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라 드웰라스

Cella Dwellas
셀라 드웰라스
로도 알려져 있다.드웰라스
기원뉴욕 브루클린
장르얼터너티브 힙합
년 활동1993-2003, 2011-현재
레이블큰 레코드
회원들UG 더 상상력
키 큰 남자 팬텀

셀라 드웰라스브루클린 플랫부시 출신의 언더그라운드 힙합 듀오로서 엠씨즈 UG와 팬텀으로 구성되어 있다.이 그룹은 주로 어두운 비트와 서정성으로 알려져 있다.1997년, 이 두 사람은 단순히 더 드웰아스로 이름을 줄였다.

기록 이력

1994년 셀라 드웰라스는 쟁쟁한 힙합 레이블인 '라우드 레코드'에 계약했고, UG의 서정적인 실력을 선보인 데뷔 싱글 'Land of the Lost'를 발표해 여전히 고전적인 것으로 평가되는 한 구절을 정했다.이듬해, 이 듀오는 팬텀의 한 구절이 수록된 트랙 "4 Da Mind"에 수록된 Masta Ace Incorporated 앨범 'Sittin' on Chrome'에 가장 일찍 등장했다.또한 1995년에 드웰라스는 이 두 사람의 유일한 차트 작성 싱글이었던 "굿 드웰라스"와 "퍼펙트 매치"를 발매했다.'굿 드웰라스'와 '퍼펙토 매치'의 후속작인 '랜드 오브 더 로스트'가 1996년 듀오 데뷔작인 'N 리얼리티'에 포함됐다.이 앨범은 빌보드 200 앨범 차트에서 160위, R&B/Hip-Hop 차트에서 21위, Heatseekers 차트에서 10위로 데뷔하며 중간 정도의 언더그라운드 성공을 거두었다.앨범의 대다수는 닉 위즈가 프로듀싱했으며, DJ 메가후르츠, 더 블루즈 브라더스, 그리고 듀오 자신이 직접 만든 비트가 수록되기도 했다.이 앨범은 독특한 서정적인 스타일과 어둡고 분위기 있는 연출로 인해 비평가들과 언더그라운드 팬들로부터 상당한 찬사를 받았다.올뮤직 작가 마이클 디 벨라는 이 앨범의 스타일을 "둔건과 드래곤즈 스타일의 롤플레잉 게임, 공포 영화, 매끄럽고 거친 비트, 상상력이 풍부하고 유머러스한 가사의 조합"이라고 표현하며 "두 사람의 비틀어진 지성을 통한 흥미진진하고 기괴한 여행"이라고 평했다.[1]

UG와 팬텀은 2000년 '더 드웰라스'라는 간체된 이름으로 돌아와 두 번째 앨범 'The Last Sell Be First'를 Loud Records를 통해 발매했다.이 앨범에는 닉 위즈의 프로듀싱뿐만 아니라 라지 교수, 아야톨라, 록윌더와 같은 스타 비트 메이커가 다시 선보였다.이 앨범의 게스트로는 라지 교수, 인스펙타 데크, 코코아 브로바즈, 오퍼레이션 콘퓨전 등이 있었다.이 앨범은 적당히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거의 주목을 받지 못하여 빌보드 차트에 오르지 못했다.이 앨범의 싱글인 "Stand Up"과 "Leakage" 그리고 "Game of Death"는 모두 빌보드 싱글 차트에 오르지 못했다.올뮤직은 다시 한 번 앨범을 칭찬했다.작가 존 아즈피리는 이 듀오가 "힙합 헤비급 선수들 사이에서 그들만의 것을 가질 수 있는 그 이상"이라며 "The Last Sell Be First를 듣고 나니 드베라스가 다른 수준으로 올라갔음이 분명하다"[2]고 말했다.

The Last Sill Be First 이후 수년간 첼라 드웰라스는 침묵했다; 2011년까지 그들의 유일한 발매는 2003년에 발매된 "Who Kill the Hip Hop"이라는 제목의 2003 싱글이었다.2011년 현재, 이 듀오는 셀라 드웰라스로 다시 이름을 바꾸고 닉 위즈가 프로듀싱한 신곡 "I Put It Down"을 발표했다.

음반 목록

앨범

연도 제목 차트 위치
미국 빌보드 200 미국 R&B
1996 Realms 'n Reality'
  • 릴리스됨:1996년 3월 26일
  • 레이블: 큰소리
160 21
2000 마지막이 첫번째가 될 것
  • 릴리스됨:2000년 9월 26일
  • 레이블: 큰소리

게스트 출연

  • "리시스트 라운지"와 "사이파 세션 III - Has Words" (지하 에어플레이 #3 컴파일, 1994년)
  • "4 Da Mind" (Masta Ace Incorporated 앨범 Sittin' on Chrome, 1995년)
  • "매드 하드코어" (Kaotic Styles 싱글 "매드 하드코어", 1997년)
  • "크라늄(리믹스)" (게이지 싱글 "크라늄", 1998년)
  • "Menage a Trois" (Brixx 앨범 Everything Evences for a Reason, 1999년)
  • "The Main Event"(Main One 싱글 "The Main Event", 1999년)
  • "소개" (런 리드 싱글 "소개", 1999년)
  • "Bring it to Me"(게이지 싱글 "Bring it to Me", 2000년)
  • "언어적 대립" (Main One 싱글 "언어적 대립", 2001년)
  • "Lyrical Fight" (Saïan Supa Crew 앨범 X-Raisons, 2002년)
  • 패리스 뉴욕 (Rost 앨범 La Voix Du Peuple, 2004년)
  • U.G.가 피처링한 "What Happenz" (IDE 앨범 Force Fed, 2007년)
  • U.G.가 등장하는 "Connect 4" (Shabaam Sahdeeq 앨범 "Relentless", 2008년)
  • U.G.를 주인공으로 한 "We Not Playing" (Ill Bill mixtape "Howie Made Me Do It 2", 2011년)
  • "Rapid Fire" (셀프 타이틀 & 벅윌드 앨범 "Nineteen Rather", 2011년)
  • U.G.를 특징으로 하는 "Vintage 90s" (CHG Unpadable 싱글 "Vintage 90s", 2015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