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라쿠디 강
Chalakudy River이 글은 검증을 위해 인용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 · · 책 · (2012년 5월) (이 템플릿 과 시기 |
찰라쿠디 강 | |
---|---|
![]() 찰락쿠디 강 유역의 배수지도 | |
![]() 찰라쿠디 강 유역 지도 | |
네이티브 이름 | ചാലക്കുടി പുഴ |
위치 | |
나라 | 인도 |
주 | 케랄라, 타밀나두 |
도시 | 찰라쿠디 시 |
물리적 특성 | |
출처 | 아나말라이 힐스 |
• 위치 | 케랄라/인도 타밀나두 국경 |
• 좌표 | 10°22′00″N 77°07′30″E / 10.366°N 77.125°E |
• 고도 | 1,250m(4,100ft) |
입 | 페리야르 강 |
• 위치 | 인도 케랄라 푸탄벨리카라 |
• 좌표 | 10°09′44″N 76°15′56″E / 10.162224°N 76.26558°E좌표: 10°09′44″N 76°15′56″E / 10.162224°N 76.26558°E / |
• 고도 | 0m(0ft) |
길이 | 145.5km(90.4mi) |
분지크기 | 1,704 km2(658 sq mi) |
방전 | |
• 위치 | 입을 |
• 평균 | 52 m3/s (1,800 cu ft/s) |
분지형상 | |
지류 | |
• 권리 | 카라파라 강, 쿠리아쿠티 아르, 페루바리팔람 아르, 투나카투 아르, 숄라야르 강 |
찰라쿠디 강 또는 찰라쿠디 푸자는 인도 케랄라에서 다섯 번째로 긴 강이다. 이 강은 트라이수르 지구, 팔락카드 지구, 케랄라의 에르나쿨람 지대를 흐르는 강이다. 이 강의 총 배수 면적은 1704 km이다2. 이 1404 km2 중 케랄라에 있고 나머지 300 km는2 타밀 나두에 있다. 강의 길이는 145.5km이다. 엄격한 지질학적 의미에서의 찰라쿠디 강은 페리야르 강의 지류지만, 모든 실질적인 목적을 위해 정부 및 다른 기관들에 의해 별도의 강으로 취급된다. 강의 흐름을 따라 주요 정착지인 찰라쿠디 마을의 둑을 따라 흐르기 때문에 강은 그 이름을 얻게 되었다. 그것은 아마도 주와 심지어 인도에서 가장 오염되지 않고 깨끗한 강일 것이다. 그 주변의 산업과 쓰레기 처리의 제한 때문에. 찰라쿠디 강과 그 유역 지역은 2018년 케랄라 홍수 때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강 중 하나였다.[2]
기원
이 강은 타밀나두의 아나말라이 지역에 기원을 두고 있지만, 사실 파람비쿨람, 쿠리야르쿠티, 숄라야르, 카라파라, 그리고 케랄라의 아나야암에서 유래된 몇몇 주요 지류의 집합체다.
이교도 식물

찰라쿠디 강은 케랄라의 극소수의 강 중 하나로, 상당한 수준의 다원식물의 유적이 있다. 주요 위협은 저수지로 인해 수몰되었다. 국립 어류유전자원국 럭나우의 연례보고서는 찰라쿠디 강이 아마도 인도에서 물고기 다양성에서 가장 풍부한 강이라고 언급했다. 찰라쿠디 강의 이교도 숲은 58.5헥타르의 면적에 걸쳐 페린갈쿠스에서 하류 10.5km의 거리에 폭 10m 이상의 두꺼운 이교도식물의 존재를 드러냈다. 이 중 26.4헥타르가 바자칼 지역 내에 놓여 있는데, 바자칼 지역은 이교도 숲이 빽빽하게 뒤덮인 3개의 큰 섬을 포함한다.[4] 이 지역의 무림들은 상록수종과 반녹색종 외에도 전형적인 무림종의 식물이 존재한다는 것이 특징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지역에서 확인된 319종의 꽃식물 중 24종은 서가마의 고유종이며 10종은 희귀·멸종[5] 위기에 처해 있다.
파우나
찰라쿠디 강은 케랄라에서 알려진 152종 중 98종의 민물고기가[6] 서식하고 있어 다양성으로 알려져 있다.[7] 이 가운데 35종은 서부개그만의[7] 고유종이며 31종은 수족관 어류 거래, 남획, 오염, 댐, 유입종 등을 대상으로 한 무분별한 채취로 인한 취약종(11종), 멸종위기종(16종) 또는 심각한 멸종위기종(4종)이다.[6] 럭나우 국립어류유전자원국 보고서에 따르면 찰라쿠디는 양쪽에 초목이 무성해 인도에서 물고기 다양성에서 가장 풍부한 강이 될 수 있다고 한다.[8] 강에 서식하는 어종 중 가장 부귀가 많은 종은 사이프리스어류로, 그 뒤를 바그리드 캣피쉬와 힐스트림 미끼가 잇다.[6] 그 중에서도 호라바그루스 니그리콜라리스와 사하드리아 찰락쿠디엔시스는 찰라쿠디 강 유역이다.[9][10]
폭포
이 강에는 유명한 폭포인 아티라필리 폭포와 바즈하찰 폭포가 위치해 있다. 찰락쿠디 강의 수력전기 사업은 숄라야르 수력전기사업과 페링갈쿠투 수력전기사업이다. 관개 목적으로 Thumboormoozhy 댐은 이 강을 가로질러 건설된다. 에르나쿨람 구 북파라부르 만잘리와 인접한 엘렌티카라 인근 페리야르 강과 합쳐져 마침내 아제코데에서 고둥갈루르 백워터스와 아라비아 바다에 합류한다. 파람비쿨람 댐은 4개의 지류 중 하나인 파람비쿨람 강에 건설되었다.[11]
2018 케랄라 홍수
공식적으로 2018년 8월 16일 홍수가 심했지만, 찰라쿠디 강둑은 장마철 유난히 많은 비로 인해 2018년 8월 15일 이른 시간부터 홍수가 시작되었다. 강과 가까운 곳의 모든 하천과 저지대, 농경지는 이미 범람했고 강은 수세기 역사를 통해 만들어진 굽이굽이 굽이치는 곡선을 바로잡고 있었다. 조금 높은 언덕 꼭대기를 제외한 강 5km 이내의 모든 마을과 마을이 물에 잠겼다. 그것은 거의 1세기 만에 샬라쿠디에서 일어난 최악의 홍수였다. 인도 정부는 그것을 3급 재앙, 즉 "심각한 성격의 평온"이라고 선언했었다. 1924년 발생한 99년 대홍수 이후 케랄라에서 발생한 최악의 홍수다.
홍수의 여파
홍수의 여파는 산에서 하구로 하천로의 전체적인 전망을 바꾸면서 매우 심했다. 강둑의 넓은 지역이 홍수의 거센 물살로 무너지고 움푹 패인 데다 이로 인해 둑이 새로 생겨났다. 코스를 따라 늘어선 거대한 나무들은 뿌리째 뽑혀 그 흐름을 따라 특히 다리 위에 퇴적되어 있었다. 베틸라파라 다리와 같은 물의 힘으로 인해 많은 도로 교량들이 심지어 몇 cm씩 변질되었다. 또한 아라피마, 아로와나, 피라냐, 악어가르, 플라워혼 치클리드, 레와 같은 수백 종의 수족관 어류를 보유한 인근 양식장에서 토종 어종이 자연 서식지에서 이탈하고 외래어종이 하천 계통으로 드러나면서 강에 서식하는 동물들도 큰 영향을 받았다.파쿠가 배꼽을 잡고 [12]몇 명인지 말해봐 홍수 이후 관광 명소로 지역 농장에서 재배한 65kg의 아라피마가 찰라쿠디 강에서 잡혔다. 케랄라에서 발견된 가장 큰 민물침습어류다.[13]
파노라마
참조
- ^ 찰락쿠디 강 유역의 아미타 바찬 K.H. 리파리아 식물과 그것의 생태학적 중요성. 박사 논문. 케랄라 칼리컷 대학교
- ^ "Studies on the nature and chemistry of sediments and water of Periyar and Chalakudy Rivers, Kerala, India by Maya K."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5 July 2017. Retrieved 1 March 2005.
- ^ 아미타 바찬 K.H.와 데비카 M.A.2020. 댐이 이교도 식물에 미치는 영향: 인도 웨스턴가이츠 찰락쿠디 강에서의 사례연구 수생생물학 저널 (8) 7-13. http://keralamarinelife.in/Journals/Vol8-S/2-Bachan&Devika.pdf
- ^ "Riparian vegetation under threat". The Hindu. 7 September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September 2004. Retrieved 2 August 2012.
- ^ 찰락쿠디 강 유역의 아미타 바찬 K.H. 리파리아 식물과 그것의 생태학적 중요성. 박사 논문. 케랄라 칼리컷 대학교
- ^ Jump up to: a b c 라그하반, R., G. 프라사드, P. H. 안바르 알리, B. 페레이라(2008년). 인도 케랄라주 서부 가트 생물다양성 핫스팟의 일부인 찰라쿠디 강의 어류 동물: 유통, 위협, 보존 필요의 패턴. 생물다양성과 보전 17(13): 3119-331
- ^ Jump up to: a b 아지트쿠마르, C.R., K.R. 데비, K.R. 토마스(1999년). 케랄라 찰라쿠디 강 계통의 어류 동물, 풍부함, 분포. 봄베이 내추럴 저널
- ^ "The seven faces of a river". The Hind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anuary 2012. Retrieved 24 November 2011.
- ^ 프로이스, 레이너와 파울리, 다니엘, 에드스(2016). 피쉬베이스의 "호라바그루스 깜둥이콜라리스" 2016년 9월 버전.
- ^ 프로이스, 레이너와 파울리, 다니엘, 에드스(2016). 피쉬베이스의 "사하이드리아 찰락쿠디엔시스". 2016년 9월 버전.
- ^ "About the Rivers of Kerala". Retrieved 2 November 2006.
- ^ "Invasive Fishes in Kerala". Retrieved 7 March 2020.
- ^ "Arapaima Fish in Kerala". Retrieved 7 March 2020.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찰라쿠디 강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Infobox facts". All Kerala River Protection Council. Retrieved 30 January 2006.
- 케랄라의 강에 관한 연구
- 찰라쿠디 강 보호 포럼
- 찰라쿠디 푸자 삼락샤나 사미티
- 2007년 9월 22일 테헬카 매거진에서 케랄라 그린스를 품에 안은 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