 후 화제를 모았습니다.

리그와 성적

역대표

(1965~1966~2009~10년)

계절들 포인트 놀았다. 핼쑥한 잃다 위해서 그에 반대하여 차이
55 2048 1412 523 479 412 1791 1491 +300

국제경쟁

CONCACAF 챔피언스리그

1라운드 대 C.S.D. 시정촌 – 0:1, 0:3 (시정촌은 합계 4:0으로 앞당겨짐)
1라운드 대 C.S. 세레디아노 – 3:0, 1:3 (마라톤 합계 4:3 진출)
1라운드 대 코무니카시오네스 FC – 1:1, 4:0 (마라톤이 합계 5:1로 진출했으나 시리즈 후 기권)
1라운드 V.C.D. 산티아고 – 4:0, 1:1 (마라톤 합계 5:1 진출)
2라운드 대 크루스 아줄 – 3:1, 1:1 (마라톤 합계 4:1 진출)
3라운드 대 CD 아틀레티코 마르테 (마라톤은 기권)
1라운드 대 알리안자 FC – 0:1, 3:2 (알리안자가 페널티킥으로 4:2 진출)
Group C v. Guatemala C.S.D. 시정촌 – 2:0
Group C v. El Salvador C.D. Águila – 1:0
그룹 C 대 알라주엘렌세 – 0:1
3라운드 v. Costa Rica Alajuelense – 0:2
3라운드 v. Guatemala 오로라 FC – 2:1
3라운드 대 CD Olimpia – 1:2
예선 대 서기전. 이시드로 메타판 – 2:2, 1:2 (마라톤 합계 4:3으로 진출)
A조 대 크루즈 아줄 – 2:0, 1:1
A조 대 D.C. 유나이티드 – 2:0, 2:4
그룹 Av. Saprisa – 2:1, 2:0
8강전 vs 푸에르토리코주민 – 2:1, 1:0 (섬 주민 합계 3:1 진출)
B조 대 D.C. 유나이티드 – 3:1, 3:0
B조 대 산후안 자블로테 FC – 3:1, 2:4
B조 대 데포르티보 톨루카 FC – 0:7, 2:0
8강전 대 UNAM – 2:0, 1:6 (UNAM 합계 6:3 진출)
C v. 시애틀 사운더스 FC – 2:1, 2:0
Cv. 사프리사 그룹 – 4:1, 2:1
Cv. CF 몬테레이 – 2:0, 0:1조
4조 대 칼레도니아 AIA – 0:0, 2:1
4조 대 시애틀 사운더스 FC – 2:3, 3:1
16강전 산토스 라구나 – 2:6, 5:0 (합계 11:2 진출)
16강전 포틀랜드 팀버스 – 2:2, 0:5 (포틀랜드 진출 합계 7:2)

CONCACAF 리그

예선 코무니카시오네스 FC – 2:1, 1:1 (코무니카시오네스 합계 3:2 진출)
16강 v. Antigua GFC – 1:1 (마라톤이 승부차기에서 4:3으로 이기고 진출)
8강전 대 사프리사 – 0:2 (사프리사 진출)
플레이 인 라운드 vs 포지 FC – 1:0 (마라톤 2021 CONCACAF 챔피언스리그 진출권 획득)

토르네오 파르테니다드

  • 1980년 토르네오 이란디다
1차 대 CD FAS – 1:2, 0:8(FAS 고급화 합계 10:1)
  • 1981년 토르네오 파르테니다드
1차전 V.C.D.아길라 – 2:1, 5:0 (마라톤 합계 7:1 진출)
  • 1982년 토르네오 파르테니다드
1라운드 vs 클럽 셀라주 MC – 0:2, 1:1 (셀라주 MC 합계 3:1 진출)

코파 인터클럽 UCAF

그룹 C 대 알라주엘렌세 – 1:2
Cv. FC 모타과 – 1:2조
Cv 대 타우로 FC – 4:0
3조 대 샌프란시스코 FC – 5:0
3조 대 CD. Olimpia – 0:0
조별리그 3 v. 알라주엘렌세 – 0:0
1라운드 v-Parmalat FC – 3:0 (Parmalat 기권)
8강전 대 데포르티보 사프리사 – 0:4, 4:0 (사프리사가 승부차기에서 5:4로 앞서)
1라운드 V.C.D.아길라 – 2:0, 1:1 (마라톤 합계 3:1 진출)
8강전 대 데포르티보 마르켄스 – 1:1, 0:1 (마르켄스 합계 2:1 진출)

현재 선수단

2022년 9월 28일 기준[7]

참고: 국기는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정의된 국가대표팀을 나타냅니다. 선수들은 둘 이상의 비 FIFA 국적을 보유할 수 있습니다.

No. Pos. 국가 플레이어
1 GK Uruguay URU 빅토르 가르시아
2 DF Honduras 브라이언 배리오스
3 DF Honduras 엘머 귀티
4 MF Honduras 프란시스코 마르티네스
5 MF Honduras 루이스 베가
6 DF Honduras 아드리안 라미레스
7 MF Honduras 아이작 카스티요
8 MF Honduras 세르히오 페냐
9 FW Honduras 클레이빈 주니가
10 MF Honduras 다민 라미레스
11 FW Honduras 셀링 게바라
12 FW Honduras 세자르 기옌
13 MF Honduras 오르빈 카브레라
14 DF Honduras 하비에르 아리아가
15 DF Honduras 알란 바르가스
No. Pos. 국가 플레이어
16 MF Honduras Denilson Núñez
17 DF Argentina ARG 브라이안 몰리나
18 FW Argentina ARG 루카스 캄파나
19 MF Honduras 호세 아길레라
20 MF Honduras 악셀 모티뇨
21 MF Honduras 오딘 라모스
23 GK Panama 세자르 사무디오
24 DF Honduras Óscar Barrios
29 MF Honduras 제이슨 콘트레라스
30 FW Honduras 에드윈 솔라노
31 FW Honduras 바이런 로드리게스
34 FW Honduras 제프리 미란다
35 MF Honduras Víctor Berríos
38 MF Honduras 브라얀 카스티요

예비팀

참고: 국기는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정의된 국가대표팀을 나타냅니다. 선수들은 둘 이상의 비 FIFA 국적을 보유할 수 있습니다.

No. Pos. 국가 플레이어
60 DF Honduras 메이콜 올리비아
61 GK Honduras 루이스 오르티스
No. Pos. 국가 플레이어
77 GK Honduras 에드윈 마린

선수기록

최다골

(2019년 10월 21일 기준) 볼드한 선수들은 여전히 활동중

# 플레이어 목표들 몇 해
1 Honduras 길베르토 마차도 78 1979–1991
2 Honduras 에밀 마르티네스 66 2001–2004, 2006–2008, 2009, 2011, 2013, 2014–2016
4 Honduras 아르투로 보니야 57[8] 1972–1985
5 Honduras 퐁필리오 카초 56 1995–2003, 2005–2006
6 Honduras 로베르토 베일리 47 1978–1983
7 Honduras 마우로 카발레로 42 1965–1978
7 Honduras 호르헤 부에소 42 1979–1989
7 Honduras Nicolás Suazo 42 1989–1994
10 Honduras 마리오 베리오스 40 2000–2017
11 Honduras 치로 파울리노 카스티요 35 1983–1991, 1992–1997
12 Honduras Arnulfo Echeverría 34 1969–1972
13 Honduras 디에고 레예스 33 2014–2016
14 Brazil Honduras 플라비오 오르테가 30 1968–1972
14 Honduras 미첼 브라운 30 2007, 2009, 2012, 2014
16 Uruguay 에드가르도 시모비치 28 2004–2005
17 Honduras 카를로스 올리바 25 2001–2002, 2006–2009
18 Brazil 데닐슨 코스타 24 2003–2005
18 Honduras 루이스 라미레스 24 2005, 2009, 2012, 2014
20 Honduras 제리 팔라시오스 20 2008–2010, 2012

최다출현

(2013년 4월 20일 기준)

# 플레이어 출현 몇 해
1 Honduras 마우리시오 사빌론 486 1998–2009, 2010–2016
2 Honduras 마리오 베리오스 474 2000–2017
3 Honduras 아르투로 보니야[9] 266 1972–1985
4 Honduras 길베르토 마차도 261 1979–1991
5 Honduras 마리오 베아타 229 1992–1998, 2006–2010, 2012

클럽 볏과 색

1925년 이래로, 마라톤은 녹색, 흰색, 그리고 빨간색으로 구성된 같은 로고를 사용해왔습니다.

유니폼

녹색, 흰색, 그리고 빨간색의 볏 색과 함께, 마라톤은 최근에 검정색을 입었습니다. 팀 유니폼은 조마가 제작했습니다.

키트진화

전직 코치들

참고문헌

  1. ^ "Cinco equipos hondureños podrían no iniciar el Clausura 2018" (in Spanish). El Grafico. 3 January 2018. Retrieved 11 October 2020.
  2. ^ "Monstruo sediento" (in Spanish). Diario La Prensa. 10 August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September 2007. Retrieved 11 August 2007.
  3. ^ "Honduras – List of Champions".
  4. ^ "El día que River fue bailado y humillado por Marathón" [The day that River was stunned and humiliated by Marathón] (in Spanish). Diario Diez. 2 July 2016. Retrieved 10 July 2021.
  5. ^ "creíque miécord duranto": Machado 2012년 8월 20일 Wayback Machine – La Prensa (스페인어)보관
  6. ^ "Marathón, el equipo que receta "manitas" en Honduras" [Marathón, the team that prescribes "manitas" in Honduras] (in Spanish). Diario Diez. 22 December 2013. Retrieved 10 July 2021.
  7. ^ "Plantilla del CD Marathón Temporada 2021/2022". Futbol.com. Retrieved 12 July 2021.
  8. ^ Desafíea Ismael 2013년 8월 12일 아카이브에서 보관.today – La Prensa (스페인어)
  9. ^ Desafíea Ismael 2013년 8월 12일 아카이브에서 보관.today – La Prensa (스페인어)
  10. ^ "Mattera Sport Gimnasio Hoja de Vid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January 2012. Retrieved 12 August 201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