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터 햄

Carter Ham
카터 햄
GEN Carter F.Ham 2011.jpg
2011년 3월 함
태어난 (1952-02-16) 1952년 2월 16일 (69)
미국[1] 오레곤 포틀랜드
얼리전스미국
서비스/지점미국 육군
근속년수1973–2013
순위일반
보유된 명령미국 아프리카 사령부
미국 육군 유럽
1 보병사단
전투/와이어걸프 전쟁

이라크 전쟁

제1차 리비아 내전

수상육군 공로훈장(2)
국방 우수 서비스 메달(4)
레지옹 공로(2)
동스타 메달

카터 프레데릭 햄(Carter Frederick Ham[2], 1952년 2월 16일 출생)은 미국 아프리카 사령부의 제2대 사령관을 지낸 은퇴한 미 육군 장성이다.[3] 그는 아프리카 사령관으로 2011년 리비아 군사 개입에서 미국의 초기 역할인 오디세이작전을 지휘했다.

함 소장은 2008년 8월 28일부터 2011년 3월 8일까지 미 육군 유럽7군 사령관을 지냈다. 그 전에는 2007년 8월부터 2008년 8월까지 합동참모본부 작전국장(J-3)과 지휘관인 제1보병사단을 2006년 8월부터 2007년 8월까지 근무했으며, 1990년대 중반 유고슬라비아 전쟁 당시 마케도니아에서 에이블 보초 작전사령관을 지냈다.

퇴임 후인 함 씨는 2016년 7월부터 2021년 9월까지 미군협회 회장 겸 CEO를 지냈다.[4]

조기생활과 교육

햄은 1952년 2월 16일 펜실베이니아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났으며, 유럽[독일] 찰스 F.에 있는 중등학교와 초등학교를 다녔다. 클리블랜드 교외 오하이오 주 린드허스트에 있는 브러쉬 고등학교. 는 미국으로 건너가 존 캐럴 대학 근처의 대학 수준의 공부를 하기 위해, 그리고 해군 전쟁 대학에서 국가안보 전략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65년 젊은 시절 이글 스카우트 등급을 받았고, 2012년 미국 보이 스카우트로부터 독수리 우수 스카우트상을 받았다.

군경력

함 중령은 1995년 윌리엄 오웬스 제독과 통화하며 마케도니아 캠프 어블 센트리에서 미군을 지휘했다.
함 장관은 2005년 10월 미 국방부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기자들에게 말했다.
2006년 햄.
함은 2008년 8월 마이클 멀런에 의해 USARUR의 사령관으로 취임했다.

함은 1973년 미 육군에 입대해 82공수사단에서 보병으로 복무한 뒤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의 존 캐럴 대학에 재학 중 육군 예비역 훈련단(육군 ROTC)에 합격했다. ROTC 명성 있는 군사 졸업생인 함은 1976년에 보병 장교로 임관되었다. 이후 로드아일랜드주 뉴포트해군전공대학에서 국가안보전략학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보병장교 기본과정, 갑옷장교 고급과정, 해군전공대 해군사령부 및 참모대학, 항공전공대 등 여러 군사학교를 졸업했다. 는 존 캐럴 대학교 ROTC 명예의 전당에 소속되어 있다. 그와 그의 아내 크리스티는 둘 다 존 캐롤 대학을 졸업했다.

함의 초기 임무는 켄터키주 포트녹스에서 근무하고 이탈리아와 독일 근무를 하는 것을 포함했다. 갑옷 장교 고급 과정을 졸업한 후, 그는 오하이오 리마에서 모집 지역 사령관을 지냈다. 1984년에는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을 지원하기 위해 합동봉사단 소속으로 복무했다.

함 소장은 1984년부터 1989년까지 부경감관을 거쳐 캘리포니아주 포트 어윈에 있는 국립훈련센터에서 대대작전관리관(S-3)과 반대군(OPFOR)의 행정관을 지냈다. 해군사령부 및 참모대학에 재학하여 1990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였으며, 그 후 조지아 포트 베닝 미군 보병학교에 배속되었다.

함씨는 OPM-SANG의 일원으로 리야드에서 사우디아라비아 국가방위여단과 함께 고문으로 근무한 후 포트 베닝으로 돌아가 보병학교의 간부를 맡았다. 함 사령관은 마케도니아 공화국 유엔보호군과의 6개월간의 순방을 포함해 독일 빌섹에서 1대대 6보병을 지휘했다. 대대 지휘에 이어 독일 호헨펠스 전투 기동훈련소 팀버울프팀 수석 옵서버/컨트롤러였다.

함 소장은 1997년 공군사관학교를 졸업한 뒤 독일로 돌아와 당시 1사단 작전참모총장(G-3)을 지냈다. 1999년부터 2001년까지 포트 베닝에서 제29보병연대를 지휘한 뒤 플로리다 주 탬파의 맥딜 AFB와 카타르 도하에서 미 중부군 자원분석부 차장(J-8)을 역임했으며, 이 기간 동안 준장으로 진급하기 위해 선발되었다. 함은 2003년 8월 워싱턴 포트 루이스에서 훈련과 준비태세를 담당하는 부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2004년 1월 그는 2005년 2월까지 이라크 모술에서 다국적여단(태스크포스 올림피아)을 지휘했다. 함씨는 아프가니스탄에 있는 동안 한 메스홀에서 자살 폭탄 테러의 후폭풍에 참석하면서 생긴 외상스트레스 장애를 앓았다. 그는 후에 자신의 상태에 대한 치료를 구했고 공개적으로 다른 병사들에게도 그렇게 하라고 권유했다.[5]

이라크에서 돌아온 함 장관은 합동참모본부의 J-3 지역 작전 부국장을 지냈다. 함 사령관은 2006년 8월 캔자스 포트 라일리에서 1사단을 지휘했으며 2007년 7월까지 사령관을 맡아 작전부장 J-3으로 복귀했다. 2008년 8월 28일 함은 독일 하이델베르크 캠벨 막사에 본부를 둔 미 육군 유럽의 제34대 사령관이 되었다. 함 위원장은 2010년 '묻지마, 말하지마' 정책 폐지와 관련된 사안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공동대표를 맡았다.[6]

미국 상원은 함의 지명을 2010년 11월 독일 슈투트가르트 켈리 막사에 본부를 둔 차기 미국 아프리카 사령관이 될 것으로 확정했다.[7] 그는 2011년 3월 8일에 그 직책을 맡았다.

함 사령관은 사무엘 J. 락리어 제독과 함께 리비아 비행금지구역을 집행하는 미군을 지휘하고 있었다.[citation needed] 2011년 3월 21일 "연합군의 노력 담당"으로 묘사된 함 장관은 "카다피 대령의 이동식 방공호에 대한 연합군의 공습이 있을 것이며, 그 중 절반에 불과한 80여 개의 소트리가 월요일에 비행을 했다"고 말했다.[8] 주력함인 휘트니 에 탑승한 록리어 제독은 오디세이 던 합동 태스크포스(TF)의 전술 지휘권을 갖고 있었다.[9] 함 장관은 또 "아즈다비야, 미스라타, 자위야에서 철수하라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요구를 들어주지 않을 경우 북한군을 공격할 수 있는 전권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고 한 보고서는 전했다.[who?] 앞서 그는 미국이 리비아 반군과 협력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함 장관은 이날 슈투트가르트 본부에서 미 국방부에 영상을 보내 "우리의 임무는 어떤 반대 세력도 지원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8]

함씨는 2012년 9월 11일 리비아 벵가지에 있는 미국 영사관과 CIA 별관에서 테러가 발생했을 때 군을 총지휘했다. 2013년 6월 의회 증언에 따르면 함 장관은 지상에서의 상황에 대한 상황 인식 부족을 근거로 공격 중 근접 공중 지원을 배치하지 않기로 선택했다. 그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나 오바마 행정부의 다른 사람들이 그에게 배치될 준비가 된 계획적인 구조 임무를 "기립하라"고 지시했다는 일부 공화당원들의 주장을 부인했다.

함 사령관은 아프리카 사령관으로 24개월간 임무를[10] 수행한 뒤 데이비드 M. 로드리게스 장군의 뒤를 이었다.[11] 함 장군은 2013년 6월 퇴역했다.[6]

보기

Ham was quoted in an online Washington Post article by Greg Miller and Craig Whitlock, posted on October 1, 2012, that, as saying, that, as a result of al-Qaeda in the Islamic Maghreb's overtaking and capturing more territory in Mali in Africa, and possessing arms from Libya after the Libyan Civil War which overthrew Muammar Gaddafi, there is the p미국이 다른 나라들에 의해 행해진 대테러 작전을 지원하지만 주도하지는 않는 것에 대한 미국의 책임 더 급진적인 단계는 드론을 사용하는 것이다.[12]

함 장관은 아프리카에 '어디서나' 있었던 중국인의 존재에 대해 "중국이 건설한 도로, 교량, 공항, 정부청사 등 인프라 개발에 매우 능숙하다"고 평가하면서 "중국이 아프리카에서 중국과 미국의 경제 경쟁에 감사를 표했다"고 말했다.아프리카 국민에 걸맞다."[13]

은퇴 후

함 위원장은 2015년 육군 미래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됐으며 8명으로 구성된 위원회에서 육군의 규모, 병력구조, 역량 등을 권고하는 역할을 맡았다. 위원회는 2016년 1월 28일 조사 결과를 발표한 직후 해체되었다.[14][15]

함씨는 2016년 2월 미군협회(AUSA)의 전무이사가 됐다. 그는 고든 R의 뒤를 이었다. 설리번은 2016년 7월 1일 AUSA 사장 겸 CEO로 취임하였다.[16][17] 그는 2021년 9월 30일 로버트 브룩스 브라운에게 대통령직을 양도했다.[18][19]

순위 날짜

중위(O-1)* 중위(O-2)* 선장 (O-3)* 장조 (O-4)* 중령(O-5)*
US Army O1 shoulderboard rotated.svg US Army O2 shoulderboard rotated.svg US Army O3 shoulderboard rotated.svg US Army O4 shoulderboard rotated.svg US Army O5 shoulderboard rotated.svg
1976년 6월 2일 1978년 6월 2일 1980년 8월 1일 1987년 6월 1일 1992년 9월 1일
대령 (O-6)* 준장(O-7)* 소장(O-8)* 중장(O-9*) 일반(O-10)*
US Army O6 shoulderboard rotated.svg US Army O7 shoulderboard rotated.svg US Army O8 shoulderboard rotated.svg US Army O9 shoulderboard rotated.svg US Army O10 shoulderboard rotated.svg
1998년 4월 1일 2003년 10월 1일 2005년 2월 1일 2007년 8월 1일 2008년 8월 1일

참고:
* O-1 등은 급여등급을 지정한다.

주요 임무 할당

훈련장교, 제2 예비역 훈련단 지역, 제4기초전투훈련여단 1976
사단장, 전투지원사, 1대대대, 509 보병(항공기 전투팀) 1977–1978
S-1(인턴), 2d 대대, 22d 보병, 4사단 1978–1979
사령관, C 중대, 2d 대대, 22d 보병, 8사단 1979–1981
학생, 갑옷장교 고급과정 1981–1982
콜럼버스 지구 모집 사령부 리마 지역 사령관 1982–1984
1984년 하계 올림픽 전방 군사 지원 요소, 파견 지휘관 1984
국립교육원 부경장 1984–1986
S-3(에어), 6 대대(기계화), 31 보병 1986–1987
임원, 1대대대(기계화), 52d 보병 1987–1989
학생, 해군사령부 및 참모대학, 미국 해군전범대학 1989–1990
미 육군 보병학교 집행관 1990–1993
사령관, 1 대대, 6 보병, 3d 보병사단 1993–1995
선임 태스크포스 관찰자/컨트롤러, 작전 그룹, 전투 기동 훈련 센터 1995–1996
미국 공군 항공전 대학 학생 1996–1997
1사단 참모총장 1997–1999
사령관, 보병 훈련 지원 여단, 29 보병 연대 1999–2001
미 중부군 J-8 부국장 2001–2003
미 I군단 훈련 및 준비 부사령관 2003–2004
사령관, MNB 북부 (태스크포스 올림피아) (이라크 모술) 2004–2005
J-3, 합동참모본부 지역운영담당 부국장 2005–2006
사령관, 1사단 2006–2007
운영 책임자(J-3), 공동 직원 2007–2008
지휘관, 미 육군 유럽 및 7군 2008–2011
미국 아프리카 사령부 사령관 2011–2013

장식 및 배지

Bronze oak leaf cluster
육군 공로훈장(동작 참나무클러스터 1개 포함)
Bronze oakleaf-3d.svgBronze oakleaf-3d.svgBronze oakleaf-3d.svg 방어 우수 서비스 메달(오크 잎 클러스터 3개 포함)
Bronze oak leaf cluster
Legion of Merit(참나무 잎 클러스터 포함)
동스타 메달
Silver oak leaf cluster
공로훈장(은색 참나무 잎 클러스터 포함)
합동 표창장
Bronze oakleaf-3d.svgBronze oakleaf-3d.svg 육군 표창장(참나무 잎사귀 2개 클러스터 포함)
Bronze oakleaf-3d.svgBronze oakleaf-3d.svg 육군 공로훈장(참나무 잎 두 개 클러스터 포함)
Bronze oakleaf-3d.svgBronze oakleaf-3d.svg 공동 유공부대상(참나무 잎 2개 클러스터 포함)
공로부대 표창
Bronze oak leaf cluster
Superior Unit Award(참나무 잎 클러스터 포함)
Bronze-service-star-3d-vector.svgBronze-service-star-3d-vector.svg 국방훈장 (동메달 2개 포함)
Bronze star
서남아시아 서비스 메달(서비스 스타 포함)
Bronze-service-star-3d-vector.svgBronze-service-star-3d-vector.svg 이라크 캠페인 메달(서비스 스타 2명 포함)
세계 대테러 전쟁 서비스 훈장
국군훈장
육군 복무 리본
Award numeral 3.svg 해외 서비스 리본(동상 번호 3)
국제 연합 메달
NATO Medal Yugoslavia ribbon bar.svg 구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NATO 훈장
폴란드[20] 육군 금메달
쿠웨이트 해방 메달(사우디 아라비아)
쿠웨이트 해방 메달(쿠웨이트)
Combat Action Badge.svg 전투 행동 배지
Expert Infantry Badge.svg 전문가 보병 배지
United States Air Force Parachutist Badge.svg 기본 파라큐티스트 배지(미국)
Ranger Tab.svg 레인저 탭
Joint Chiefs of Staff seal.svg 합동참모본부 신분증 배지
Seal of the United States Africa Command.svg 미국 아프리카 사령부 배지
ICorpsCSIB.jpg I 군단 전투 서비스 식별 배지
6 Infantry Regiment DUI.png 미 6 보병 연대 특색 단위 휘장
ArmyOSB.svg 4 해외 서비스 바.

참조

  1. ^ "S.Hrg 111-896 Nominations before the Senate Armed Services Committee, Second Session, 111th Congress" (PDF). November 18, 2010.
  2. ^ "Commencement". John Carroll University. May 30, 1976. Retrieved November 22, 2020.
  3. ^ 2015년 2월 19일 웨이백 머신보관아프리카 사령부를 노련한 전투지도자
  4. ^ "AUSA - Executive Leadership". Association of the United States Army. Retrieved June 14, 2021.
  5. ^ Brook, Tom Vanden (November 25, 2008). "General's story puts focus on stress stemming from combat". USA Today. Gannett Co., In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7, 2014. Retrieved February 7, 2014.
  6. ^ a b "General (Retired) Carter F. Ham". Response Systems to Adult Sexual Assault Crimes Panel (RSP), 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 November 7,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2, 2014. Retrieved March 12, 2014.
  7. ^ "General Carter F. Ham: Commanding General, U.S. Army Europe (biography)" (PDF). U.S. Army Europe. February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January 6, 2012.
  8. ^ a b 2011년 3월 21일자 뉴욕타임즈(2011년 3월 22일 오후 A1 NY 에드)의 "미국 주도의 습격은 리비아에서 목표에 근접했다"부밀러, 엘리자베스, 카림 파힘. 이전 웹 버전은 "카다피 군은 연합군의 공격을 계속하여 전략 도시를 보유한다"라는 제목이 붙었다. 2011-03-21 검색됨
  9. ^ 맥아스킬, 에웬, 닉 홉킨스 "리비아 작전이 혼란과 논쟁으로 인해 방해받음: 미국의 군사 작전 시험 인내심을 누가 장악할 것인가에 대한 해결책 부족" 2011년 3월 21일 GMT. 2011-03-21을 회수했다.
  10. ^ Scarborough, Rowan (November 7, 2012). "Head of Africa Command not forced out". The Washington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8, 2012.
  11. ^ "General Carter F. Ham, Former Commander (March 2011 – April 2013)". U.S. Africa Command. July 24,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1, 2013. Retrieved March 12, 2014.
  12. ^ Miller, Greg; Whitlock, Craig (October 1, 2012). "White House secret meetings examine al-Qaeda threat in North Africa". The Washington Post.
  13. ^ "General Ham at the Chatham House, London". Afri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24, 2013.
  14. ^ Sfc. Jacob Boyer (October 8, 2015). "National Commission on the Future of the Army visits Meade to discuss reserve component issue". U.S. Army Reserve. Retrieved June 14, 2021.
  15. ^ "National Commission on the Future of the Army (NCFA): 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February 5, 2016. Retrieved June 14, 2021.
  16. ^ "RETIRED ARMY GENERAL CARTER F. HAM JOINS ASSOCIATION OF THE U.S. ARMY STAFF". Association of the United States Army. February 26, 2016.
  17. ^ "HAM WILL SUCCEED SULLIVAN AS AUSA PRESIDENT AND CEO". Association of the United States Army. April 1, 2016.
  18. ^ "BROWN TO SUCCEED HAM AS AUSA PRESIDENT AND CEO". Association of the United States Army. June 22, 2021.
  19. ^ "HAM RETIRES AFTER 5 YEARS AS AUSA PRESIDENT AND CEO". Association of the United States Army. October 1, 2021.
  20. ^ 제네라우 카터 F. Ham w Polsce 2011년 6월 3일 웨이백 머신(사진)에 보관된 웨이백 머신wp.mil.텀블링하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