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버라 코스모스 FC
Canberra Cosmos FC![]() | |||
풀네임 | 캔버라 코스모스 축구단 | ||
---|---|---|---|
닉네임 | 코스모스 | ||
설립됨 | 1995년 (Ceased 2001년) | ||
그라운드 | 캔버라 스타디움, 브루스, 캔버라, ACT | ||
역량 | 25,011 | ||
리그 | 내셔널 사커 리그 | ||
2000–01 | 11일 | ||
|
캔버라 코스모스 풋볼 클럽은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영토인 캔버라에 본부를 둔 오스트레일리아의 축구 클럽이다.1995/96시즌부터 2000/01시즌이 끝날 때까지 전국 축구 리그에 참가하였고, 그 후 주로 재정적인 어려움 때문에 접었다.NSL에서의 임기 내내, 그 클럽은 지지자들을 끌어 모으는데 실패했고, 현장에서의 성공에는 한계가 있었다.
역사
새로운 클럽
코스모스는 1995/96 NSL 시즌에 진입하기 위한 새로운 프랜차이즈로서 1995년에 설립되었다.클럽은 ACT 축구 연맹과 다수의 지역 클럽이 보유한 지분을 가진 '커뮤니티 모델' 컨소시엄으로, ACT 정부의 지원을 받아 생겨났다.
캔버라는 새 클럽의 첫 시즌에서 훌륭하게 경기를 마쳤다.9위로, 그들은 훨씬 더 경험이 많은 팀인 월롱공, 뉴캐슬 브레이커스, 킵스랜드 팰컨스보다 더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많은 공을 축구팀의 경험이 풍부한 주장 폴 웨이드에게 줄 수 있다.그러나 1995-96년에는 캔버라에 기반을 둔 재능 있는 젊은이들인 마이클 마시타노와 알렉스 카스트로의 폭로가 있었고, 그들은 1996년 비수기에 다른 구단들에 의해 체포되었다.[1]
나무 스푼
그러나 캔버라의 두 번째 시즌은 훨씬 더 잊을 만했다.꼴찌에서, 그 팀은 꼴찌 팀에게 16점 뒤진 채 시즌을 마감했다.시즌이 끝나더라도, 컴퓨터 회사인 Novell이 놀라울 정도로 큰 규모의 스폰서 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긍정적인 행동은 1997년에 그 클럽을 되살릴 것이다.이로써 코스모스는 1996-97년 브란코 쿨리나 감독을 영입할 수 있었고, 전년도 최고의 선수들을 잃은 뒤 캔버라는 올 시즌 최고의 선수들을 순수입했다.새로운 영입에는 브라이버니안의 스코틀랜드 수비수 고든 헌터, 시드니 유나이티드의 미드필더 안테 모릭, 그리고 마이클 마시타노의 복귀가 포함되었다.불행하게도, 이것은 현장 경기로 바뀌지 않았고, 첫 13경기에서 8대 0으로 월롱공에게 지는 것을 포함해 단 한 번 승리했고, 시즌에서 단 세 번 (UTS에 대한 기록적인 8대 1 승리를 포함)했다.코스모스는 쿨리나의 이탈과 랄 라식 전 사커우스의 감독 선임으로 1997-98시즌 최하위를 다시 한 번 기록했다.
1998-99년 멜버른 나이츠 골키퍼 빌슨 크네제비치를 포함한 새로운 영입은 희망을 가져왔지만, 라식 감독의 젊은 측면에서의 무승부로 이사진과의 긴장을 고조시켰고 랄레는 새 시즌 7주 만에 출발했다.[2]코스모스는 전국대회에서도 고전을 이어가며 마지막 2위 팀보다 10점 뒤진 3년 연속 꼴찌를 기록했다.
1999-2000시즌에는 구단이 9승 9무를 달성함으로써 현장실적이 다소 개선되었다.그러나 코스모스는 재정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했고, 2000년 6월 30일 구단의 재정 상태를 감독하기 위해 관리자들이 임명되었다.
NSL의 전반적인 혼란기에, 2000-01 시즌은 캔버라에게 꽤 성공적이었고, 11승 4무로 1년 내내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제외
축구 호주는 2000년 중반 2001-02시즌 NSL을 검토하겠다고 결정하면서 16개팀에서 12개로 줄이자는 제안을 했다.칼튼과 이스턴 프라이드는 시즌 도중 접었고, 2001년 6월 사커 호주는 캔버라 코스모스를 브리즈번 스트라이커와 함께 리그에서 제외하는 등 '진행 중인 관심사'가 아니라고 판단했다.[3]
퇴장당한 클럽들에 의한, 그리고 대신해서, 사용된 절차와 기준을 비판하면서, 결정의 번복을 모색하는 항소가 뒤따랐다.결국, 축구 호주 이사회는 이해관계자들과 정치 인사들의 압력에 의해 2001/2002 시즌 동안 캔버라와 브리즈번을 NSL에 "재채택"하는 데 동의했다.
코스모스는 새 시즌 계획을 강화하며 코칭스태프를 새로 선임하고 잉글랜드 2부 리그인 스윈던 타운과 파트너십까지 맺었다.[4]고대했음에도 불구하고, 코스모스의 재정적인 문제는 남아 있었고, 초기 배제 결정에서 회복할 수 없었다.축구 오스트레일리아는 NSL 소속비를 지불할 수 없게 되자 코스모스 FC가 필요한 참가 조건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판단하여 2001년 9월 26일 2001/2002 NSL 시즌에 참가할 수 있는 권리를 종료했다.[5]
통계
계절 | Pld | W | D | L | GF | GA | PTS | 테이블 위치 | 평균출석수 | 컵 |
---|---|---|---|---|---|---|---|---|---|---|
1995/96 | 33 | 8 | 11 | 14 | 48 | 61 | 35 | 12/9 | 2934 | 준결승 |
1996/97 | 26 | 2 | 5 | 19 | 30 | 69 | 11 | 14/14 | 3176 | 퍼스트 라운드 |
1997/98 | 26 | 3 | 8 | 15 | 29 | 56 | 17 | 14/14 | 2719 | 보류되지 않음 |
1998/99 | 28 | 4 | 3 | 21 | 21 | 55 | 15 | 15일 | 2337 | 보류되지 않음 |
1999/00 | 34 | 9 | 9 | 16 | 44 | 64 | 36 | 16/14일 | 2428 | 보류되지 않음 |
2000/01 | 29 | 11 | 4 | 15 | 49 | 55 | 37 | 16년 11월 11일 | 2184 | 보류되지 않음 |
청소년 제도
NSL의 구조 때문에, 그 클럽은 존속 기간 동안 단 하나의 '첫 번째 팀'만을 보유했을 뿐이며, 그 이유는 부분적으로 NSL의 구조 때문이다. 지역 선수들은 ACT 리그에서 뽑혀 팀의 주요 구성 요소를 구성했다.
전국 유소년 리그가 운영되는 동안 ACT Academy of Sports는 축구 캔버라의 참여로 코스모스 유소년 측면을 제공했다.비록 공식적인 연계가 확립된 적은 없지만, 캔버란 위치는 AIS 축구팀 선수들에게 잠재적인 길을 제공했다.16~17세의 선수 육성을 목표로 한 이 프로그램도 NYL에서 독자적으로 경쟁했다.ACTAS와 AIS 프로그램으로부터 코스모스 선수단에 이르기까지 성공적으로 졸업한 선수는 거의 없었다.
색상 및 배지
취임 시즌에, 코스모스는 스포츠 의류 제조업체인 Asics를 통해 제공된 원래의 '슈팅 스타' 로고를 반영하는 색상인 짙은 파란색 셔츠와 짙은 파란색 반바지를 입고 경기를 했다.대체 스트립은 흰색 셔츠와 반바지였고, 또한 트림에 큰 별이 달려 있었다.나중에 검은색 반바지와 함께 노란색 대체 스트립이 도입되었다.97/98 시즌 동안, 파란색 트림이 있는 흰색 셔츠의 원정 색상이 홈 컬러가 되어 스폰서에게 더욱 돋보이게 했다.1998/99 시즌에는 클럽 엠블럼을 원과 스타 디자인으로 수정하였다.홈 스트립 색상은 빨간 셔츠와 반바지로 바뀌었으며 노란색 셔츠와 반바지로 된 새로운 교환 스트립이 현재 제독 스포츠웨어와의 새로운 의류 거래에 따라 제조되었다.이 로고는 금색 원 위에 푸른 별이 그려져 있으며, 후에 새로운 붉은 홈 스트립을 더 잘 반영하기 위해 빨간색 원 위에 있는 검은 별로 수정되었다.사커 호주 경영 혼란으로 마지막이 될 2000/01시즌을 위해 2001/02시즌의 새로운 로고를 공개했다.셔츠 색상의 변경 가능성에 대한 추가 정보는 없었지만, 새 로고는 검은색, 주황색, 흰색을 특징으로 했다.[6]
스타디움
코스모스의 홈구장은 캔버라 스타디움이었다.1997년 경기장을 대대적으로 개조하는 동안, 케안베얀의 세이퍼트 오벌에서 홈 경기가 열렸다.AIS 그라운드에서도 소수 경기가 진행됐다.
서포터즈
코스모스는 경기 참석률이 저조했던 캔버라 커뮤니티 내에서 큰 지지를 끌어내지 못했다.
작지만 충성스러운 팬들이 코스모스 FC 서포터즈 그룹을 결성하여 특히 캔버라 커뮤니티에 이 경기를 알리는 데 적극적이었다.이 그룹은 홈 경기에 꾸준히 참여했고 종종 원정 경기, 특히 뉴사우스웨일스에 위치한 7개 클럽과의 경기를 치렀다.
'코스모'로 알려진 공식 캔버라 코스모스 마스코트는 구단 재임 기간 내내 대부분의 홈 경기에 등장했다.파란색 흰색과 은색 헬멧과 점프슈트를 입은 코스모는 외발자전거를 타고 사이드라인과 경기 전, 하프타임 동안 관중들을 즐겁게 했으며, 특히 관중들을 폭력으로 선동했다는 이유로 심판에게 의해 관중석으로 보내졌다.
주목할 만한 전직 선수들
아래는 NSL에서 캔버라 코스모스를 대표하고 FIFA가 허가한 국가대표팀에 적어도 한 명의 선후배 또는 주니어 국제 모자를 가지고 있는 선수들의 목록이다.
이름 | 국가대표팀 | 뚜껑(목걸이) |
---|---|---|
![]() | 오스트레일리아 23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 | UKN |
![]() |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46(0) |
![]() |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22(2) |
![]() | 북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UKN |
![]() |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19(1) |
![]() | 오스트레일리아 23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 | UKN |
![]() |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1(0) |
![]() |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32(2) |
![]() |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84(10) |
![]() | 오스트레일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2(0) |
관리자
믹 라이언스 (1995년 6월 ~ 1997년 5월)
브란코 슐리나 (1997년 6월 ~ 1998년 3월)
랄레 라식 (1998년 11월 ~ )
토니 브레넌 (담배업자) (1998년 11월 ~ 1999년 1월)
톰 세르만니(1999년 1월~2001년 3월)
밀라노 밀로바노비치 (3월 – 2001년 7월)
안토니오 알자멘디 (Jul 2001 (임명 후 얼마 지나지[5] 않아 종료됨)
레온 (빌) 가르디키오티스 (2001년 8월 ~ 9월)
기록.
- 최다 우승: UTS 올림픽 8–1 v, 1998년 1월 5일, Seiffert Oval
- 최대 손실: 0–8 v Wollongong City, 1997년 12월 5일, Brandon Park, Wollongong
- 최고 득점 경기: 뉴캐슬 브레이커스 5–5 v 뉴캐슬 브레이커스, 1996년 2월 16일 뉴캐슬 브레이커스 스타디움
- 최대 한도 플레이어:토플리카 포포비치(124경기)
- 역대 득점왕: 피터 불잔(21골)
- 최고 참석자: 9,421 – 1996년 11월 1일(1–1 v Newcastle Breakers)
참조
- ^ Persoglia, Tony. "History of Canberra Cosmos". OzFootball Archives. Retrieved 16 September 2007.
- ^ AAP Sports (25 November 1998). "Rasic calls for patience and gets the sack". Highbeam Resear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May 2011. Retrieved 16 September 2007.
- ^ "Soccer Australia". Clubs in Crisi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September 2007. Retrieved 16 September 2007.
- ^ "The Cosmic connection". Salisbury Journal (Archive). 4 June 2001. Retrieved 19 March 2008.[영구적 데드링크]
- ^ a b "Canberra Cosmos FC Report for Soccer Canberra". March 20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January 2007. Retrieved 7 February 2007.
- ^ Jeen, William. "Canberra Cosmos Logo 2002". Woodenduke. Retrieved 18 October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