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표:36°20'N 43°08'E/북위 36.34°N 43.13°E/ 36.34; 43.13

모술

Mosul
모술
الموصل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티그리스의 전망
토마스 성당하트라
모술 농촌 • 강문
모술박물관 • 문화재자료실
닉네임:
N ī뉴
북쪽의 진주
Mosul is located in Iraq
Mosul
모술
이라크의 위치
Mosul is located in West and Central Asia
Mosul
모술
모술(서아시아와 중앙아시아)
좌표: 36°20'N 43°08'E / 36.34°N 43.13°E / 36.34; 43.13
나라 이라크
니네베
모술
지역
• 토탈180km2 (70sqmi)
승진223m (732ft)
인구.
(2023)
• 토탈1,792,000
매크로트렌드[2]
데몬(들)모술리
마스라위
시간대UTC+3 (AST)
지역코드60
모술과 그 숙소의 지도.
모술 박물관바그다드에 있는 이라크 국립 박물관 다음으로 이라크에서 두 번째로 큰 박물관입니다.그것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유물, 주로 아시리아 유물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맘 야히야 아부 알 카심의 사당
니네베 - 마슈키 게이트

모술(/ˈʊ ə,ʊˈː/모흐-스 ə, 모흐-SOOL; 아랍어: الموصل, 로마자 표기: 알모흐 , [[알 ˈˤ실]]로 발음되고, 지역적으로 [[ɪ ːˤɪ]]; 쿠르드어: مووسڵ어, 로마자 표기: û실;터키어: 무술; 시리아어: ܡܘܨܠ, 로마자 표기: 마우 ṣ일)는 이라크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니네베 주의 주도입니다.이 도시는 인구가 3백 7십만 명이 넘는 수도 바그다드 다음으로 인구와 면적 면에서 이라크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로 여겨집니다.모술은 티그리스 강에서 바그다드 북쪽으로 약 400km 떨어져 있습니다.모술 대도시권은 서쪽의 구시가지에서 '좌안'(동쪽)과 '우안'(서쪽)의 두 강둑을 아우르는 지역으로 발전했습니다.모술은 한때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였던 고대 아시리아 도시 니네베의 유적을 동쪽에 둘러싸고 있습니다.

모술과 그 주변에는 민족적, 종교적으로 다양한 인구가 살고 있으며, 인구의 대부분은 아랍인이며, 아시리아인, 투르크멘인, 쿠르드인과 다른 소수 민족들이 도시의 나머지 인구를 구성하고 있습니다.수니파 이슬람교는 가장 큰 종교이지만, 이슬람교의 다른 종파와 다른 소수 종교의 지지자들뿐만 아니라 상당한 수의 기독교인들이 있습니다.

모술은 아랍 세계에서 가장 크고 역사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도시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모술의 전략적 위치로 인해 전통적으로 국제 무역과 여행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습니다.흔히 모슬라비라고 알려진 아랍어의 북 메소포타미아 방언은 모술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이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이 지역의 필수 생산품은 모술 대리석석유입니다.모술은 모술 대학과 중동에서 가장 큰 교육 및 연구 센터 중 하나인 유명한 의과 대학의 본거지입니다.

근처의 니네베 평원과 함께, 모술은 아시리아 사람들의 역사적인 중심지 중 하나입니다.[7]

어원

도시의 이름은 크세노폰에 의해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제국의 통치 기간인 기원전 401년 아케메네스 아시리아에서 처음 언급되었습니다.거기서 그는 오늘날 모술이 있는 티그리스 강(Anabasis, III.iv.10)에 있는 아시리아의 작은 마을 "Mepsila"(고대 그리스어: μ έψιλα)에 주목합니다.크세노폰의 메프실라크세노폰의 보고서가 나온 지 6세기가 지난 지금의 모술에서 북쪽으로 약 30km 떨어진 이스키 모술, 즉 "올드 모술"의 장소와 동일시하는 것이 더 안전할 수도 있습니다.어쨌든 '멕실라'는 현재 이름의 근원임에 틀림없습니다.

현재 아랍어 형태와 철자법에서 모술, 혹은 차라리 "모실"이라는 용어는 아랍어로 "연결 지점", 혹은 느슨하게는 "접점 도시"를 의미합니다.모술의 동쪽에는 고대 도시 니네베의 유적이 있으며, 아시리아인들은 여전히 도시 전체를 니네베(또는 닌웨)라고 부릅니다.[7]

모술은 또한 알 파이하("낙원"), 알 ḍ라("녹색"), 알 하드바("혹한")라는 별명으로 불립니다.그곳은 때때로 "북쪽의 진주"[8]와 "백만 명의 군인들의 도시"라고 불립니다.[9]

역사

고대와 중세 초기

6세기부터 이라크에서 가장 오래된 아시리아 동방교회 수도원인 모술 남쪽의 다이르 마르 엘리아.2014년 ISIS에 의해 파괴되었습니다.

모술이 있는 지역은 일찍이 기원전 25세기부터 아시리아의 필수적인 부분이었습니다.메소포타미아의 모든 민족을 하나의 통치하에 통합시킨 아카드 제국 (기원전 2335–2154) 이후, 모술은 기원전 2050년경부터 기원전 612년에서 599년 사이에 신아시리아 제국이 멸망할 때까지 다시 아시리아 고유의 지속적인 부분이 되었습니다.모술은 7세기 중엽에 무슬림이 정복할 때까지 아시리아의 지정학적 속주(아케메네스 왕조 아시리아, 셀레우코스 왕조, 로마 아시리아, 사산 왕조 아소리스탄의 일부)에 13세기 더 머물렀습니다.무슬림이 정복한 후, 그 지역은 비록 토착 아시리아인들이 교회 지방에 아투라라는 이름을 계속 사용했지만, 이슬람 아랍인, 쿠르드인, 튀르크인들의 점진적인 유입을 목격했습니다.[citation needed]

니네베는 고대에 가장 오래되고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였으며 기원전 6000년경에 정착했습니다.[10]그 도시는 고대 아시리아 제국 (기원전 2025–1750)에서 언급되고 샴시-아다드 1세 (기원전 1809–1776)의 통치 기간 동안 그곳은 여신 이슈타르의 숭배의 중심지로 기록되었고, 중기 아시리아 제국 (기원전 1365–1056) 동안 남아있었습니다.신아시리아 제국 (기원전 911년–605년) 동안, 니네베는 특히 투쿨티-니누르타 2세와 아슈르나시르팔 2세 (기원전 883년–859년)의 치세 이후부터 규모와 중요성이 커졌습니다; 그는 고대 전통적인 수도인 아슈르 (아슈르) 대신 칼후 (성경의 칼라, 현재 님루드) 도시를 그의 수도로 선택했습니다.현재의 모술에서 30 km (19 mi) 떨어져 있습니다.[citation needed]

그 후, 살마네세르 3세, 아다드-니라리 3세,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 살마네세르 5세, 사르곤 2세와 같은 아시리아의 연속적인 황제 군주들은 도시를 계속 확장했습니다.기원전 700년쯤, 센나체리브 왕은 니네베 아시리아의 새로운 수도를 만들었습니다.거대한 건축 공사가 이루어졌고, 니네베는 바빌론, 칼후, 아슈르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가 되었습니다.많은 학자들은 바빌론의 공중정원이 니네베에 있었다고 믿습니다.[11]

모술의 구윤직 봉분은 센나체립 왕과 그의 후계자인 에사르하돈, 아슈르바니팔, 아슈르에틸일라니, 신슈무리시르, 신샤르이슈쿤의 궁전이 있는 곳입니다.아시리아 제국은 기원전 626년부터 풀리기 시작했는데, 10년에 걸친 잔혹한 내부 전쟁으로 인해 크게 약화되었습니다.전쟁으로 황폐해진 아시리아는 기원전 616년에 메디아, 페르시아, 칼데아, 스키타이, 침메르, 사가르티아와 함께 메소포타미아 남부에서 온 바빌로니아 관계로 유명한, 이전의 신하들의 거대한 연합에 의해 공격을 받았습니다.니네베는 기원전 612년 신샤르이슈쿤이 수도를 지키다가 전사한 공성전 끝에 함락되었습니다.그의 후계자인 아슈르-우발리트 2세는 니네베를 탈출하여 하란(현재 터키 남동부)에 새로운 아시리아 수도를 건설했습니다.[citation needed]

모술(당시 아시리아의 마을이었던 메실라는 옛 수도의 폐허에서 주민들에 의해 세워짐)은 나중에 니네베의 뒤를 이어 아시리아와 아나톨리아를 짧은 중앙 제국과 연결하는 길의 티그리스 교두보가 되었고 지정학적으로 지정학적으로 아투 지방의 일부였던 아케메네스 제국 (기원전 546–332)을 이었습니다.(아시리아)는 이 지역과 아시리아 전반에 걸쳐 경제적으로 큰 부흥을 이루었습니다.[citation needed]

모술은 기원전 332년 알렉산더의 정복 이후 셀레우코스 제국의 일부가 되었습니다.헬레니즘 시대의 도시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모술은 시리아의 셀레우코스 사트라피에 속했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기원전 150년경 파르티아 제국이 정복한 아시리아 (원래 시리아의 현대 국가가 아닌 아시리아를 의미하는 시리아)의 그리스어 용어입니다.[citation needed]

모술은 225년에 사산 제국의 부상과 함께 다시 손을 바꾸었고, 사산 제국의 아소리스탄 지방의 일부가 되었습니다.비록 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가 4세기까지 강력하게 유지되었지만, 기독교는 일찍이 1세기에 모술의 아시리아 원주민들 사이에 존재했습니다.그곳은 6세기에 아시리아 동방 교회의 성공회 소재지가 되었습니다.[citation needed]

칼리프 우마르 시대인 637년(다른 기록에서는 641년), 모술은 초기 아랍 무슬림의 침입과 정복 동안 우트바 이븐 파르카드 알술라미에 의해 라시둔 칼리프국에 합병되었고, 그 후 아시리아는 지정학적 실체로 해체되었습니다.[citation needed]

9세기부터 1535년까지

1261-63년 모술 포위전을 묘사한 페르시아 미니어처:Rashid-al-Din Hamadani, Jami' al-tawarikh,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9세기 후반에 투르크 왕조 이샤크 이븐 쿤다즈와 그의 아들 무함마드가 모술을 장악했지만 893년에 모술은 다시 한번 압바스 칼리프의 직접적인 지배하에 놓였습니다.10세기 초에 모술은 토착 아랍 함다 왕조의 지배하에 들어갔습니다.모술 출신으로 압달라 이븐 함단과 그의 아들 나시르 알다울라가 이끄는 함단족은 처음에는 아바스 왕조의 통치자로, 나중에는 사실상의 독립 통치자로, 수십 년 동안 메소포타미아 상부에 대한 지배권을 확장했습니다.1세기 후에 우카일 왕조에 의해 대체되었습니다.968년 모술을 방문한 이븐 호칼은 이곳을 쿠르드족이 주로 거주하는 아름다운 마을로 묘사했습니다.[12]

모술은 11세기에 셀주크 제국에 정복당했습니다.마우두드와 같은 반독립적인 아타베그 치하의 시기를 거쳐 1127년 쩡기드 왕조의 권력의 중심지가 되었습니다.살라딘은 1182년에 도시를 포위했지만 1186년에 도시를 장악했습니다.13세기에 훌라구 칸이 이끄는 몽골군에 의해 점령되었지만, 그 총독 바드르 알딘 루루가 시리아에서 그의 다음 캠페인에서 칸을 도왔기 때문에 보통의 파괴는 면했습니다.

몽골맘루크족과의 아인 잘루트 전투에서 패배한 후, 바드르 알딘의 아들은 후자의 편을 들었고, 이것은 도시의 파괴로 이어졌습니다.그것은 나중에 어느 정도 중요성을 되찾았지만, 원래의 화려함을 되찾지 못했습니다.이후 모술은 몽골의 일칸국잘라이리드 술탄국의 지배를 받았고 티무르의 파괴에서 벗어났습니다.

1165년 투델라의 벤야민은 모술을 통과했습니다. 그는 랍비 자카이가 이끄는 7천명으로 추정되는 작은 유대인 공동체가 모술에서 발견되었다고 썼습니다. 아마도 다윗 계통과 연결되어 있을 것입니다.1288년에서 1289년 사이에, 엑실라르카는 모술에 있었고 마이모니데스를 지지하는 문서에 서명했습니다.[13][14]16세기 초, 모술은 아 ğ 코윤루의 투르크멘 연방 하에 있었지만, 1508년에 이란의 사파비드 왕조에 의해 정복되었습니다.

금속공업

1232년에 모술에서 슈자 이븐 마나에 의해 만들어진 흑전병은 모술의 가장 유명한 놋쇠 작품 중 하나입니다.

13세기에 모술은 은으로 화려하게 상감한 고급 놋쇠 제품을 만드는 산업이 번성했습니다.[15]: 283–6 이 유물들은 오늘날에도 많이 남아있습니다; 사실, 중세 이슬람 유물들 중에서, 모술 놋쇠로 만든 것들이 가장 많은 비문을 가지고 있습니다.[16]: 12 그러나 동시대의 자료에서 이 산업에 대한 유일한 언급은 1250년경 그 지역을 여행했던 안달루시아의 지리학자 이븐 사이드의 이야기입니다.[15]: 283–4 그는 "이 도시에는 많은 공예품들이 있는데, 특히 통치자들에게 수출(및 선물)되는 상감 놋그릇들이 있습니다"[15]: 284 라고 썼습니다.이것들은 가장 부유한 사람들만이 살 수 있는 값비싼 물건들이었고, 모술은 1200년대 초에 이르러서야 대량 생산에 대한 수요를 갖게 되었습니다.[15]: 285 그 당시 모술은 부유하고 번영한 수도였는데, 처음에는 젠기드족, 그리고 그 다음에는 바드르 알딘 루루의 수도였습니다.[15]: 285

모술의 상감 놋그릇 산업의 기원은 분명치 않습니다.[16]: 52 무카다시가 양동이, 칼, 쇠사슬과 같은 철과 철 제품을 수출했다고 기록한 10세기 후반에 도시에는 철 산업이 있었습니다.[16]: 52 하지만, 모술에서 살아남은 어떤 금속 물체도 13세기 초 이전에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16]: 52 이슬람권의 상감 금속 세공은 은 부족에 직면한 은세공인들에 의해 12세기에 쿠라산에서 처음으로 개발되었습니다.[16]: 52–3 12세기 중반까지 특히 헤라트는 고품질 상감 금속 세공으로 명성을 얻었습니다.[16]: 53 "상대적으로 적은 도구가 필요한" 상감법과 그 기술은 서쪽으로 퍼져나갔고, 아마도 쿠라사니 장인들이 다른 도시로 이주하면서부터였을 것입니다.[16]: 53

13세기에 이르러서는 은동 기법이 모술에 이르렀습니다.[16]: 53 이집트에서 발견되고 아마도 모술에서 만들어진 한 쌍의 새겨진 놋쇠 플라벨라는 1202년의 시리아어 명문으로 연대가 추정되는데, 이것은 그들이 확실한 연대를 가진 가장 최초의 모술 놋쇠 플라벨라로 만들어 줄 것입니다.[16]: 49–50 현존하는 한 점은 훨씬 더 오래된 것일 수도 있습니다: 장인 이브라힘 이븐 마왈리야의 상감은 연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D.S. 라이스는 그것이 1200년경에 만들어졌다고 추정했습니다.[16]: 53 모술에서 상감 놋쇠 작품은 세기가 바뀌기 전에 이미 제작이 시작되었을 수도 있습니다.[16]: 53–4

1220년대에 모술 금속 세공품의 몸체가 크게 확장되었는데, 줄리안 래비에 따르면 "아마도 이 공예품의 성장하는 지위와 생산을 반영하는 것 같다"[16]: 54 고 합니다.대략 1220년부터 1240년까지 20년 동안, 모술 황동 산업은 "기술, 장식, 그리고 구성의 급격한 혁신"을 겪었습니다.[16]: 54 장인들은 모술 지역에서 제작된 미니어처 그림에서 영감을 얻었습니다.[16]: 54

모술은 13세기 초에 이슬람교도들의 금속 가공의 중심지들 사이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한 것으로 보입니다.[16]: 53 증거는 부분적이고 간접적입니다 - 그들이 어디서 만들어졌는지 직접적으로 진술하는 물체는 상대적으로 적고, 나머지 경우에는 니스바에 의존합니다.[16]: 53 그러나 알-마우실리는 지금까지 가장 흔한 니스바이며, 오직 알-이시르디(시르트에서 온 사람을 일컫는 말)와 알바그다디 두 사람만이 증언되고 있습니다.[16]: 53 그러나 이 시기에 시리아에서 은으로 상감한 몇몇 과학 기구들이 있는데, 가장 이른 것은 1222/3 (619 AH)입니다.[16]: 53

1259년 바드르 알 딘 루의 사망 이후 불안정한 상태, 특히 1262년 7월 몽골의 모술 포위와 점령은 아마도 모술의 금속 가공 산업의 쇠퇴를 초래했을 것입니다.[16]: 54 1200년대 후반에 알려진 자지라의 금속 가공물은 상대적으로 부족합니다. 한편, 맘루크 시리아와 이집트의 금속 가공물은 같은 시기에 많이 발견됩니다.[16]: 54 그러나 이것이 반드시 모술에서의 생산이 끝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이 시기의 현존하는 몇몇 물건들은 모술에서 만들어졌을지도 모릅니다.[16]: 54–5

마우실리 장인들이 서쪽으로 맘루크 시리아와 이집트로 이주한 최초의 확실한 증거는 1250년대부터입니다.[16]: 23, 54 이 지역의 현존하는 마우실리의 작품들은 모술 장인들이 그 도시들로 대규모 이동을 했다기보다는 한 특정한 가족이 다마스쿠스와 카이로에 작업장을 세운 결과로 보입니다.[16]: 37 13세기 후반에 이 두 도시에서 온 5명의 마우실리 장인이 알려져 있으며, 그 중 3명 또는 4명이 같은 가문의 일원입니다.[16]: 37 첫 번째는 1250년대 후반 다마스쿠스에서 알려진 최초의 은상 작품을 제작한 후사인 이븐 무함마드마윌리입니다.[16]: 39 그의 아들로 추정되는 알리 이븐 후세인 이븐 무함마드마윌리는 수십 년 후 카이로에서 활동했습니다.[16]: 37–9 하지만 카이로에서 발견된 가장 초기의 은상 놋쇠 작품은 무함마드 이븐 하산이라고 추정되는 또 다른 가문의 일원입니다.[16]: 37–9 그의 작품으로 알려진 하나의 작품, 1269년의 촛대는 완성되기 전에 죽었다는 것을 암시하는 글이 있습니다.[16]: 39 하지만 카이로의 초기 맘루크 금속세공의 "핵심 인물"은 알리 이븐 후세인이었습니다.[16]: 39 1280년대의 그의 작품들은 모술의 영향뿐만 아니라 "초기 맘루크" 양식을 보여줍니다.[16]: 39 마지막 구성원은 후사인 이븐 무함마드의 손자인 후사인 이븐 아마드 이븐 후세인으로, 그는 14세기 전환기에 활동했고 라술리드 술탄 알 무아야드 히자브르 알 딘 다우드 이븐 유수프를 위해 "주요 작품"을 만들었습니다.[16]: 42–4 이 과는 "14세기 맘루크 금속 세공의 가장 특징적인 두 가지 특징, 즉 큰 영감을 주는 촛대와 넓은 테두리를 가진 큰 다엽 메달, 결국 날오리로 가득 찬"을 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16]: 42

다른 곳에서, 모술 금속 세공은 결국 14세기에 파르스와 서부 이란의 다른 곳에서 금속 인레이의 전통에 영향을 미쳤습니다.[16]: 55 이 전승에는 일칸족이 장인들을 모아 자신들의 수도 타브리즈에 모여 중앙집권적인 왕실 생산을 위해 노력한 것이 한 몫 했을 것입니다.[16]: 55

모술에서 생산된 제품은 단 두 가지로 확정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6]: 23 첫 번째는 1232년 슈자 이븐 마나가 만든 블라카스 주전자이고, 두 번째는 1255/6년(653 AH) 알리 이븐 야히야가 만든 은상 펜 박스입니다.[16]: 12, 23 어느 장인의 다른 작품도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16]: 23 그것들은 27개의 다른 제조사들이 니스바 알 마우실리와 함께 장인들에 의해 만들어진 35개의 살아있는 구리로 구성된 광범위한 모술 작품의 일부를 이루고 있습니다.[16]: 22 그 중 80%는 1220년부터 1275년까지이고, 나머지 20%는 1275년부터 약 1325년까지입니다.[16]: 23

현대 서양의 학자들은 이 금속 조직을 "모술 학파"라고 불렀지만, 이 집단의 타당성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15]: 283 은으로 상감한 동자를 [15]: 283 모술, 특히 20세기 초 가스통 미건에 의해 "무차별적"으로 귀속시킨 것이 이 용어에 대한 반발로 이어졌습니다.[16]: 13 막스 베르켐, 메흐메트 아 ğ라 오 ğ루, D.S. 라이스와 같은 후대의 학자들은 모두 좀 더 회의적인 견해를 취했는데, 특히 반 베르켐은 알려진 6개의 물건만이 모술의 것으로 추정될 수 있으며, 다른 것들은 다른 곳에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습니다.1973년에 Souren Mellikian-Chirvani는 모술이 만들지 않은 금속 세공으로 한 세기 동안 서양에서 유명했다고 말했습니다.[16]: 11 하지만, 줄리안 래비는 모술 학교의 개념을 옹호하며, 그 도시가 독특한 금속 세공 전통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합니다.[16]: 11–2 그는 모술의 금속공예품을 카샨의 도자기와 비교하며 "마우실리 금속공예가들은 공동체와 전통에 대한 의식적인 인식을 보여주었고 적어도 초기에는 전통에 대한 자랑스러운 인정을 보여주었다"며 도시의 금속공예품이 1세기 이상 지속된 광범위한 명성 또는 "브랜드 가치"를 얻었다고 썼습니다.[16]: 57

라비의 주장의 일부는 많은 아이템들이 "실질적인 목적에 도움이 되지 않는" 한 두 개의 반복되는 기호를 공유하고 "브랜드", "작업장 마크", "길드 엠블럼" 또는 "아마도 장인정신의 표시"로 의미되었을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16]: 12, 31, 33, 56 첫 번째 것은 복잡한 기하학적 패턴으로 채워진 팔각형으로, 30년 동안 적어도 13개의 물건에 나타납니다: 1220년대부터 1240년대까지.[16]: 30–2 라비가 "모술 금속 세공의 2세대"라고 칭한 가장 중요한 모술 예술가들은 모두 이 기호를 사용했습니다.아마드 알다키, 이븐 잘닥, 슈자 이븐 마나, 다우드 이븐 살라마, 유누스 이븐 유수프.[16]: 32 눈에 띄는 부재는 1세대의 일원인 이브라힘 이븐 마왈리야입니다.[16]: 32 팔각형은 1250년경 이후 사라지며, 모술 밖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 노동자들도 사용하지 않습니다.[16]: 32

또 다른 반복되는 기호는 아이템의 바닥에 10개 또는 12개의 잎이 있는 로제트입니다 - 주전자의 바닥 또는 촛대의 바닥.[16]: 33 이것은 보통 눈에 잘 띄지 않고, 실용적인 용도로 쓰이지 않아서인지, 결국 세기 중반쯤에 버려졌습니다.[16]: 33 이 로제트의 마지막 예는 1248/9년(646 AH) Dawud ibn Salama에 의해 만들어진 촛대의 바닥입니다.[16]: 33

라비는 이브라힘 이븐 마왈리야가 모술 황동 산업에서 "중요한 인물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16]: 33 주인에게 행운을 주는, 그의 물건들에 대한 "베네딕토리 비문"의 특별한 문구는 다른 모술 장인들의 몇몇 작품에서 반복됩니다.[16]: 33 이브라힘 이븐 마왈리야의 조력자는 그의 틸미드(견습생) 이스마일 이븐 와드와 굴람 카심 이븐 알리로 알려져 있습니다.[16]: 24 아마드 알-다키의 작업장 또한 "모술에 있는 다른 사람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을 것입니다.[16]: 35

모술 금속 가공물은 이슬람 세계에서 금속 노동자들이 주인과 견습생 사이의 관계를 기록한 유일한 사례입니다.[16]: 56 이것은 분명히 모술 장인들에게 자부심의 지점이었습니다.[16]: 56 줄리안 래비는 정교하지만 비현실적으로 작은 두 개의 모술리 물건들, 즉 이스마일 이븐 워드가 만든 6x4 cm의 작은 상자와 8 cm의 익명의 양동이가 견습생이나 저널리스트 금속 노동자들에 의해 장인 조합에 받아들여지기 위한 시험의 일부로 "신비한 작업"으로 만들어졌다고 추측했습니다.[16]: 56–7

Raby에 따르면, 모술 금속 세공품은 Badr al-Din Lu'lu'가 자신의 현실 정치 외교의 일환으로 다른 통치자들을 달래기 위해 준 선물의 일부였을 수 있다고 합니다.[16]: 29

오스만 제국 시대

1631년 모술 정복(니네베) 전경 터키 병사가 잘린 머리를 들고 있는 무스타파 파샤의 모습.L.,C. (스테처) 1631-1650
카르스텐 니부어가 그린 1778년 모술의 지도

1517년 불규칙적인 공격으로 시작된 것은 1538년 오스만 술탄 술레이만이 그의 가장 큰 경쟁자인 사파비드 페르시아로부터 모술을 점령함으로써 그의 제국에 추가되었습니다.[17]그때부터 모술은 파샤의 지배를 받았습니다.모술은 큰 탑이 있는 일곱 개의 문, 유명한 병원(마리스탄)과 시장(카이사리야)으로 구성된 성벽과 직물과 번창하는 무역으로 유명합니다.

메소포타미아는 1555년 아마시아 조약에 의해 오스만 제국에 의해 획득되었지만, 1639년 주하브 조약이 메소포타미아에 대한 오스만의 지배가 결정적이지 않을 때까지.[18]아마시아 조약 이후, 아바스 1세 (재위 1588–1629)의 통치 기간 동안 사파비 왕조는 메소포타미아의 대부분을 다시 한 번 탈환했습니다.그 기간 동안 메소포타미아의 새로 임명된 사파비드 총독들 중에는 1622년에 모술의 총독으로 임명된 카셈 술탄 아프샤르가 있었습니다.[19][20]1638년 이전에 오스만 제국은 모술을 "오만군의 이라크 침공을 위한 전략적 요충지이자 아나톨리아와 시리아 해안으로의 접근을 방어하는 방어 거점으로 중요한 요새"로 여겼습니다.그 후 오스만 제국의 바그다드 탈환(1638년)으로 모술의 리와는 독립적인 윌라야가 되었습니다."[21]: 202

오스만 제국의 일부였음에도 불구하고, 4세기에 걸친 오스만 제국의 통치 기간 동안 모술은 지역 명사들을 통한 간접 통치의 로마 모델을 따라 중동에서 "가장 독립적인 지역"으로 여겨졌습니다.[22]: 203–204 "모술리 문화는 오스만 제국을 따라 덜 발달했습니다.이라크-아랍 선보다는 터키어 선이 더 강했고, 그 주의 공용어인 터키어는 확실히 그 주에서 지배적인 언어는 아니었습니다."[21]: 203

지중해페르시아만 사이의 정치적으로 안정적인 무역로로서의 지위와 함께, 모술은 17세기와 18세기 초에 상당히 발전했습니다.바그다드의 맘루크 왕조의 발전과 마찬가지로, 이 시기 동안 잘릴리 가문은 모술의 논쟁의 여지가 없는 주인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었고, 모술과 오스만, 투르크, 몽골, 아랍 문화 유산을 연결하는 데 도움을 주었는데, 이는 마을이 누렸던 명성과 명성을 되찾는 길에 놓이게 하기 위함이었습니다.'바드라딘 루'[21]: 203 의 황금 통치하에서'

우마리 가문과 타신 알 무프티 가문과 함께 잘릴리스 가문은 "도시 기반의 중소 상류층과 새로운 육지 엘리트"를 형성했고, 이는 이전 농촌 부족의 통제권을 대체하기 위해 진행되었습니다.[23]이러한 가족들은 민간 기업을 통해 자리를 잡고, 토지의 임대료와 제조업에 대한 세금을 통해 그들의 영향력과 자산을 공고히 합니다.

선출된 관리들뿐만 아니라, 모술의 사회적 건축은 교황 베네딕토 14세가 보낸 1750년 모술에 도착한 도미니카의 아버지들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았습니다. (모술은 기독교 인구가 많았고, 주로 아시리아 원주민들이었습니다.)[24]1873년에 도미니카 수녀들이 그들을 뒤따랐는데, 그들은 학교, 보건 진료소, 인쇄기, 고아원, 그리고 소녀들에게 바느질과 자수를 가르치기 위한 작업장을 설립했습니다.[25]19세기에 설립된 도미니카 자매 모임은 21세기 초에도 모술에 어머니 집을 여전히 가지고 있었습니다.120명이 넘는 아시리아계 이라크인 자매들이 이 회중에 속해 있었습니다.[24]

19세기에 오스만 정부는 외곽 지방에 대한 중앙 통제권을 되찾기 시작했습니다.그들의 목표는 "오스만 법을 회복하고 군대를 되살리는 것"과 "정부의 안전한 과세 기반"을 부활시키는 것이었습니다.[26]: 24–26 통치를 회복하기 위해 1834년 술탄은 총독 선거를 폐지하고 할릴리스와 그 계급과 같은 지역 가문을 무력화하고 새로운 비(非)마스라위 총독을 직접 임명하기 시작했습니다.[26]: 28–29 모술은 중앙정부 통치 내에서의 재통합에 따라 관세율의 표준화, 내국세의 통합, 중앙정부와의 행정기구의 통합을 포함한 새로운 오스만 제국의 개혁입법에 따를 것이 요구되었습니다.[26]: 26

이 과정은 1834년 바이락타르 메흐메드 파샤가 임명되면서 시작되었는데, 파샤는 이후 4년 동안 모술을 다스릴 예정이었습니다.그의 통치 후 오스만 정부는 (여전히 강력한 지역 가문의 영향력을 억제하기를 바라는) 일련의 총독들을 연속으로 임명하여 "다른 곳으로 파견되어 통치하기 전에, 그들 중 누구도 실질적인 지역 권력 기반을 달성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기 전에 잠깐 동안만" 통치했습니다.[26]: 29 모술의 무역 중심지로서의 모술의 중요성은 수에즈 운하가 개통된 이후 줄어들었고, 이 운하는 모술을 통해 육로보다는 해상으로 인도를 오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1914년 모술의 한 커피숍.

모술은 1623년 페르시아가 그 도시를 점령했을 때 잠시 휴식기를 가진 오스만 이라크의 세 빌라예트 지방 중 하나모술 빌라예트의 수도였습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오스만 제국대영 제국, 프랑스, 러시아 제국에 맞서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불가리아 편에 섰습니다.북부 메소포타미아, 북부 시리아, 남동부 터키에서 오스만 제국쿠르드족, 터키인, 체르카인 및 일부 아랍 집단의 무장 지원을 받았고, 영국러시아아시리아인 및 아르메니아인(특히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아시리아인 집단학살의 여파로)과 일부 아랍 집단의 군사적 지원을 받았습니다.오스만 제국은 패배했고 1918년 11월 영국은 모술과 이라크 전체를 점령했습니다.

1918년부터 1990년대

머드로스 정전 이후 1918년 10월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자 영국군은 모술을 점령했습니다.전쟁이 끝난 후, 그 도시와 주변 지역은 영국이 점령한 이라크(1918–1920)와 의무 이라크(1920–1932)의 일부가 되었습니다.이 권한은 휴전 협정 서명 기간 동안 오스만 제국의 통제 하에 있다는 이유로 이 지역을 계속 주장한 터키에 의해 이의가 제기되었습니다.

로잔 조약에서, 모술에 대한 분쟁은 국제 연맹에 의해 미래의 해결을 위해 남겨졌습니다.1926년 터키와 영국 사이의 국제연맹의 중개 협약으로 이라크의 모술 소유가 확정되었습니다.전 오스만 제국의 모술 빌라예트는 이라크의 니네베 현이 되었지만, 모술은 여전히 그 지방의 수도로 남아있었습니다.

1932년 모술.알누리 모스크의 기울어진 첨탑은 그 도시에 "훈트백" (الحدباء 알 ḥ라드바 ˈ)이라는 별명을 붙였습니다.

모술의 재산은 1920년대 후반부터 이 지역에서 석유가 발견되면서 되살아났습니다.트럭과 송유관을 통해 터키와 시리아로 석유를 이동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큐아라 정유공장은 도시에서 차로 약 1시간 거리에 지어졌으며 도로 건설 프로젝트를 위해 타르를 처리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이란-이라크 전쟁 중에는 피해를 입었지만 파괴되지는 않았습니다.

1967년 모술 대학의 개교는 도시와 주변 지역의 많은 사람들의 교육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모술, 1968
2007년 3월 19일 이라크 경찰, 미군들이 모술의 인근을 순찰하고 있습니다.

이라크의 1991년 폭동 이후, 모술은 1991년에서 2003년 사이에 미국과 영국에 의해 부과되고 순찰된 북부 비행금지구역에 포함되었습니다.

이것이 사담 후세인의 군대가 그 지역에서 다시 대규모 군사 작전을 시작하는 것을 막았지만, 그것은 그의 정권이 니네베 주의 일부 지역의 인구 통계가 점차 바뀌는 "아랍화"의 꾸준한 정책을 시행하는 것을 막지 못했습니다.이 프로그램에도 불구하고, 모술과 그 주변의 마을들은 아랍인, 쿠르드인, 아시리아인, 아르메니아인, 투르크멘인, 샤박인, 소수의 유대인, 그리고 야지디스인, 만데인, 카울리야인, 체르카시인의 고립된 인구들의 고향으로 남아있었습니다.

사담은 모술 내에서 제5군의 일부를 주둔시킬 수 있었고, 모술 국제 공항을 군사 통제하에 두었으며, 그의 군대의 장교단을 위해 모술에서 많이 모집했습니다.이것은 대부분의 이라크 육군 장교들과 장군들이 사담 정권 훨씬 이전에 모술 출신이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2003년 미국 주도의 침공

사담 후세인의 아들 쿠사이우데이는 2003년 7월 22일 모술에서 총격전으로 사망했습니다.

2003년 이라크 침공이 계획되었을 때, 미국은 원래 터키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모술을 점령하기 위해 이라크 북부에 추진력을 행사할 계획이었으나, 터키 의회는 이 작전에 대한 허가를 거부했습니다.2003년 3월 이라크 전쟁이 발발했을 때, 이 지역에서 미군의 활동은 인근에 공중 투하된 특수부대와의 전략 폭격에 국한되었습니다.모술은 2003년 4월 11일 사담 후세인에게 충성하는 이라크군 제5군단이 바그다드 함락 이틀 후 도시를 버리고 항복하면서 함락되었습니다.쿠르드족 전투기를 앞세운 미 육군 특수부대가 빠르게 도시를 장악했습니다.그 후 미군에게 전반적인 통제권을 이양하기로 합의하기 전에 광범위한 약탈이 시작되었습니다.

2003년 7월 22일, 사담 후세인의 아들 우데이 후세인쿠사이 후세인이 모술에서 연합군과 총격전을 벌이다가 생포에 실패하면서 사망했습니다.[27]모술은 또한 이라크 자유 작전의 점령 기간 동안 미 육군 101 공수 사단의 작전 기지 역할을 했습니다.101공수사단은 재임기간 동안 대대적으로 시찰을 할 수 있었고, 제431민사대와 민간단체, 모술시민들의 조언에 따라 모술시민들을 치안, 전기, 지방자치, 식수, 폐수, 쓰레기처리, 도로,다리, 그리고 환경에 대한 관심사.[28][29]

도시를 점령한 다른 미군 부대로는 제1기병사단의 제4여단 전투단, 제172스트라이커여단, 제3여단-제2보병사단, 제18공병여단(전투), 알파중대 제14공병대대-555전투공병여단, 제1여단-제25보병사단, 제511헌병중대,제364민사여단의 한 부대인 예비군 제812헌병중대와 중대규모 부대, 그린라인 북쪽 지역을 관할하는 제404민사대.[clarification needed]제67전투지원병원(CSH)은 2004년 1월부터 2005년 1월까지 이라크 자유 작전(OIF)을 지원하기 위해 배치되었으며, 모술과 티크리트에서 분할 기반 작전을 수행했습니다.태스크포스(TF) 67본부와 B사는 FOB(Forward Operating Base) 다이아몬드백(Mosul), A사는 FOB 스피처(Tikrit)에서 운영되었습니다.[30]

2004년 6월 24일, 일련의 차량 폭탄으로 62명이 사망했고, 그 중 많은 사람들이 경찰관이었습니다.

2004년 12월 21일, 모술의 미군 주요 비행장 옆 FOB(Forward Operating Base) 마레즈(Marez) 식당에서 자살 공격이 일어나 미군 14명, 할리버튼의 미국인 직원 4명, 이라크인 4명이 사망했습니다.국방부는 폭발물 조끼와 이라크 보안국 제복을 입은 자살 폭탄 테러로 72명이 부상했다고 발표했습니다.이슬람 단체Army of Ansar al-Sunna (일부 Ansar al-Islam에서 진화)는 온라인 성명을 통해 이번 공격에 책임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2007년 12월, 이라크는 모술 국제공항을 다시 열었습니다.이라크 항공152명의 하지 순례자들을 바그다드로 실어 날랐는데, 이는 1993년 미군이 비행금지구역을 선포한 이후 처음 있는 상업적 비행이었습니다.[31]2008년 1월 23일, 아파트 건물에서 발생한 폭발로 36명이 사망했습니다.다음 날, 경찰 복장을 한 자살 폭탄 테러범이 폭발 현장을 둘러보던 중 현지 경찰청장 살라 모하메드 알 주부리 준장을 암살했습니다.[32]

2008년 5월, 모술의 군사 작전 사령관인 리야드 잘랄 타우피크 소장이 이끄는 미국의 지원을 받는 이라크군은 도시에 안정과 안보를 가져오려는 희망으로 니나와 작전의 군사적 공세를 시작했습니다.[33]이라크 의회의 모술 대표들, 도시의 지식인들, 그리고 다른 우려되는 인도주의 단체들은 도시의 참을 수 없는 상황에 대한 해결책이 시급하다는 것에 동의했지만, 여전히 해결책은 정치적이고 행정적인 것이라고 믿었습니다.또 이런 대규모 군사공세가 무고한 국민의 생명을 살릴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했습니다.[34]

이 모든 요소들은 2003년과 2008년 사이에 많은 과학자들, 교수들, 학문들, 의사들, 건강 전문가들, 기술자들, 변호사들, 언론인들, 종교 성직자들, 전문가들과 예술가들 뿐만 아니라 (무슬림과 기독교인들 모두) 죽거나 강제로 죽었던 그 도시의 역사적, 과학적 그리고 지적인 기초들을 빼앗았습니다.총살 위협을 받으며 도시를 떠나는 것은 이라크의 다른 지역에서 일어난 일과 정확히 같습니다.[35][36][37][38]

기독교 출애굽기

2008년, 많은 아시리아 기독교인들(약 12,000명)이 살인과 그들의 공동체에 대한 위협으로 도시를 탈출했습니다.십여 명의 아시리아인을 살해하고, 다른 사람들은 이슬람으로 개종하지 않으면 살해될 것이라는 위협과 그들의 집이 파괴되면서 기독교인들의 급격한 이탈이 촉발되었습니다.어떤 이들은 시리아와 터키로 도망쳤고, 다른 이들은 교회와 수도원에서 피신했습니다.수니파 원리주의자들과 쿠르드족 일부 집단 사이에 이 새로운 탈출의 배후에 대한 비난이 오갔습니다.일부 주장은 2009년 1월 지방선거와 관련이 있으며, 아시리아 기독교인들이 지방의회에서 더 넓은 대표성을 요구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39][40]

모술은 2014년 6월 4일 공격을 받았습니다.6일간의 전투 끝에 6월 10일 이슬람 국가가 2014년 6월 북부 이라크 공세 동안 도시를 점령했습니다.[41][42][43]8월까지, 그 도시의 새로운 ISIL 행정부는 잦은 정전, 오염된 수도 공급, 사회 기반 시설의 붕괴, 그리고 건강 관리의 실패로 제 기능을 하지 못했습니다.[44]

이슬람 국가에 의한 정부

2014년 6월 10일, 이슬람 국가는 모술에 주둔하고 있던 이라크군이 철수한 후 모술을 점령했습니다.[45][46][47]최고위급 장교들과 이라크 정치 지도자들 사이의 병력 부족과 내분이 ISIL의 손아귀에 놀아났고 도시를 포기하게 만든 공황상태를 부채질했습니다.[48]이후 이틀 동안 걸어서 또는 차로 50만 명이 탈출했습니다.[49]서방 및 친이라크 정부 언론에 따르면 모술 주민들은 사실상의 죄수로 가족, 개인 재산, 재산의 상당한 담보물을 ISIL에 남겨두지 않으면 도시를 떠나는 것이 금지됐습니다.[50]그리고 나서 그들은 3일 이용권에 대해 상당한 "출국세"[51]를 지불한 후 떠날 수 있습니다. (더 높은 요금으로 그들은 집을 포기하고, 요금을 지불하고 영원히 떠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3일 이용권을 가진 사람들이 그 시간 내에 돌아오지 못하면, 그들의 재산은 압류되고 그들의 가족은 죽임을 당합니다.[52]

2014년 이슬람국가(IS) 공격 이후 험비 다운.
2016년 11월 16일 모술 거리에 있는 ISOF.그 도시는 2017년에 해방되었습니다.

전 이라크 지상군 사령관 알리 가이다단은 알 말리키가 이라크에서 철수 명령을 내린 장본인이라고 비난했습니다.[47]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알말리키는 6월 10일 밤사이에 탈취된 모술 공격 이후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했습니다.이라크의 안보 위기에도 불구하고, 이라크 의회는 말리키가 비상사태를 선포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습니다. 많은 의원들은 총리의 통치 기간이 이라크인들과 서방 분석가들에 의해 종파적이라고 묘사되어 왔기 때문에 총리의 권력 확대에 반대하기 때문에 회의를 보이콧했습니다.수천억 달러의 돈이 정부 금고에서 사라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53][54]

2016년 10월 16일 미군과 프랑스군의 도움으로 이라크군은 모술을 탈환하기 위해 합동 공세를 펼쳤습니다.[55][56]모술 전투ISIL에 대한 군사적 개입의 핵심으로 여겨졌습니다.[57]도시를 탈환하기 위한 군사적 공세는 2003년 미군과 연합군의[58] 침공 이후 최대 규모의 이라크군 배치였습니다. 2017년 7월 9일, 하이데르 알아바디 총리는 ISIL의 3년간의 통제 후 모술의 완전한 해방과 매립을 발표할 준비로 도착했습니다.[59]다음 날 공식 선언이 나왔습니다.[60]2017년 7월 21일 이라크군이 모술을 완전히 장악하기 전까지 구시가지에서 2주간 전투가 이어졌습니다.[61][62]쿠르드족 정보에 따르면 이 전투로 수만 명의 민간인이 사망했으며 연합군의 공습과 이라크군의 포격으로 도시 대부분이 파괴됐습니다.[63]

인구통계학

1932년 모술의 수크(전통시장)

살라후딘 쿠다 바크쉬에 따르면, 아랍 지리학자 이븐 호칼은 서기 969년(358년)에 모술에 있었다고 합니다. 그는 그곳을 "훌륭한 시장이 있는 훌륭한 마을이며, 비옥한 지역들에 둘러싸여 있으며, 가장 유명한 것은 선지자 요나가 묻힌 니네베 주변이었습니다.10세기에 인구는 쿠르드족아랍인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디야르 라비아를 모두 차지하고 있는 모술 주변의 수많은 지역들은 이븐 호칼에 의해 신중하게 열거되고 있습니다."[12][64]

1813년, A System of Geography의 저자인 James Playfair는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모술 사람들은 냉철하고 근면한 [65]종족인 쿠르드족이 주를 이룹니다.

20세기에, 모술은 이라크의 혼합된 민족과 종교 문화를 나타냈습니다.오늘날 모술은 도시 지역에서 수니파 아랍인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데, 티그리스를 건너 북쪽으로는 아시리아인, 쿠르드인, 투르크멘인, 샤박인, 야지디스인, 아르메니아인, 만데인들이 모술의 나머지 인구를 구성하고 있습니다.[66]샤바크들은 도시의 동쪽 외곽에 집중되어 있었습니다.

종교

20세기 초 모술의 시리아 정교회 수도원에서 거행된 축하행사

모술에는 수니파 이슬람교도들이 주로 살고 있습니다.그 도시에는 고대 유대인 인구도 있었습니다.이라크의 다른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은 1950-51년에 쫓겨났습니다.대부분의 이라크 유대인들은 이스라엘로 이주했고, 일부는 미국으로 이주했습니다.[67]2003년 이라크 전쟁 중에 미군의 한 랍비가 모술에 버려진 황폐한 회당을 발견했습니다. 13세기를 발견했습니다.[68]

ISIL의 점령 기간 동안, 종교적 소수자들은 이슬람으로 개종하거나, 헌금을 지불하거나, 떠나거나, 죽임을 당하는 것이 목표였습니다.[69]모술과 주변 니네베 평원의 기독교인들에 대한 박해는 1세기부터 이 지역에 존재했던 기독교 공동체를 제거했습니다.[70]

사회 기반 시설

모술의 티그리스 강 조망

모술댐은 모술에 수력과 물을 공급하기 위해 1980년대에 지어졌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수는 여전히 일반적입니다.[71]

모술의 티그리스 강을 가로지르는 다섯 개의 다리는 남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72]

  • 알쇼하다 대교(또는 "제3의 다리")
  • 제5교
  • 구교(또는 "철교" 또는 "퍼스트 브리지")
  • 알 후리야 다리(문자 그대로 "자유의 다리", "제2의 다리"라고도 함)는 제4의 다리에서 북쪽으로 약 1km, 제1의 다리에서 남쪽으로 약 0.8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알 후리야 다리는 서안의 바바트토브와 동안의 알 파이살리야를 연결합니다.[73]: 8, 20 1955년에서 1958년 사이에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회사들에 의해 지어졌습니다.[73]: 4 콘크리트 지지대가 달린 강철로 만들어진 이 다리는 6개의 경간이 있고 길이는 340m입니다.[73]: 4 각 방향으로 차로가 하나씩 있는 양방향 도로가 다리를 건너고, 양쪽으로 보도도 있습니다.[73]: 4 2016년 다리가 파괴되기 전까지 하루에 약 10,495대의 차량이 다리를 건넜고, 연간 총 380만 대의 차량이 이 다리를 건넜습니다.[73]: 17–8 2016년 10월 미군의 공습으로 좌안 접근과 함께 교량의 1차 경간(왼쪽부터 시작)이 파괴되었습니다.[73]: 4 이후 이슬람국가의 폭격으로 3경간(제4경간, 제5경간, 제6경간)이 추가로 파괴되고 마지막 2경간(제2경간, 제3경간)이 파괴되었습니다.[73]: 4 그 여파로 이라크군은 통근자들에게 대체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알후리야 다리 북쪽 0.2km 지점에 임시 폰툰 다리를 설치했습니다.[73]: 18
  • 제4교

국제연합의 지원을 받는 ISIL과 이라크군 간의 모술 전투(2016~17년)에서 2016년 10월 연합군의 공습으로 다리 2개가 '손상'되었고, 11월에는 2개가, 12월 초에는 올드 브릿지가 '장애'되었습니다.[72]BBC에 따르면 12월 말 다리는 서모술에서 동모술에 있는 ISIL 병력의 재보급을 방해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72]2017년 1월 CNN은 압둘 아미르 라쉬드 야랄라 이라크 사령관을 인용해 ISIL이 이라크 지상군의 진격을 늦추기 위해 모든 다리를 '파괴'했다고 보도했습니다.[74]

리세 그란데는 모술을 탈환하기 위한 전투의 마지막 단계에서 초기 평가에 따르면 기본적인 인프라 수리 비용이 10억 달러 이상이 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그녀는 동부 모술의 안정화는 두 달 안에 이루어질 수 있지만, 모술의 일부 지역에서는 몇 년이 걸릴 수도 있으며, 44개 지역 중 6개 지역은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다고 말했습니다.모술의 모든 지역은 가벼운 피해 또는 적당한 피해를 입었습니다.[75]유엔에 따르면, 모술의 서쪽 반부에 위치한 54개의 거주지역 중 15개 지역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고, 최소 23개 지역이 중간 정도의 피해를 입었습니다.[76]

모술은 모술 국제공항에서 운행합니다.

지리학

모술은 중동의 상부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해발 223미터에 있습니다.모술의 남서쪽에는 시리아 사막이 있고 동쪽에는 자그로스 산맥이 있습니다.

기후.

모술은 더운 반건조 기후(BSH)를 가지고 있으며, 지중해성 기후(CSA)에 해당하며, 매우 덥고 길고 건조한 여름, 짧고 온화한 가을과 봄, 적당히 습하고 비교적 시원한 겨울을 가지고 있습니다.

모술 기후자료
2월 4월 그럴지도 모른다 8월달 9월 10월달 11월 12월 연도
높은 °C(°F) 기록 21.1
(70.0)
26.9
(80.4)
31.8
(89.2)
35.5
(95.9)
42.9
(109.2)
44.1
(111.4)
47.8
(118.0)
49.3
(120.7)
46.1
(115.0)
42.2
(108.0)
32.5
(90.5)
25.0
(77.0)
49.3
(120.7)
평균 높은 °C(°F) 12.4
(54.3)
14.8
(58.6)
19.3
(66.7)
25.2
(77.4)
32.7
(90.9)
39.2
(102.6)
42.9
(109.2)
42.6
(108.7)
38.2
(100.8)
30.6
(87.1)
21.1
(70.0)
14.1
(57.4)
27.8
(82.0)
일평균 °C(°F) 7.3
(45.1)
9.1
(48.4)
13.1
(55.6)
18.2
(64.8)
24.5
(76.1)
30.3
(86.5)
34.0
(93.2)
33.4
(92.1)
28.7
(83.7)
22.1
(71.8)
14.2
(57.6)
9.0
(48.2)
20.3
(68.6)
평균 낮은 °C(°F) 2.2
(36.0)
3.4
(38.1)
6.8
(44.2)
11.2
(52.2)
16.2
(61.2)
21.3
(70.3)
25.0
(77.0)
24.2
(75.6)
19.1
(66.4)
13.5
(56.3)
7.2
(45.0)
3.8
(38.8)
12.8
(55.1)
낮은 °C(°F) 기록 −17.6
(0.3)
−12.3
(9.9)
−5.8
(21.6)
−4.0
(24.8)
2.5
(36.5)
9.7
(49.5)
11.6
(52.9)
14.5
(58.1)
8.9
(48.0)
−2.6
(27.3)
−6.1
(21.0)
−15.4
(4.3)
−17.6
(0.3)
평균강수량mm(인치) 62.1
(2.44)
62.7
(2.47)
63.2
(2.49)
44.1
(1.74)
15.2
(0.60)
1.1
(0.04)
0.2
(0.01)
0.0
(0.0)
0.3
(0.01)
11.8
(0.46)
45.0
(1.77)
57.9
(2.28)
363.6
(14.31)
평균강수량일수 11 11 12 9 6 0 0 0 0 5 7 10 71
월평균 일조 시간 158 165 192 210 310 363 384 369 321 267 189 155 3,083
출처 1: 세계 기상 기구([77]UN)
출처 2: 기상관측소(극단 전용)[78]

역사적 종교적 건축물

모술은 모스크, 성, 교회, 수도원, 학교 등 오래된 역사적 장소와 고대 건물들이 풍부하며, 이들 중 많은 것들이 건축적인 특징과 중요한 장식 작업을 가지고 있습니다.도심은 미로 같은 거리와 19세기 가옥들이 지배하고 있습니다.이 시장은 아랍인, 쿠르드인, 아시리아인, 이라크 유대인, 쿠르드인, 이라크 투르크멘인, 아르메니아인, 야지디인, 만데인, 루마니아인, 샤바크인이 섞여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citation needed]

모술 박물관에는 옛 아시리아의 수도 니네베와 님루드의 고대 유적지에서 발견된 많은 유물들이 있습니다.마당 주위에 배치되어 있고, 모술의 대리석 정면에는 모술의 생활상이 타보 형태로 묘사되어 있습니다.[clarification needed]2015년 2월 26일, ISIL 무장세력은 박물관의 고대 아시리아 유물들을 파괴했습니다.

영국 작가 아가사 크리스티는 모술에서 살았고, 고고학자인 그녀의 두 번째 남편 맥스 멜로완님루드에서의 발굴에 참여했습니다.[79]

모스크와 신사

모술 그랜드 모스크
  • 우마이야 모스크:서기 640년 우트바 빈 파르카드 알 살라미가 칼리프 우마르 이븐카타브의 치세에 모술을 정복한 후 건설한 이 도시의 최초의 건축물.최근까지 남아있는 유일한 독창적인 부분은 Al-Hadba라고 불리는 피사의 사탑처럼 기울어진 52m 높이의 놀랄 만큼 정교한 벽돌 건축물이었습니다.그것은 모술 전투 동안 크게 파괴되었습니다.[which?]
  • 위대한 (누리딘) 모스크: 서기 1172년 누리딘 잔기가 우마이야 모스크 옆에 지었습니다.이븐 바투타(위대한 모로코 여행가)는 그곳에서 대리석 분수와 쿠피 문자가 새겨진 미흐랍(메카의 방향을 나타내는 틈새)을 발견했습니다.그것은 모술 전투 동안 파괴되었습니다.[which?]
  • 무자히디 모스크:모스크는 서기 12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셴[clarification needed] 돔과 정교하게 만들어진 미흐랍으로 유명합니다.
  • 예언자 유니스 모스크와 신사: 도시의 동쪽에 위치하며, 기원전 8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예언자 유니스(요나)의 무덤을 포함하고 있으며, 고래의 이빨을 삼켰다가 나중에 풀어주었습니다.2014년 7월 IS에 의해 완전히 철거됐습니다.[80]
  • 예언자 지르지스 모스크와 신사:14세기 후반 이슬람 사원과 예언자 지르지스(조지)를 기리는 사당이 쿠라이시 묘지 위에 세워졌습니다.2014년 7월 IS에 의해 파괴됐습니다.[81]
  • 예언자 다니엘 신사: 예언자 다니엘의 무덤이 2014년 7월 IS에 의해 파괴됐습니다.[82][83]
  • 하무 카도 (헤마 카도) 모스크:1881년에 지어진 오스만 제국 시대의 마이단 중부 지역의 모스크로, 공식적으로 압둘라 이븐 찰라비 이븐 압둘 카디 모스크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84]현지 이슬람교도들이 목요일과 금요일에 참배하는 무덤이 있다는 이유로 2015년 3월 IS에 의해 파괴됐습니다.[85]

교회와 수도원

시리아 정교회 마르 마타이 수도원
모술 성 토마스 교회

모술은 쿠르드 지역을 제외한 이라크의 모든 도시들 중 아시리아 기독교인들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몇몇 흥미로운 오래된 교회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들 중 일부는 원래 기독교의 초기 세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고대 아시리아 교회들은 종종 숨겨져 있고 두꺼운 벽에 있는 그들의 입구는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그들 중 일부는 과도한 복구로 고통을 받았습니다.

  • 샤문 알 사파 (St.피터, 마르 페트로스):이 교회는 13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샤문 알 사파 또는 세인트루이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습니다.피터(아시리아 아람어로 마르 페트로).일찍이 베드로와 바울이라는 두 사도의 이름을 가지고 있었고, 성심의 수녀들이 거주하고 있었습니다.
  • 성 베드로 대성전 토마스 (아시리아 아람어로 마르 투마):가장 오래된 역사적인 교회 중 하나로, 성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인도를 비롯한 동양에서 복음을 전한 사도 토마스.정확한 창건 시기는 알 수 없지만, 서기 770년 이전으로, 아바스 칼리프 알 마흐디가 모술 여행에서 이 교회에 대한 불만을 들은 것으로 언급되기 때문입니다.
  • 마르 페티온 교회: 수도원에서 사촌에게 교육을 받은 마르 페티온은 서기 446년에 순교했습니다.이 성당은 17세기에 많은 아시리아인들이 로마와 연합한 이후 모술의 첫 번째 칼데아 성당입니다.그것은 10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거리의 3m 아래에 있습니다.이 교회는 파괴를 겪었고, 여러 번 재건되었습니다.홀은 1942년에 세 부분 중 하나에 지어졌습니다.그 결과, 대부분의 예술적인 특징들이 심각하게 손상되었습니다.
  • 고대 타히라 교회 (무결한 교회):모술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 중 하나로 여겨지는 바쉬 타피아 근처.어떤 증거도 정확한 영역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그것은 상부 수도원 교회의 잔재일 수도 있고 폐허가 된 마르제나 교회일 수도 있습니다.알 타히라 교회는 7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거리 3m 아래에 있습니다.1743년에 마지막으로 재건되었습니다.
  • 타헤라 교회: 시리아 가톨릭 교회 1862년 완공
  • 마르 후데니 교회:이 이름은 서기 575년에 순교한 티크리트의 마르 아후뎀메(후데니) 마프리안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습니다.마르 후데니(Mar Hudeni)는 모술(Mosul)에 있는 티크리트 교회의 오래된 교회입니다.그것은 10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거리의 7미터 아래에 위치하고 1970년에 처음으로 재건되었습니다.사람들은 마당에 있는 우물에서 미네랄 워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벽에 고정된 체인은 간질 환자를 치료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 세인트 조지 수도원 (마르 구르기스):모술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 중 하나로, 성을 따서 지은 것입니다.모술의 북쪽에 위치한 조지는 아마도 17세기 후반에 지어졌을 것입니다.매년 많은 사람들이 휴일에 그곳의 행방을 찾아 떠나는 봄에는 북부의[clarification needed] 여러 지역에서 온 순례자들이 그곳을 방문합니다.[clarification needed]그것은 거리보다 약 6m 아래에 있습니다.1931년 옛 교회 위에 현대적인 교회가 세워지면서 고고학적인 중요성이 많이 사라졌습니다.남아있는 유일한 기념물은 13세기 또는 14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조각된 에스트란젤로(시리아) 비문으로 장식된 대리석 문틀과 두 개의 틈새입니다.
  • 마르 마테:이 수도원은 모술에서 동쪽으로 약 20km 떨어진 높은 산(Maqloub산) 정상에 위치해 있습니다.그것은 기원후 362년 소아시아(현재 터키)의 남부와 이라크의 북부에 있는 아미드(디야르바키르) 근처의 주크닌 수도원에서 여러 명의 다른 수도사들과 함께 변절자 율리안 황제의 통치 기간 동안에 (361–363년) 도망친 수도사 마르 마테에 의해 지어졌습니다.이곳에는 시리아 경전을 담은 귀중한 도서관이 있습니다.
  • 마르 베남 수도원:데이르 알 쥐브(The Cistern Monster)라고도 불리며 12세기 또는 13세기에 지어졌으며 모술에서 남서쪽으로 약 32km 떨어진 님루드 근처의 니네베 평원에 있습니다.거대한 요새 같은 건물인 이 수도원은 아마도 서기 4세기 동안 사산인들에 의해 살해된 왕자 마르 베남의 무덤 옆에 우뚝 솟아 있습니다.전설은 그를 아시리아 왕의 아들로 만들었습니다.
  • 성 엘리야 수도원 (데어 마르 엘리아):6세기부터 2016년 1월 IS에 의해 파괴되기 전까지 이라크에서 가장 오래된 기독교 수도원이었습니다.[86][87]

기타 기독교 역사 건축물:

  • 로마 가톨릭 교회 (1893년 도미니카 신부들에 의해 니네베 거리에 세워짐)
  • 마 마이클
  • 마르 엘리아스
  • 마르 오라하
  • 아시리아 마을 알코쉬 근처의 노트르담 데 세멘스 수도원인 랍반 호르미즈드 수도원

기타 사이트

  • 바쉬 타피아 성: 2015년 IS에 의해 폭파되기 전까지 모술의 오래된 성벽의 몇 안 되는 잔재였던 티그리스 강 위로 높이 솟아 있는 폐허의 성.
  • 카라 사라이 (검은 궁전):술탄 바드루딘 루루의 13세기 궁전의 잔해.

아츠

페인팅

모술의 오래된 집.

이른바 모술 화파는 12세기 말에서 13세기 초에 잔기드 왕조 (1127–1222)의 후원 아래 이라크 북부에서 발전한 미니어처 회화 양식을 말합니다.기법이나 화풍에서 모술파는 당시 이라크를 지배하던 셀주크 투르크의 그림과 비슷했지만, 모술파 화가들은 입체적인 재현보다는 작품 속 소재와 세부 정도에 따라 현장감이 더 날카로웠고, 이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모술 도상의 대부분은 셀주크(Seljuq)였는데, 예를 들어 정면에 다리를 꼬고 앉은 형상을 사용했습니다.그러나 초승달과 뱀과 같은 특정한 상징적인 요소들은 고전적인 메소포타미아의 레퍼토리로부터 유래되었습니다.

대부분의 모술 그림들은 주로 과학작품, 동물책, 서정시 등의 원고 삽화들이었습니다.갈렌의 의학 논문인 키타브 알-디리약("해독서")의 12세기 후반 사본에서 현재 파리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정면화는 모술 학파의 초기 작품을 보여주는 좋은 예입니다.그것은 초승달 모양의 후광을 들고 있는 중앙에 앉아있는 인물을 둘러싸고 있는 네 명의 인물을 묘사합니다.그 그림은 빨강, 파랑, 초록, 금색의 다양한 전체 색상으로 되어있습니다.큐픽 글자는 파란색입니다.전체 효과는 장엄한 것으로 가장 잘 묘사됩니다.

13세기 중엽에 빈 국립 비블리오텍에서 열린 또 다른 작품은 같은 텍스트의 또 다른 사본으로 후대 모술 회화의 질을 암시합니다.지배자의 식사 준비와 다양한 활동을 하는 기병들의 모습을 묘사한 점에서 사실성이 있고, 초기 모술 학파 못지않은 채색을 하고 있지만, 다소 기운이 떨어집니다.그 구성은 더 정교하지만 성공적이지는 못합니다.이 무렵 시리아와 초기 모술 학파의 양식을 결합한 바그다드 학파가 지배하기 시작했습니다.13세기 중반 몽골족의 침입으로 모술 학파는 막을 내렸지만, 그 성과는 맘루크와 몽골의 미니어처 회화 학파 모두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교육

모술에는 여러 대학과 대학이 있습니다.모술에서 가장 큰 대학인 모술대학교, [88]니네바대학교, 알하드바대학교, 북부공과대학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모술에는 또한 여러 개의 고등학교가 있는데 그 중 일부는 남녀공학이고 다른 학교들은 성 차별입니다.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습니다.

  • 알하프사 학교[89]
  • 알하즈 여중학교[90]
  • 쿠르토바 여고
  • 알-무호빈 중등학교
  • 알 무스타크발 남자고등학교
  • 알 무타마이자트 여고
  • 알무타마이진 남자 고등학교
  • 알 레살라 알 이슬람 (알 레살라) 남자 고등학교
  • 알샤르키야 남자 고등학교

스포츠

이 도시에는 이라크 축구의 최상위 리그인 모술 FC에 참가할 수 있는 한 개의 축구팀이 있습니다.

알모술대학교 경기장은 모술 FC의 홈구장으로 2만명까지 수용할 수 있습니다.

모술대운동장

모술대학교에는 학부생과 대학원생을 가르치고 3개의 과학과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체육체육과학대학이 있습니다.[91]

미디어

신문

주목할 만한 사람들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Gladstone, Philip (10 February 2014). "Synop Information for ORBM (40608) in Mosul, Iraq". Weather Quality Reporter. Retrieved 16 June 2014.
  2. ^ "Mosul, Iraq Metro Area Population 1950-2023". Macrotrends.
  3. ^ "Nêçîrvan Barzanî: Serxwebûn Mafê Gelê Kurd E" (in Kurdish). Voice of America. Retrieved 13 March 2020.
  4. ^ "ئەمساڵ كۆنسۆڵخانەى توركيا لە مووسڵ دووبارە دەكرێتەوە" (in Kurdish). Anadolu Agency. Retrieved 13 March 2020.
  5. ^ 토마스 A.칼슨 등, "모술 — ܡܘܨܠ" (The Syriac Gazeter) 2014년 6월 30일 마지막으로 수정된 시리아 가제트 (The Syriac Gazeter) http://syriaca.org/place/139 .
  6. ^ Coker, Margaret (2017-12-10). "After Fall of ISIS, Iraq's Second-Largest City Picks Up the Pieces".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2021-04-25.
  7. ^ a b Dalley, Stephanie (1993)."기원전 612년 이후 니네베." 알트오리엔탈리쉬 포르쉬춘겐 20쪽 134쪽.
  8. ^ "Mosul, Iraq". AtlasTours.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April 2012.
  9. ^ "The war against Islamic State (2): Mosul beckons". The Economist. 11 April 2015. Retrieved 22 April 2015.
  10. ^ Mallowan, Max (9 July 2023). "Nineveh". Britannica.
  11. ^ Dalley, Stephanie, (2013) The Mystery of the Hanging Garden of Babylon: 찾기 힘든 세계 원더 추적,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ISBN 978-0-19-966226-5
  12. ^ a b Bosworth, Edmund (2007). Historic Cities of the Islamic World. Brill. p. 414. ISBN 9789047423836.
  13. ^ עזרא לניאדו, יהודי מוצל, מגלות שומרון עד מבצע עזרא ונחמיה, המכון לחקר יהדות מוצל, טירת-כרמל: ה의 תשמ"
  14. ^ Davidson, Herbert A. (2005). Moses Maimonides: The Man and His Work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 560. ISBN 0-19-517321-X.
  15. ^ a b c d e f g Rice, D.S. (1957). "Inlaid Brasses from the Workshop of Aḥmad al-Dhakī al-Mawṣilī". Ars Orientalis. 2: 283–326. JSTOR 4629040. Retrieved 17 November 2022.
  16.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ak al am an ao ap aq ar as at au av aw ax ay az ba bb bc bd be bf bg bh Raby, Julian (2012). "The Principle of Parsimony and the Problem of the 'Mosul School of Metalwork'". In Porter, Venetia; Rosser-Owen, Mariam (eds.). Metalwork and Material Culture in the Islamic World (PDF). Bloomsbury Publishing. pp. 11–85. ISBN 978-0-85773-343-6. Retrieved 18 November 2022.
  17. ^ 로스만 2015, 페이지 236.
  18. ^ Shaw, Stanford J.; Shaw, Ezel Kural (1976).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Volume 1, Empire of the Gazis: The Rise and Decline of the Ottoman Empire 1280–1808.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99. ISBN 978-0-521-29163-7.
  19. ^ Nasiri & Floor 2008, 페이지 248
  20. ^ 오벌링 1984, 페이지 582-586.
  21. ^ a b c Kemp, Percy (1983). "Power and Knowledge in Jalili Mosul". Middle Eastern Studies. 19 (2): 201–12. doi:10.1080/00263208308700543.
  22. ^ Al-Tikriti, Nabil (2007). "Ottoman Iraq". Journal of the Historical Society. 7 (2): 201–11. doi:10.1111/j.1540-5923.2007.00214.x.
  23. ^ Khoury, Dina Rizk (1997), State and Provincial Society in the Ottoman Empire. Mosul, 1540–1834, Studies in Islamic Civilization, Cambridge, p. 19
  24. ^ a b Woods, Richard (2006). "Iraq Perspectives: Catholics and Dominicans in Iraq". Dominican Life. Retrieved 2009-09-13.
  25. ^ Rasam, Suha (2005). Christianity in Iraq: Its Origins and Development to the Present Day. Gracewing. ISBN 9780852446331. Retrieved 2009-09-13.
  26. ^ a b c d Shields, Sarah D. (2000). Mosul Before Iraq: Like Bees Making Five-Sided Cells. Albana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0-7914-4487-2.
  27. ^ 국방부: 사담 후세인의 아들들이 공습으로 사망했습니다. CNN.com (2003-07-22)2011-07-02년 회수.
  28. ^ Sheridan, Mary Beth (25 April 2003). "For Help in Rebuilding Mosul, U.S. Turns to Its Former Foes". Washington Post. Retrieved 27 September 2023.
  29. ^ "Coalition helps rebuild more than 800 schools in northern Iraq - Iraq ReliefWeb". reliefweb.int (Press release). US Department of State. 11 October 2003. Retrieved 27 September 2023.
  30. ^ "Würzburg hospital team is home from Iraq - News - Stripes". www.stripe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10-19.
  31. ^ "Iraq reopens Mosul airport after 14 years – US military". Forbes.[데드링크]
  32. ^ Gamel, Kim (January 25, 2008). "Provincial Police Chief Killed in Mosul". Associated Press.
  33. ^ "Sadrists and Iraqi Government Reach Truce Deal". New York Times. May 11, 2008.
  34. ^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1, 2013. Retrieved 2009-03-12.{{cite web}}: CS1 maint :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 (링크) CS1 maint : bot : 원본 URL 상태 알 수 없음 (링크)
  35. ^ "Plight of Iraqi Academics"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May 15, 2006. Retrieved 2008-05-10.
  36. ^ "Human Rights in Iraq".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9, 2006. Retrieved 2009-03-12.{{cite web}}: CS1 maint : bot : 원본 URL 상태 알 수 없음 (링크)
  37. ^ "Iraq's deadly brain drain". France 2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5-21. Retrieved 2011-07-02.
  38. ^ "Losing Mosul?". Time. October 16,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9, 2004. Retrieved May 13, 2010.
  39. ^ Muir, Jim. (2008-10-28) "이라크 기독교인들의 망명 공포"BBC 뉴스.2011-07-02년 회수.
  40. ^ "2008년 10월 11일, Wayback Machine에서 기독교인들살인과 협박을 받고 이라크 도시를 탈출했다고 관계자들이 밝혔습니다." CNN. 2008년 10월 11일.
  41. ^ Abdulrahim, Raja (5 October 2014). "Iraqi Kurdish forces moving toward complex battle in Mosul". The Los Angeles Times. Retrieved 21 December 2014.
  42. ^ Doucet, Lyse (6 October 2014). "Iraq's battles need sense of resolve". BBC News.
  43. ^ Iraq, Islamic State, Baghdad, War, Al monitor, Sep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10-19, retrieved 2014-10-19
  44. ^ Laila Ahmed (29 August 2014). "Since Islamic State swept into Mosul, we live encircled by its dark fear". The Guardian.
  45. ^ "How can militants take over Iraqi cities?". BBC. 11 June 2014.
  46. ^ Sciutto, Jim; Robertson, Nic; Smith-Spark, Laura (12 June 2014). "Recording: ISIS promises more fighting in more Iraqi cities". CNN.
  47. ^ a b "قائد عسكري سابق: المالكي أمر بسحب القوات من الموصل". www.aljazeera.net (in Arabic). Retrieved 2022-02-09.
  48. ^ "How Mosul fell – An Iraqi general disputes Baghdad's story". Reuters. 14 October 2014.
  49. ^ "Since Islamic State swept into Mosul, we live encircled by its dark fear". The Guardian. 29 August 2014.
  50. ^ Loveday morris (October 19, 2015). "Isis in Iraq: Mosul residents are paying traffickers and risking their lives to escape cruel grip of Islamic State". The Independent.
  51. ^ Sinan Salaheddin (March 13, 2015). "ISIS Blocks Trapped Residents From Leaving Iraq's Mosul". Huffington Po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25, 2015.
  52. ^ Abdelhak Mamoun (Mar 11, 2015). "ISIS warns people of Mosul not to leave city". Iraqi News.
  53. ^ "Obama's Iraq dilemma: Fighting ISIL puts US and Iran on the same side". america.aljazeera.com. Retrieved 2022-02-09.
  54. ^ Alzalzalee, Assad. "Iraq's Troubled School Building Lesson". OCCRP. Retrieved 2022-02-09.
  55. ^ "Battle for Mosul: Iraq and Kurdish troops make gains". BBC News. 17 October 2016. Retrieved 17 October 2016.
  56. ^ Blau, Max; Park, Madison; McLaughlin, Eliott C. (17 October 2016). "Battle for Mosul: Iraqi forces close in". CNN. Retrieved 17 October 2016.
  57. ^ Yan, Holly; Muaddi, Nadeem (17 October 2016). "Why the battle for Mosul matters in the fight against ISIS". CNN. Retrieved 17 October 2016.
  58. ^ "In 'liberated' Mosul, ISIS still imperils the path to city's revival". Christian Science Monitor. August 11, 2017.
  59. ^ 모술: IS 격퇴를 축하하는 이라크 총리 2017년 7월 9일 BBC
  60. ^ "Battle for Mosul: Iraq PM Abadi formally declares victory". BBC. 10 July 2017. Retrieved 10 July 2017.
  61. ^ Ivor Prickett (1 August 2017). "In Mosul, Revealing the Last ISIS Stronghold".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5 November 2017.
  62. ^ "Civilians return to Mosul as Iraqi forces mop up residual ISIS fighters". Stars and Stripes. 21 July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July 2017. Retrieved 22 July 2017.
  63. ^ "True civilian death toll in Mosul feared to be 40,000 – eight times higher than previous estimates". The Independent. 19 July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July 2017.
  64. ^ Salahuddin Khuda Bakhsh (1914). A History of the Islamic Peoples. University of Calcutta.
  65. ^ 플레이페어, 제임스 (1813).지리학의 체계: 고대와 현대.
  66. ^ 모술 Encyclopedia.com : 사실, 사진, 정보.Encyclopedia.com .2011-07-02년 회수.
  67. ^ 모술. 유대인 가상 도서관.2011-07-02년 회수.
  68. ^ Huerta, Carlos. "Jewish Mosul Revisited: Jewish heartbreak and hope in Nineveh". almosul.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November 2010.
  69. ^ "Iraq: ISIS Abducting, Killing, Expelling Minorities". Human Rights Watch. 19 July 2014. Retrieved 20 October 2016.
  70. ^ Logan, Lara (22 March 2015). "Iraq's Christians persecuted by ISIS". CBS News. Retrieved 20 October 2016.
  71. ^ "In Mosul, Water, Electricity Shortages, And Warnings Of Disease".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2 October 2014.
  72. ^ a b c "Mosul battle: Last bridge 'disabled by air strike'". BBC News. 27 December 2016. Retrieved 2 March 2017.
  73. ^ a b c d e f g h Harith, Mustafa; Khalil-Slim, Linda (2018). Site Specific Environmental and Social Impact Assessment (Limited ESIA) for the Rehabilitation of Al-Mosul Second Bridge (Al-Huriya Bridge) in Nineveh Governorate (PDF). Republic of Iraq Ministry of Construction, Housing, Municipalities, and Public Works - Roads and Bridges Directorate. Retrieved 13 March 2023.
  74. ^ Mohammed Tawfeeq (13 January 2017). "ISIS destroys Mosul bridges as troops advance". CNN. Retrieved 2 March 2017.
  75. ^ "Basic infrastructure repair in Mosul will cost over $1 billion: U.N." BBC. 5 July 2017. Retrieved 10 July 2017.
  76. ^ "Mosul: US commander says Iraq must stop Islamic State 2.0". BBC. 11 July 2017. Retrieved 11 July 2017.
  77. ^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Mosul". United Nations. Retrieved 1 January 2011.
  78. ^ "Mosul, Iraq Travel Weather Averages". Weatherbase. Retrieved 2012-12-19.
  79. ^ 로이터 통신
  80. ^ "ISIS destroys 'Jonah's tomb' in Mosul". Al Arabiya. 25 July 2014.
  81. ^ "Islamic State destroys ancient Mosul mosque, the third in a week". The Guardian. Associated Press. 28 July 2014.
  82. ^ Clark, Heather (27 July 2014). "Muslim Militants Blow Up Tombs of Biblical Jonah, Daniel in Iraq". Christian News Network. Retrieved 28 July 2014. Al-Sumaria News also reported on Thursday that local Mosul official Zuhair al-Chalabi told the outlet that ISIS likewise "implanted explosives around Prophet Daniel's tomb in Mosul and blasted it, leading to its destruction."
  83. ^ Hafiz, Yasmine (25 July 2014). "ISIS Destroys Jonah's Tomb In Mosul, Iraq, As Militant Violence Continues". The Huffington Post. Retrieved 28 July 2014. The tomb of Daniel, a man revered by Muslims as a prophet though unlike Jonah, he is not mentioned in the Quran, has also been reportedly destroyed. Al-Arabiya reports that Zuhair al-Chalabi, a local Mosul official, told Al-Samaria News that "ISIS implanted explosives around Prophet Daniel's tomb in Mosul and blasted it, leading to its destruction."
  84. ^ "ISIS destroys beloved mosque in central Mosul". Rudaw.
  85. ^ Gianluca Mezzofiore (6 March 2015). "Iraq: Isis destroys 19th century Ottoman mosque in central Mosul".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UK.
  86. ^ 이라크의 수도원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성직자들.NPR's Morning Edition, 2007년 11월 21일.2011-07-02년 회수.
  87. ^ "Only on AP: Islamic State razing of Iraq monastery condemned". news.yahoo.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22, 2016. Retrieved 2016-01-19.
  88. ^ "Iraqi university rebuilds after IS 'dark age'". BBC News. 2018-11-21. Retrieved 2021-03-17.
  89. ^ "Responding to Iraq's learning crisis". UNICEF Connect. 2020-02-10. Retrieved 2021-03-17.
  90. ^ ""Education will help us build a future." - Iraq". ReliefWeb. 26 February 2021. Retrieved 2021-03-17.
  91. ^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University of Mosul. Retrieved 2021-08-22.
  92. ^ Yitzhak Oron (1960). Middle East Record Volume 1, 1960. The Moshe Dayan Center. p. 243. GGKEY:3KXGTYPACX2.
  93. ^ Basri, Mir (2004). Notable Iraqi Personalities in the New Iraq (in Arabic). London.{{cite book}}: CS1 유지 관리: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원천

  • Nasiri, Ali Naqi; Floor, Willem M. (2008). Titles and Emoluments in Safavid Iran: A Third Manual of Safavid Administration. Mage Publishers. p. 309. ISBN 978-1933823232.
  • Oberling, P. (1984). "AFŠĀR". Encyclopaedia Iranica, Vol. I, Fasc. 6. pp. 582–58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4-29.
  • Rothman, E. Nathalie (2015). Brokering Empire: Trans-Imperial Subjects between Venice and Istanbul. Cornell University Press. ISBN 978-0801463129.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