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바
Casbah of Algiers![]() | 본 기사는 해당 기사에서 프랑스어로 번역된 텍스트로 확장될 수 있다.(2012년 12월) 중요한 번역 지침은 [표시]를 클릭한다.
|
유네스코 세계유산 | |
---|---|
![]() | |
위치 | 알제리 알제리 주 |
기준 | 문화:i, v |
참조 | 565 |
비문 | 1992년(16회) |
면적 | 54.7 ha |
좌표 | 36°47′0″N 3°3′37″E / 36.78333°N 3.06028°E좌표: 36°47′0″N 3°3′37″E / 36.78333°N 3.06028°E |
카스바(아랍어: قصبة, caṣba, 시타델이라는 뜻)는 알제리에 있는 알제리의 성채로서 그 주변에 군집되어 있는 전통 사분지였다. 1992년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는 알제르의 카스바를 세계문화유산으로 선포하면서 "도시성곽과 오래된 모스크, 오스만식 궁전의 잔해뿐 아니라 뿌리 깊은 공동체 의식과 연관된 전통적 도시구조의 잔해도 있다"[1]고 밝혔다.
어원
더 일반적으로, 카스바는 많은 북아프리카 도시와 마을들의 성벽으로 둘러싸인 요새다.[2] 이 이름은 19세기 후반에 프랑스어로부터 영어로 번역되었고(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1895년), "kasbah" 또는 "casbah"로 표기될 수 있다.[3]
역사
알제르의 카스바는 10세기 옛 이코시움 유적에서 세워졌다. 그것은 '하이시티'와 '로우시티'로 나뉘어져 바다를 향해 뻗어 있는 언덕 위에 세워진 도시였다. One finds there masonry and mosques dating from the 17th century: Ketchaoua Mosque (built in 1794 by the Dey Baba Hassan) flanked by two minarets; Djama’a al-Djedid (1660, at the time of the Ottomans) with its large finished ovoid cupola points some and its four cupolas; Djamaâ el Kebir (the oldest of the mosques), built by Almoravid ruler Yusuf iBn Tashfin; 그리고 알리 세딘 모스크 (Raïs, 1623). 카스바에는 또한 다아 아지자, 다르 무스타파 파차, 데이의 궁전, 다르 하산 파차 등 여러 궁전이 들어 있었는데, 이 궁전은 1791년에 8년간 그곳에 살았던 파샤를 수용하기 위해 지어졌다.[4]
프랑스 정복 직후인 1839년 프랑스 총독은 다르 하산 파차(Dar Hassan Pacha)로 이주했다. 1860년 나폴레옹 3세와 유제니 드 몬티호가 방문했다.[4] 프랑스 통치 이전에, 카스바에는 약 13개의 자마 마스지드, 109개의 모스크, 32개의 묘지, 12개의 자위야스가 들어있었고, 총 166개의 종교 관련 건물들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교적인 건물들의 대다수는 점령 중에 파괴되었다. 1862년 자마 마스지드 9명, 모스크 19명, 묘지 15명, 자위야 5명만이 남았다. 케차우아 모스크와 베라니 모스크와 같은 많은 모스크가 군 막사, 교회 등 비이슬람적인 목적을 가진 건물로 개조되었다.[5]
카스바는 알제리 독립 전쟁(1954–1962) 동안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전쟁 초기 카스바는 당시 알제리에서 프랑스 시민과 법 집행 요원에 대한 공격을 계획하고 실행한 민족해방전선(FLN)의 반란 계획의 진원지였다. 그들의 노력에 대항하기 위해 프랑스 당국은 알제르 전투 동안 카스바에서 작전을 개시했다.
현재 상태
알제리 정부의 보존 기관인 ANSS는 카스바에 있는 373개의 건물이 붕괴되었다고 보고했다. 남아 있는 1816채의 건물 중 40%는 폐허가 되거나 위급한 상태, 10%는 판자로 막는다.[6]
로이터통신은 2008년 8월 카스바호가 방치된 상태로 특정 지역이 붕괴될 위험이 있다고 보도했다.[7]
알제리 당국은 나이, 방치, 인구과잉을 퇴화의 주요 원인으로 꼽고 있다. 인구 과잉은 특히 주민을 이전시키는 데 필요한 노력 때문에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게 만든다. 빈 건물에 무단 입주자가 많아 확실히는 알 수 없지만 추산 인원은 4만~7만 명이다.[8] 정부가 카스바의 상태를 개선하고자 하는 이유 중 하나는 카스바가 범죄자와 테러리스트들의 잠재적인 은신처라는 것이다. 1950년대 후반과 프랑스 식민지 지배에 대항한 시민 반란과 투쟁 중에 이곳은 민족해방군(알제리아)의 은신처였다.
보존학자 벨카셈 바바시는 "나는 여전히 이 상황을 극복하기 힘들지만 극복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나는 이 상황을 살리는 것이 가능하다고 믿지만, 여러분은 그것을 비워야 하며, 스타일과 재료를 존중할 자격을 갖춘 사람들을 찾아야 한다. 엄청난 도전이다."[9] 복구 사업은 지연과 고질적인 부패로 인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6]
대중문화에서
- The Casbah of Algiers plays a central role in the 1937 French film Pépé le Moko and the 1938 American film Algiers, in which the noted jewel thief Pepe le Moko, played by Jean Gabin in the French version and Charles Boyer in the American version hide there after a heist in France, and he becomes a local leader, but as time passes, he begins to feel 그 지역에 갇힌 비록 보이어가 미국 영화에서 "카스바에게 가자"라는 주인공인 헤디 라마에게 이 대사는 할리우드 영화 예고편에 등장했고, 수 세대에 걸친 인상파 화가들과 루니 튜네스 패러디 덕분에 그와 함께 할 것이다.[10][11]
- Boyer's role as Pepe Le Moko was already world-famous when animator Chuck Jones based the character of Pepé Le Pew, the romantic skunk introduced in 1945's Warner Bros. cartoon Odor-able Kitty, on Boyer, his voice – imitated by Mel Blanc – and the catch phrase "Come with me to ze Casbah" from his most well-known performance.[12]
저명인사
- 압드 알라흐만 알타알리비(1384-1479)
- 압델할림 벤스마야 (1866-1933)
- 모하메드 샤레프(1908~2011)
- 브라힘 부샤키 (1912년-1997년)
- 압데라흐마네 탈브 (1930-1958)
- 자밀라 부헤르드 (1935년 출생)
- 자밀라 부파차(1938년 출생)
- 무스타파 토우미(1937~2013)
참고 항목
참조
- ^ 유네스코, 결정문, 세계유산센터 2017년 7월 21일 발견
- ^ 아랍어 이름 번역기. "카스바(아랍어: قصبة, qbaba, 성채(성채)를 뜻하는 콰ṣba)는 특히 알제리의 알제리에 있는 알제리의 성채로서 그 주변에 군집되어 있는 전통적인 사분오. 더 일반적으로, 카스바는 많은 북아프리카 도시와 마을들의 성벽으로 둘러싸인 요새다."
- ^ 타냐 라인하르트 이스라엘/팔레스타인: 1948년 전쟁 종식 방법-151쪽 151쪽 "나블루스의 제닌 난민촌과 카스바족은 이스라엘군이 정복하기에 가장 힘든 지역으로 간주했다. 이들 지역을 점령하기 위한 준비는 오래 전부터 시작되었다. 2002년 1월 아미르 오렌은 하아레츠에서 ..."라고 보고했다.
- ^ a b "Interior of Governors Palace, Algiers, Algeria". World Digital Library. 1899. Retrieved 2013-09-25.
- ^ دويرات القصبة تحتضّر ومساجدها العتيقة مهدّدة بالاندثار.. فهللن 2020 2020 2020-03-30 웨이백머신에 보관. 엘 미와르. 2018년 1월 9일 회수
- ^ a b 카스바를 붕괴로부터 구하기 위해 투쟁하고 있는 알제리인 라일리 포루디, 아폴로(2020년 3월 19일).
- ^ William Maclean (2008-09-01). "REUTERS, William Maclean, Aug 31, 2008". Reuters. Retrieved 2010-06-19.
- ^ "Algeria Channel". Algeria.com. Retrieved 2010-06-19.
- ^ "Wall Street Journal Blogs, The Informed Reader, July 5, 2007, 9:39 AM ET". Blogs.wsj.com. 2007-07-05. Retrieved 2010-06-19.
- ^ TCM Film Guide (2006). The 50 Most Unforgettable Actors of the Studio Era: Leading Men. San Francisco, California: Chronicle Books. p. 29.
- ^ Boller, Jr., Paul F.; George, John (1989). They Never Said It: A Book of Fake Quotes, Misquotes, and Misleading Attributio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05541-1.
- ^ TCM Film Guide (2006). The 50 Most Unforgettable Actors of the Studio Era: Leading Men. San Francisco, California: Chronicle Books. p. 31.
외부 링크
![]() | 무료 사전인 위키트리노리에서 알제리의 카바를 찾아봐. |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알제리의 카스바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Smith, Craig S. (2006-07-23). "The Crumbling of the Casbah".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008-02-08.
- Hammer, Joshua (July 2007). "Save the Casbah". Smithsoni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