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토 카바게타운
Cabbagetown, Toronto카바게타운 | |
---|---|
이웃 | |
![]() 카바게타운의 주택 | |
좌표: 43°39′59″N 79°21′46″w / 43.664°N 79.3629°W좌표: 43°39′59″N 79°21′46″W / 43.664°N 79.362929W /43. | |
나라 | 캐나다 |
주 | 온타리오. |
도시 | 토론토 |
Cabbagetown은 캐나다 온타리오 주 토론토 중심부에 있는 이웃이다. 행정적으로, 그것은 Cabbagetown-South St. Jamestown 이웃의 일부로 정의된다.[1] 카바게타운 보존협회에 따르면 반세밀 빅토리아 시대 주택이 주로 특징이며, "북미 전역에서 빅토리아 시대 주택 중 가장 큰 연속 보존 지역"으로 인정받고 있다.
카바게타운의 이름은 1840년대 후반부터 이웃으로 이주한 아일랜드 이민자들이 앞마당에서 배추를 재배할 정도로 가난했다고 해서 유래되었다.[2] 캐나다 작가 휴 가너의 소설 '캡바게타운'은 대공황 당시 이웃의 삶을 묘사했다.
역사
오늘날 카바게타운으로 알려진 지역은 토론토 외곽의 돈 베일 마을로 처음 알려졌다. 1850년대 이전에는 시골과 채소밭이 점점이 있는 농경지로 이루어져 있었다. 1840년대 윈체스터 스트리트 다리 주변에서 성장했는데, 프린스 에드워드 비아도로가 건설되기 전까지만 해도 돈 강을 건너는 북방 주요 다리였다.[3] 이곳은 돈강에서 프랭크 브룩 성이 흘러간 장소 근처였다. 다리 옆에는 돈 베일 주점과 폭스 인이 설치되어 여행자들의 편의를 도모했다.[4] 1850년에 토론토 네크로폴리스가 그 지역에 그 도시의 주요 묘지로 설립되었다.
19세기 후반에 그 지역은 도시로 흡수되었다. 그곳은 코르크타운의 남쪽 해안가를 따라 공업에 종사하던 노동자 계급 아일랜드 주민들의 본거지가 되었다. 이 지역 곳곳에 벽돌 빅토리아 양식의 가옥이 지어졌다. 카바게타운이라는 이름은 새로운 마케도니아와 아일랜드 이민자들이 앞마당을 파헤치고 양배추를 심는 이야기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이 시대에 카바게타운의 이름은 제라드 가 남쪽 지역에 가장 자주 적용되었고, 북쪽 지역에 대한 부분은 여전히 돈 베일이라고 불린다. 그곳은 약 50%의 주민이 집을 빌릴 정도로 노동자 계층의 이웃이었다.[5] 그것은 제1차 세계 대전 직전에 번영의 절정에 이르렀는데, 그것은 그 지역의 많은 벽돌집들이 생겨날 때부터이다. 이웃에 보이는 다양한 건축 양식은 세컨드 엠파이어에서 베이앤 게이블, 하이 빅토리안 테라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훌륭한 예로는 삭빌 상트 377번지에 있는 프랜시스 실즈의 집이 있다.[6]
전쟁 후에 그 지역은 점점 더 피폐해졌다. 빈곤한 주민들이 대거 입주해 다주택자 가운데 한 채를 나눠 쓰는 경우가 많았다. 19세기 벽돌집들은 악화되기 시작했고, 집주인들이 이웃에서 가치가 적다고 보았기 때문에, 그것들은 유지되지 않았다.[7] 이곳은 토론토에서 가장 큰 빈민가 중 하나로 알려지게 되었고 원래의 카바게타운의 많은 부분이 리젠트 파크 주택 프로젝트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1940년대 후반 파괴되었다. 새로운 이민자 유입은 또한 이웃에 인종적 다양성의 시초로 이어진다. 당시에도 돈 베일로 알려져 있던 북쪽의 나머지 구간도 철거되고 주택사업으로 대체될 예정이었다. 1964년 토론토 스타의 한 작가는 "캡바게타운은 내리막길이 되었고 올라가는 길이라면 리젠트 파크에 살지 않는 한 그곳에 오래 머무를 수 없다"[8]고 썼다.
새로운 주택 건설은 1970년대에 중단되었다. 돈마운트에서는 이러한 노력이 1969년 지방선거에서 시의회에 당선된 칼 재퍼리와 함께 도시재생계획 전면화에 반대하는 동질감 있는 참의원 그룹이 주도했다. 존 시웰은 원래의 카바게타운의 남쪽 부분을 덮은 트레판 법원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을 주도했다. 인근 세인트 제임스 타운에 건설되고 있는 고밀도 고층건물에 대한 반발로 1970년대에 한 내법이 4층 이상 건물을 금지하도록 승인되었다.[9]
젠트리피케이션
Cabbagetown은 1970년대부터 부유한 전문가들에 의해 고급화되었다. 많은 주민들이 빅토리아 시대의 작은 연립주택을 복원하고 공동체 활동가가 되었다. 주민이자 지역 사업가인 Darrell Kent는 지역 사회로부터 이 지역의 아름답고 독특한 빅토리아 시대 주택들 중 많은 곳을 복구하는 원동력이 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10] 켄트는 동성애자 부동산 중개인이었기 때문에 게이 남성들과 일부 레즈비언들은 카바게타운의 가장 초기 젠트리피싱 그룹을 구성했다.[9] 그들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지역은 이상하게도 친근하다고 여겨진다.
1983년에 글로브 앤 메일은 이렇게 썼다.[11]
Cabbagetown은 아마도 성공적인 라벨링의 전형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회, 웰즐리, 던다스 스트리트, 돈 밸리에[citation needed] 의해 경계가 되는 것으로 정의되는 이 지역의 핵심이 한때 토론토의 미끄럼 싸움이었다. 젊은 전문직 종사자, 투기꾼, 부동산 중개업자들이 이 지역을 침공한지 약 1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이 지역에 색깔을 입히기 위해 주변에 버려진 사람들이 몇 명 있다. 한편 이 주택들은 20만 달러 이상에 팔리고 있다.
그 기사가 쓰여진 지 35년 후, 그 지역의 대부분의 주택들은 100만 달러가 훨씬 넘는 가격에 팔린다.
1960년대의 흔적과 반문화적 분위기는 빈티지 의류매장, 건강식품점, 게스탈트 치료 클리닉에 남아있다. 한때 동물원의 터였던 빅토리아식 농장이 리버데일 파크 웨스트에 인접해 있어 매주 농가의 장터가 열린다. 조금 떨어진 곳에 카바게타운 청소년 센터가 있는데, 카바게타운 복싱 클럽의 본거지로서, 더 이전과 더 거칠었던 과거를 상기시킨다. 최근 몇 년 동안, Church and Wellesley의 인근 "게이 마을"의 일부 사업체들이 저렴한 상업 임대료에 이끌려 이 지역으로 이전했다.
젠트리피케이션에도 불구하고, 공공 주택 사업에서 나온 주민들과 부유한 주택 소유자들은 할인 슈퍼마켓과 지역 의료원에서 어울린다. 패니 핸들링과 마약 거래는 도시 경관의 일부분이다; 미식가 가게, 고급 부티크, 예술 축제, 책 출시, 그리고 지역 식당에서의 와인 시식도 그렇다. 역설적으로[12]
던다스와 셔본 스트리트 근처에 위치한 제라드와 의회 이웃은 캐나다에서 가장 많은 노숙자 쉼터와 방문자 센터를 가지고 있다. 이 지역은 또한 많은 수의 숙박 주택과 다른 형태의 저소득 주택으로 구별된다.
주민 및 저명인사
이웃에는 많은 예술가, 음악가, 언론인, 작가들이 살고 있다. 그 밖에 교수, 의사, 사회복지사 등이 거주하고 있으며, 인근 토론토 대학과 University Avenue에 있는 많은 병원들과 제휴하고 있다. 금융지구와 도심 핵심부와의 인접성 또한 이 지역을 변호사, 경영 컨설턴트, 금융 서비스 종사자들과 같은 다른 전문가들에게 인기 있게 만들었다.[citation needed]
한때 카바게타운의 거주자였던 유명인사들은 다음과 같다.
- 브렌트 버트—코메디언
- 타렉 파타—기자
- 래리 게인스—복서[13]
- 에이브릴 라빈—캐나다 가수, 작곡가, 여배우
- Amy Millan—인디 포크/록 가수 및 기타리스트[14]
- 로비 로버트슨—뮤지션, 작곡가, 영화 작곡가, 프로듀서, 배우 및 작가
- Tonetta—싱어송라이터 및 비주얼 아티스트
"카바게타운 사람들"이라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역사적인 명판이 주목할 만한 집들에 놓여졌다. 리버데일파크웨스트에 위치지도가 세워져 있고, 이전 거주자들의 이름이 적힌 주소지표가 이 프로젝트에 전념하는 웹사이트에 게시되어 있다. 열거된 인물은 다음과 같다.
- 휴 가너
- 어니스트 맥밀런
- 베티 올리판트
- 알 퍼디
- 고든 싱클레어
- 어니스트 톰슨 세튼—애버딘 애비뉴 6번지에서 살았다.
- The Black Donnellys의 저자인 Thomas P. Kelley는 564년 국회의사당에서 살았다.
참고 항목
참조
- ^ "[1]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2014-12-15" 토론토 근린 목록
- ^ 도시경관 「[2]」
- ^ '돈 베일 하우스' 로스트 리버스
- ^ 돈을 기억하는 찰스 사우리올: 돈 강 계곡에서 더 일찍 일어난 기록. 던던 프레스 주식회사, 1981
- ^ Cruickshank, Tom (2008). Old Toronto Homes. Richmond Hill, Canada: Firefly Books. p. 167. ISBN 978-1-55407-382-5.
- ^ Cruickshank, Tom. Old Toronto Homes. p. 172.
- ^ 조심성 없어, J. M. S. "빅토리아 토론토에 있는 카바게타운의 출현." 부주의한 업무는 캐나다 역사 연구를 선택했다. 토론토: 던던 프레스, 1990. 309-315. 인쇄하다
- ^ 코릴리, 래. "프런트 잔디밭의 쓰레기, 1900년 토론토였다." 토론토 스타. 1964년 2월 15일 오후 1시
- ^ Jump up to: a b 후미아, 두렌. "분할, 하이 라이즈 및 경계: 토론토 시내 이스트사이드 근린에 관한 연구, 2010년 에트놀로지 32.0 2014년 12월 14일 검색됨
- ^ "Darrell K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06. Retrieved 2010-08-12.
- ^ "동네에 라벨을 붙이는 것." 이브 라빈 글로브와 메일. 1983년 11월 17일 페이지 CL.5
- ^ http://www.metrac.org/wp-content/uploads/2014/06/gerrard.parliament.jan08.pdf 안전 감사 보고서 카드 –제라드 스트리트 이스트 및 의회 스트리트 – 워드 27; 2008년 1월 29일 감사 실시
- ^ 이득, 래리(1976) 런던 EC4 14 플릿 스트리트, 더 임파서블 드림, 레저 출판사
- ^ "Opening up the Tombs". ottawaxpress.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3-05. Retrieved 2007-10-28.
- ^ [3]
추가 읽기
- Cabbagetown Store, J.V. McAree(단편 이야기): 라이어슨 프레스 (1953) (113쪽)
- 일하는 사람들: 시내 도시 근교의 생활, 제임스 로리머 & 마이판위 필립스: 제임스 루이스 & 새뮤얼 주식회사 (1971) (하드커버) ISBN 0-88862-011-X (274쪽) 제임스 루이스 & 사무엘 주식회사 (1971) (페이퍼백) ISBN 0-88862-012-8 (274쪽)
- 카바게타운, 휴 가너(노벨): 맥그로힐 라이슨/무역(1978) ISBN 0-07-082702-8(415쪽): 맥그로힐 라이슨/무역(2002) ISBN 0-07-091552-0(424쪽)
- 카바게타운: 빅토리아 시대의 이웃인 페니나 쿠퍼스미스 이야기: 제임스 로리머&코(1998) ISBN 1-55028-579-3(96쪽)
- '카바게타운 리멤버드, 조지 H. 러스트-D'눈: 보스턴 밀스 프레스 (1984) ISBN 0-919783-00-7
- Cabbagetown in Pictures, Colleen Kelly: 토론토 공공도서관 (1984) ISBN 0-919486-71-1
- 기존 Cabbagetown 둘러보기: Cabbagetown 보존 협회 (1992) ISBN 0-9696394-0-6
- The Banker of Cabbagetown, Eric S. 로젠: s.n. (1991) ISBN 0-9692017-3-7
- 제임스 와일리의 Cabbagetown 사진 이미지: V.A. Gates (1994) OCLC 317823728 (128쪽)
- 매듭, 팀 윈-존스(노벨): 맥클렐랜드와 스튜어트 리미티드(1982) ISBN 0-7710-9051-X
- 침입자: 소설 휴 가너: 맥그로우 힐 라이슨 (1976) OCLC 2603265
- Cabbagetown Diary : 다큐멘터리, (노벨) 후안 버틀러: 피터 마틴 어소시에이츠 (1970) ISBN 0-88778-040-7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토론토주 캡바게타운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