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노래)
Cambodia (song)'캄보디아'는 영국 가수 킴 와일드의 네 번째 싱글이다. 이 앨범은 1981년 말에 발매되었는데, 그 해 와일드는 이미 세 개의 매우 성공적인 히트 싱글과 베스트 셀러 데뷔 앨범을 발매했다.
이 싱글은 프랑스, 스웨덴, 스위스의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고 몇몇 다른 나라들에서 10위 안에 들었다. 리믹스되거나 확장된 버전은 아니지만, 독일에서는 7" 포맷으로 발매되었지만 12" 싱글로도 발매되었다. 두 발매의 B-side는 "Watching for Shapes"라고 불리는 독점적인 비 앨범 트랙이었다.
이후 1982년 5월 싱글 이후 6개월 만에 발매된 와일드(Wilde)의 두 번째 앨범 《Select》에 '캄보디아(Cambodia)'가 수록됐다. "Cambodia"의 앨범 버전은 "Repreise"라고 불리는 곡의 좀 더 업템포 기악 버전으로 팀을 이루어 7:13분 동안 운영된다.
음악적으로, 서정적으로, "캄보디아"는 와일드가 데뷔 앨범의 새로운 물결 느낌에서 방향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이 곡은 주로 신스(synth)로 진행되었으며, 동아시아를 울리는 타악기와 함께 연주되었다.
가사는 베트남전쟁 당시 미국이 캄보디아의 작전메뉴 폭격운동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다.
프랑스에서 108만부가 팔렸다.[1]
구성
'캄보디아'는 마티 와일드와 리키 와일드가 쓴 것으로 길이는 7분 13초다. 인디펜던트의 크리스 뮤건은 이 노래가 영화 누아르를 연상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2] 올뮤직의 스튜어트 메이슨은 이 곡이 와일드의 자칭 데뷔 앨범에 대한 버블검 팝의 영향력이 결여되어 있으며, 그 대신 신디사이저에 더 치중되어 있다고 언급했다.[3] 팝매터스의 맷 제임스는 이 곡이 킴 와일드가 1984년 휴먼 리그의 '레바논'과 1985년 스팅의 '러시안'을 이끌며 심각한 이슈를 다룰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려는 시도라고 느꼈다.[4]
임계수신호
야후!에 따르면, "캄보디아", "브릿지에서 보기"(1982) 그리고 와일드의 "You Keep Me Hangin' On"(1986)과 같은 노래들은 그녀를 호주인들의 "심장에 매우 가깝게" 만들어 주었다.[5] 인디펜던트의 크리스 무건은 이 곡을 "Kids in America"[2]와 함께 와일드의 "80년대 고전" 중 하나로 여겼다. 콜린 라킨은 대중음악 백과사전에서 와일드가 '캄보디아'로 '더 모험적인 소리'를 시도했다고 표현해 '흥미로운 재능'임을 보여줬다.[6] 입스위치 스타의 웨인 새비지는 "캄보디아"와 "체커드 러브"(1981)는 와일드가 "금을 자주 밟았다"는 것을 증명하는 "반성 스매시"라고 말했다.[7] 보그의 레이첼 한은 이 노래를 "과소평가된 고전"[8]이라고 불렀다.
올뮤직의 스튜어트 메이슨은 드라마틱한 '캄보디아'가 일부 서클에서는 일종의 컬트 애호가였지만, 김 와일드의 2집 앨범은 데뷔곡 'Kids in America' 수준의 히트곡은 없었다고 언급했다.[3] 같은 웹사이트에 기고한 존 부시는 이 트랙을 "팬들이 좋아하는 것"이며 "동남아시아를 위한 만가당을 기록하기 위한 이상하고 소름끼치는 시도"라고 말했다.[9] 더글러스 모레이는 장 뤼크 고다드의 유산에서 "캄보디아"는 특별히 감동적인 기록이 아니라고 썼다. The Singles Collection 1981–1993년 The Music Guide to Rock 리뷰: 록, 팝, 소울에 대한 결정 가이드 마이크 드개그는 "이 컬렉션에는 와일드가 보통 포장하는 정신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어울리지 않는 '캄보디아'와 속이 빈 'Child Come Away'만이 피해야 한다"고 썼다.
트랙리스트
- "캄보디아" (3:56)
- "모양 보기"(3:42)
차트
주간 차트
| 연말 차트
|
커버 버전
- 1985년 세초-슬로바크 영화 테티 샤르칸에서 음악 테마가 사용되었다.
- 스웨덴의 둠 메탈 밴드인 이니그매틱스는 1996년에 커버를 발매했다.
- 독일 DJ Pulsedriver는 2001년에 이 곡의 커버를 발매했고 2013년에 리메이크했다.
- 원샷 벨기에의 무아지경 프로젝트 Nobody는 2003년에 이 곡의 커버를 발표했다.
- 2004년 이탈리아 프로젝트 브라더스는 "This Is"라고 불리는 싱글 "Memories"의 b-side를 발매했고, 이 곡의 음악을 바탕으로 했다.
- 아팝티그마 베르제르크의 2005년 앨범 You and Me Against the World는 이 곡의 커버 버전을 포함하고 있다.
- 스웨덴 데스앤롤 밴드 허세는 2004년 앨범 아마겟돈 몬아무르에서 이 곡의 커버를 공개했다.
- 이 노래를 리믹스한 이탈리아 하우스 리믹스가 2005년 디스코 탄츠의 컴파일 앨범에 실렸다.
- 독일의 댄스 그룹 스쿠터는 2007년 앨범 "Jumping All Over the World"에서 이 노래를 다루었다. 점프 스타일 아티스트 보르베르크도 이 노래를 취재했다.
- 2008년 세르비아 펑크 록 밴드 식스팩은 커버 앨범 디스커버에 버전을 녹음했다.
- 2009년 네덜란드 DJ 마르코 5세는 이 곡의 메인 신시사이저 곡조를 재녹음한 버전이 포함된 트랙 '코마 에이드'를 발매했다.
- 2016년 스웨덴 듀오 쿠르즈가 데뷔 앨범 Vol 1에서 이 노래를 취재했다.
- 2017년 펑크 록 밴드 브루토는 3집 앨범 Roki에서 이 노래를 커버했다.
- 2019년 하드스타일 프로듀서 란디, 프레펜서즈, 아다로는 '배틀본'이라는 커버를 만들었다.
- 2019년 디미트리 베가스 & 라이크 마이크는 네덜란드계 터키인 DJ 우대칭 오즈칸, 네덜란드계 DJ 브레넌 하트 등과 손잡고 '비스트(All as One)'라는 이름으로 노래의 빅룸과 하드 스타일 커버를 공개했다.
- 2020년에 오스트리아의 가수 안나 소피는[34] 팝/EDM 스타일로 커버 버전을 발매했다.
- 2020년 김연아의 아버지 마티 와일드는 자신의 앨범 "Running Together"로 자신의 곡을 녹음했다.
참조
- ^ "InfoDisc : Les Meilleurs Ventes de Chansons "Tout Temps" (45 T. / Cd Single / Téléchargement)".
- ^ Jump up to: a b Mugan, Chris (23 December 2013). "Kim Wilde, gig review: 'poised halfway between sparkly housewife and down-to-earth celeb'". The Independent. Retrieved 16 March 2018.
- ^ Jump up to: a b Mason, Stewart. "Kim Wilde Select review". AllMusic. Rovi Corporation. Retrieved 10 May 2012.
- ^ James, Matt (12 November 2012). "Parallels: XII". PopMatters. Retrieved 16 March 2018.
- ^ "Kim Wilde & Howard Jones Return to Australia". Yahoo! News. 4 October 2016. Retrieved 16 March 2018.
- ^ Larkin, Colin (2011).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ISBN 9780857125958. Retrieved 16 March 2018.
- ^ Savage, Wayne (10 March 2018). "My kids ignore my music advice laughs 80s chart-topper Kim Wilde ahead of Ipswich and Southend shows". Ipswich Star. Retrieved 16 March 2018.
- ^ Hahn, Rachel (5 October 2018). "Listen to a Playlist of Paris Fashion Week's Best Runway Music". Vogue. Retrieved 16 March 2018.
- ^ Bush, John. "The Very Best of Kim Wilde". AllMusic. Rovi Corporation. Retrieved 16 March 2018.
- ^ Kent, David (1993).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illustrated ed.). St Ives, N.S.W.: Australian Chart Book. p. 337. ISBN 0-646-11917-6.
- ^ "킴 와일드 – 캄보디아"(독일어) ö3 오스트리아 탑 40.
- ^ "킴 와일드 – 캄보디아"(네덜란드어로) 울트라탑 50.
- ^ "Danish Charts Archive?".
- ^ "킴 와일드 – 캄보디아"(프랑스어) 레즈 클라스싱 싱글.
- ^ Nyman, Jake (2005). Suomi soi 4: Suuri suomalainen listakirja (in Finnish) (1st ed.). Helsinki: Tammi. ISBN 951-31-2503-3.
- ^ "아일랜드 차트 – Search Results – 캄보디아" 아일랜드 싱글 차트.
- ^ "Nederlandse Top 40 – week 8, 1982"(네덜란드어). 네덜란드의 탑 40 2020년 1월 24일 회수
- ^ "킴 와일드 – 캄보디아"(네덜란드어로) 싱글 탑 100.
- ^ "킴 와일드 – 캄보디아" 싱글 탑 40.
- ^ "킴 와일드 – 캄보디아" VG-lista.
- ^ "SA Charts 1965 – 1989 Songs C–D". South African Rock Lists. Retrieved 24 January 2020.
- ^ "킴 와일드 – 캄보디아" 싱글 탑 100.
- ^ "킴 와일드 – 캄보디아" 스위스 싱글 차트.
- ^ "김 와일드: 아티스트 차트 역사" 공식 차트 회사.
- ^ "Offiziellecharts.de – Kim Wild – 캄보디아" GfK 엔터테인먼트 차트. 2019년 2월 25일 회수.
- ^ "Kent Music Report No 445 – 3 January 1983 > National Top 100 Singles for 1982". Kent Music Report, via Imgur.com. Retrieved 1 January 2020.
- ^ "Jahreshitparade Singles 1982" (in German). Retrieved 24 January 2020.
- ^ "Jaaroverzichten 1982" (in Dutch). Ultratop. Retrieved 24 January 2020.
- ^ "Top 100-Jaaroverzicht van 1982". Dutch Top 40. Retrieved 25 March 2021.
- ^ "Jaaroverzichten – Single 1982" (in Dutch). MegaCharts. Retrieved 24 January 2020.
- ^ "Top 20 Hit Singles of 1982". South African Rock Lists. Retrieved 24 January 2020.
- ^ "Swiss Year-End Charts 1982" (in German). Retrieved 24 January 2020.
- ^ "Top 100 Singles–Jahrescharts 1982" (in German). GfK Entertainment. Retrieved 24 January 2020.
- ^ 안나소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