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롤라인 딘
Caroline Dean캐롤라인 딘 | |
---|---|
![]() | |
태어난 | [1] | ) 1957년 4월 2일
모교 | 요크 대학교 (BSC, DPHIL)[2] |
로 알려져 있다. |
|
배우자 | (m. 1991) [1] |
아이들. | 아들 하나 딸 하나[1][5] |
수상 |
|
과학 경력 | |
필드 | |
기관 | |
논문 | 어린 밀잎의 게놈표현에 관한 연구 (1983) |
웹사이트 | www |
Dame Caroline Dean DBE[8] FRS (1957년 4월 2일생)는 존 이네스 센터에서 일하는 영국의 식물학자다.그녀는 식물이 꽃을 피울 때를 계절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분자 조절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7]그녀는 특히 장기간의 추위에 노출되어 식물에서 꽃을 피우는 가속화와 같은 버날화에 관심이 있다.[9][10][11][12][13][14][15]그녀는 또한 2018년부터 인포시스상 생명과학 배심원단에 올랐다.[16]
교육
딘은 요크 대학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1978년에는 생물학 학사 학위를, 1982년에는[2] 생물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4][17]null
연구 및 경력
딘의 연구는 생명공학생명과학연구위원회 유럽연구위원회[18], EU-마리 퀴리, EMBO의 자금 지원을 받아 왔으며, 유전자 조절과 염색질, 전사, 비코딩 RNA의 교차점에 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그녀의 목표는 후생유전적 상태와 유전자 발현의 양적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염색질 역학을 이해하는 것이다.이 기계론적 분석은 플로랄 억제기 FLC를 인코딩하는 하나의 유전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FLC의 후생적 전환과 정량적 규제는 식물에서 계절적 타이밍에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장기간의 추위에 의한 이러한 꽃의 가속은 버날라이제이션이라 불리는 전형적인 후생유전학적 과정이다.null
FLC 규제는 전사 시작과 연장에 영향을 미치는 항산화 염색질 메커니즘을 포함한다.겨울 동안의 식물 FLC 표현은 냉간 유도, 시스 기반, 폴리콤 전환 메커니즘을 통해 후생적으로 침묵된다.이 단체는 이러한 보존된 염색질 메커니즘을 기계적으로 해부하고 있으며 적응하는 동안 어떻게 변형되었는지 조사하고 있다.null
그녀는 규제 계층을 확립하기 위해 아라비도프시스를 참고 자료로 사용하고 이 정보를 사용하여 다른 종으로 번역한다.그녀는 아라비도피스 분야의 선구자였으며 식물 과학의 핵심 모델 유기체가 되었다.[19]null
수상 및 명예
그녀가 왕립학회에 지명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Dean은 식물의 발달 타이밍 연구에 탁월한 기여를 했다.그녀의 연구는 식물이 겨울을 경험했다는 것을 기억하고, 개화를 조절하는 새로운 RNA 처리 메커니즘을 증명하고, 아라비도시스 개화 시간에 자연 변동의 분자적 기초를 결정하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그녀의 발견은 후생유전학, 전치후 조절, 분자진화의 분야에서 광범위한 의미를 갖는다.딘은 또한 아라비도피스 모델을 개발하여 유전자 지도와 삽입 돌연변이 유발에 대한 자원을 확립하고 게놈의 염기서열을 뒷받침하는 물리적 지도를 제공하는 등 막대한 공헌을 하였다.[8]
그 밖의 상은 다음과 같다.
- 1993 – 2002년 이스트 앵글리아 대학교 생물과학대학 명예 연구위원
- 1999 – 유럽 분자 생물 기구(EMBO)의 회원으로 선출
- 2004년 – Dean은 대영제국 훈장 데임 지휘관(DBE)과 왕립학회 회원으로 임명되었다.
- 2007년 – 그녀는 유전학 협회 훈장을 받았다.
- 2008년 –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는 그녀를 외국인 멤버로[20] 선출했다.
- 2008년 – 독일 국립과학원 레오폴디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 2015 – FEBS/EMBO 과학 부문 여성상.
- 2016년 – 과학 연구와 과학 분야의 여성을 심는 서비스를 위해 대영제국 훈장(DBE)[21]을 수여함.
- 2016년 – 딘은 온도 단위의 인식과 후생유전학적 메커니즘의 변화가 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방법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한 공로로 왕립학회에서 다윈 훈장을 받았다.[22]
- 2018년 – 그녀는 과학 부문 여성상을 수상하였다.
- 2020년 – 그녀는 농업 부문에서 늑대상을 받았다.[23]
- 2020 – 로열 소사이어티 '로열 메달'[24] 수여
사생활
딘은 조나단 D. G. 존스와 결혼했고 1남 1녀를 두었다.[1][5]null
참조
- ^ a b c d Anon (2015). "Dean, Dame Caroline". Who's Who. ukwhoswho.com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ed.). A & C Black, an imprint of Bloomsbury Publishing plc. doi:10.1093/ww/9780199540884.013.U10000433. (구독 또는 영국 공공도서관 회원 필요)
- ^ a b Dean, Caroline (1983). Investigations of genome expression in young wheat leaves (PhD thesis). University of York. OCLC 500010022. EThOS uk.bl.ethos.331606.
- ^ Meinke, D. W.; Cherry, J. M.; Dean, C.; Rounsley, S. D.; Koornneef, M. (1998). "Arabidopsis thaliana: A Model Plant for Genome Analysis". Science. 282 (5389): 662, 679–82. Bibcode:1998Sci...282..662M. CiteSeerX 10.1.1.462.4735. doi:10.1126/science.282.5389.662. PMID 9784120.
- ^ a b Bastow, R.; Mylne, J. S.; Lister, C.; Lippman, Z.; Martienssen, R. A.; Dean, C. (2004). "Vernalization requires epigenetic silencing of FLC by histone methylation". Nature. 427 (6970): 164–167. Bibcode:2004Natur.427..164B. doi:10.1038/nature02269. PMID 14712277. S2CID 4402016.
- ^ a b Dean, Caroline; Osborn, Mary; Oshlack, Alicia; Thornton, Janet (2012). "Women in science". Genome Biology. 13 (3): 148. doi:10.1186/gb4005. PMC 3439960. PMID 22405408.
- ^ "John Innes Centre scientist receives top international honour". John Innes Centre.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August 2011.
- ^ a b Caroline Dean 출판물: Google Scholar에 의해 색인화됨
- ^ a b "EC/2004/15: Dean, Caroline". London: The Royal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February 2015.
- ^ Gitschier, J. (2013). "How Cool is That: An Interview with Caroline Dean". PLOS Genetics. 9 (6): e1003593. doi:10.1371/journal.pgen.1003593. PMC 3694836. PMID 23825965.
- ^ Vaeck, M.; Reynaerts, A.; Höfte, H.; Jansens, S.; De Beuckeleer, M.; Dean, C.; Zabeau, M.; Montagu, M. V.; Leemans, J. (1987). "Transgenic plants protected from insect attack". Nature. 328 (6125): 33–37. Bibcode:1987Natur.328...33V. doi:10.1038/328033a0. S2CID 4310501.
- ^ Simpson, G. G.; Dean, C. (2002). "Arabidopsis, the Rosetta Stone of Flowering Time?". Science. 296 (5566): 285–289. Bibcode:2002Sci...296..285S. doi:10.1126/science.296.5566.285. PMID 11951029.
- ^ Caroline Dean은 Scopus 서지학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색인화된 출판물들을 발행한다.(필요한 경우)
- ^ Sundaresan, V.; Springer, P.; Volpe, T.; Haward, S.; Jones, J. D.; Dean, C.; Ma, H.; Martienssen, R. (1995). "Patterns of gene action in plant development revealed by enhancer trap and gene trap transposable elements". Genes & Development. 9 (14): 1797–1810. doi:10.1101/gad.9.14.1797. PMID 7622040.
- ^ Johanson, U.; West, J.; Lister, C.; Michaels, S.; Amasino, R.; Dean, C. (2000). "Molecular Analysis of FRIGIDA, a Major Determinant of Natural Variation in Arabidopsis Flowering Time". Science. 290 (5490): 344–347. Bibcode:2000Sci...290..344J. doi:10.1126/science.290.5490.344. PMID 11030654.
- ^ Lister, C.; Dean, C. (1993). "Recombinant inbred lines for mapping RFLP and phenotypic markers in Arabidopsis thaliana". The Plant Journal. 4 (4): 745–750. doi:10.1046/j.1365-313X.1993.04040745.x.
- ^ "Infosys Prize – Jury 2020". www.infosys-science-foundation.com. Retrieved 10 December 2020.
- ^ "Caroline Dean, Cell & Developmental Biology". 23 November 20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uly 2013.
- ^ "UK Government Grants awarded to Caroline Dean".[permanent dead link], 연구 위원회 UK를 경유함.
- ^ "Caroline Interview – The Company of Biologists" (PDF).
- ^ "Caroline Dean".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Retrieved 14 January 2020.
- ^ "No. 61608". The London Gazette (Supplement). 11 June 2016. p. B8.
- ^ 다윈 메달 2016
- ^ "The Wolf Prize". Wolf Foundation. Retrieved 14 January 2020.
- ^ "Royal Society award for Professor Dame Caroline Dean". John Innes Centre. 4 August 2020. Retrieved 20 January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