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 바야돌리드

CB Valladolid
바야돌리드
Valladolid logo
리그리가 ACB
설립.1976
용해.2015년[1]
역사CB 바야돌리드
(1976–2015)
아레나폴리데포르티보 피수에르가
용량.6,800
위치바야돌리드, 카스티야레온
팀 컬러보라색과 금색
대통령수닐 바드와이
헤드코치포르피리오 피삭
선수권 대회1 LEB 오로 챔피언십
폐기된 번호5 랄로 가르시아
웹 사이트cbvalladolid.es

발롱케스토 바야돌리드는 스페인 카스티야-레온바야돌리드를 연고지로 하는 프로 농구 팀이었다.CB 바야돌리드는 ACB(Asociion de Clubs de Baloncesto)의 멤버였다.이 팀에서 뛰었던 유명한 선수들로는 아르비다스 사보니스, 오스카 슈미트, 윌리엄스, 에드 오배넌, 파나기오티스 바실로풀로스가 있다.

2015년, 클럽은 재정적인 문제로 해체되었다.그것은 전 선수 마이크 핸슨이 즉시 만든 CB Ciudad de Valladolid로 대체되었다.

스폰서 이름 지정

CB 바야돌리드는 그 역사를 통해 다양한 상호를 받아왔다.연도별 교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임팔라 투어 1978-1979
  • 미욘 바야돌리드 1979-1983
  • 포룸 바야돌리드 1983-1992, 1993-2006
  • 그루포 리브로 바야돌리드 1992-1993
  • 그루포 캐피톨 바야돌리드 2006-2008
  • 블랑코스루에다 바야돌리드 2009-2013
  • 마이위고 바야돌리드 2014-2015

계절별

계절 계층 나누기 포스 W~L 코파 델 레이 기타 컵 유럽 대회
1976–77 1 1 † 디비시온 11번째 7–15 제1라운드
1977–78 2 2★ 디비시온 세 번째 19–3–8
1978–79 2 1 † 디비시온 B 첫 번째 20–2
1979–80 1 1 † 디비시온 아홉 번째 9–1–12 준결선 진출자 3 코라치 컵 QF 6–4
1980–81 1 1 † 디비시온 여섯 번째 13–13 16강
1981–82 1 1 † 디비시온 넷째 16–1–9 준결승전 3 코라치 컵 QF 4–4
1982–83 1 1 † 디비시온 여섯 번째 15–11 16강
1983–84 1 리가 ACB 12번째 10–20
1984–85 1 리가 ACB 아홉 번째 16–15 네 번째 위치 코파 프린시페 R3
1985–86 1 리가 ACB 11번째 12–19 코파 프린시페 SF
1986–87 1 리가 ACB 13일 13–18 코파 프린시페 R16
1987–88 1 리가 ACB 아홉 번째 14–16 준결승전 코파 프린시페 R16
1988–89 1 리가 ACB 17일 14–22 준결선 진출자
1989–90 1 리가 ACB 여섯 번째 26–12 16강
1990–91 1 리가 ACB 일곱 번째 23–16 제3라운드 코파 프린시페 RU
1991–92 1 리가 ACB 여덟 번째 23–15 제3라운드 3 코라치 컵 SF 10–4
1992–93 1 리가 ACB 18일 11–20 제3라운드 3 코라치 컵 R2 1–1
1993–94 1 리가 ACB 19일[a] 11–22 제2라운드
1994–95 1 리가 ACB 11번째 19–19
1995–96 1 리가 ACB 16일 15–23
1996–97 1 리가 ACB 15일 15–22
1997–98 1 리가 ACB 아홉 번째 16–18 준결승전
1998–99 1 리가 ACB 13일 13–21 3 코라치 컵 R32 5–3
1999–00 1 리가 ACB 12번째 15–19
2000–01 1 리가 ACB 여덟 번째 16–21
2001–02 1 리가 ACB 10번째 17–17 3 코라치 컵 GS 3–5
2002–03 1 리가 ACB 16일 11–23
2003–04 1 리가 ACB 11번째 16–18
2004–05 1 리가 ACB 12번째 13–21
2005–06 1 리가 ACB 14일 13–21
2006–07 1 리가 ACB 16일 12–22
2007–08 1 리가 ACB 17일 11–23
2008–09 2 LEB 오로 첫 번째 25–9
2009–10 1 리가 ACB 13일 13–21
2010–11 1 리가 ACB 아홉 번째 18–16 준결선 진출자
2011–12 1 리가 ACB 18일[b] 9–25
2012–13 1 리가 ACB 16일 12–22
2013–14 1 리가 ACB 18일 3–31
2014–15 2 LEB 오로 넷째 22–12
  1. ^ CB Cajabilbao의 프로모션 사임으로 ACB에 잔류.
  2. ^ Menorca Bassquet의 승진 사임으로 ACB에 남았다.

홈 아레나

CB 바야돌리드, 2007년 Pisuerga에서 Caja San Fernando와의 경기

주목받는 선수

참고: 깃발은 FIBA가 승인한 이벤트에서 국가 대표팀의 자격을 나타낸다.플레이어는 FIBA가 아닌 다른 국적을 보유할 수 있다.

기준

이 섹션에 나타나려면 플레이어가 다음 중 하나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 클럽에 있는 동안 클럽 기록을 세우거나 개인상을 수상합니다.
  • 국가 대표팀에서 한 번 이상 국제 경기를 치렀습니다.
  • NBA 공식 경기를 한 번 이상 치른 적이 있다.

헤드코치

  • 파코 가르시아 2005-2006
  • 하비에르 임브로다 2006-2008
  • 포르피리오 피삭 2008-2012, 2014-2015
  • 루이스 카시미로 2011-2012
  • 로베르토 곤살레스 2012-2013
  • 리카드 카사스 2013-2014

명예와 직함

2011년 1월 하프타임 팀

트로피

개인상

ACB 슬램덩크 챔피언

ACB 3점 슛 챔피언

모든 LEB Oro 퍼스트 팀

  • Mikel Uriz – 2015

레퍼런스

  1. ^ 해체 증명서 [1] 2015-06-18 Wayback Machine에 보관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