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라브리안 리라
Calabrian lira![]() |
![]() | |
현악기 | |
---|---|
기타 이름 | 리라 칼라브레세, 리라 |
분류 | 목이 달린 사발 루츠 |
혼보스텔-삭스 분류 | 321.321-71 (목 볼 루트가 활로 울림) |
관련 계기 | |
칼라브리아 리라(이탈리아어: 리라 칼라브레세)는 이탈리아 남부의 칼라브리아 지역 일부 지역의 전통 악기다.
특성.
칼라브리아의 리라(Lira)는 세 개의 현을 가진 절뚝거리는 현악기다. 대부분의 활쏘기 리라처럼 직립적으로 연주되며, 보통 무릎에 받치고 왼손은 못으로 현을 좌우로 만지고 오른손은 활을 움직인다. 리라 레퍼토리에는 반주곡(예: 세레나데, 분노의 노래)과 춤에 적합한 노래(타란텔라)가 수록되어 있다. 이 전통 악기의 레퍼토리는 나이든 연주자들, 혹은 그것을 알고 있는 사람들의 기록을 통해서만 알려져 있다. 반면에, 최근 몇 년 동안 이 악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전통 음악의 음악 그룹들이 이 악기를 사용하고 칼라브리아의 여러 지역에서 새로운 제조자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기원
칼라브리아 리라는 비잔틴 제국의 절친 리라(그리스어: λύρα)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9세기 페르시아 지리학자 Ibn Khurradadhbih (1991년 사망)는 비잔틴 리라를 비잔틴인들의 전형적인 활로 악기로 가장 먼저 인용하였다(Margaret J. Kartomi, 1990년). 비잔틴 리라(Bijantine Lira)의 유사한 절구 악기 후손들이 오늘날까지 많은 바이잔틴 후기 지역에서 작은 변화로 계속 연주되고 있다: 불가리아의 가둘카(Gadulka), 크레타(Crete)와 그리스의 도데카네세(Dodecanese), 폰토스의 라라(Lyra), 고전적인 케멘체(Turkish:아르무데 크메네스, 그리스어:터키에서는 ποίτηηηηη ~ ~ ~ ~ ~ ~ ~ Politiki 리라)가 있다. 비잔틴 리라는 불확실한 진화와 함께 유럽으로 서쪽으로 퍼져나갔다; 11세기와 12세기의 작가들은 피디와 리라라는 단어를 번갈아 사용한다. 2009).
참고 문헌 목록
- 마가렛 J. 카토미: 악기의 개념과 분류에 대하여. 1990년 시카고 대학 출판부의 Ethomusicology에 관한 시카고 연구
- 라 리라 칼라브레세, 칼라브리아, 카탄자로, 마그지오 1987, 쿼더노 n. 2, Anno XV, n. 25.
- Calabria의 libricino del cd La ira - RLS 002 - Coop. "R.L.S.", Catanzaro, 1994.
- 라 리라, 디 고프레도 플라스티노, 에디지오니 몬테레오네(VV.
- 브리태니카 백과사전 2009.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온라인. 2009년 2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