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 얼랜드

Charles Earland
찰스 얼랜드
Charles Earland, 1983
찰스 얼랜드, 1983년
배경 정보
태어난(1941-05-24)1941년 5월 24일
미국 펜실베이니아필라델피아
죽은1999년 12월 11일 (1999-12-11) (58세)
미주리 주 캔자스시티
장르재즈, 소울 재즈, 블루스, 펑크
직업뮤지션
계기오르간
년 활동1966–1999
레이블프레스티지, 뮤즈, 머큐리, 컬럼비아, 마일스톤
관련 행위지미 맥그리프

찰스 얼랜드(Charles Earland, 1941년 5월 24일 ~ 1999년 12월 11일)는 미국의 재즈 오르간 연주자였다.[1]

전기

이어랜드는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나 고등학교 때 색소폰을 배웠다.[1]17세 때 지미 맥그리프테너로 활약했고 1960년 첫 그룹을 결성했다.팻 마르티노와 함께 연주한 후 오르간을 연주하기 시작했고, 1968년부터 1969년까지 루 도날드슨의 밴드에 합류했다.[1]

그로버워싱턴 주니어 등 1970년부터 이끌어온 그룹이 성공을 거두었고, 결국 소프라노 색소폰과 신디사이저를 연주하기 시작했다.단단하고 부글부글 끓는 홈이 그에게 "마이티 버너"라는 별명을 갖게 했다.

1978년 얼랜드는 펑크 그룹 브래스 건설의 랜디 뮬러가 쓴 "Let The Music Play"라는 머큐리 레코드에 녹음된 트랙으로 디스코/클럽 현장을 강타했다.이 기록은 미국 차트에서 5주 동안 있었고 영국 싱글 차트에서는 46위에 도달했다.[2]이어랜드가 신시사이저로 연주하는 가운데, 트랙에는 미인증 여성 보컬리스트도 있다.그는 1970년대 중반과 1980년대 초 Mercury와 이후 Columbia Records에서 온건한 빌보드 R&B 차트를 여러 차례 히트시켰다.

이어랜드는 1988년부터 1999년 사망할 때까지 미국 전역과 해외 무대를 누볐다.그의 말년의 하이라이트 중 하나는 1994년 베를린 재즈 페스티벌에서 연주한 것이다.베를린 재즈 페스티벌에서 그와 함께 공연한 음악가들 중에는 앨라배마 태생의 시카고 주민 짐바부 해밀턴이 드럼을 치고 있었다.[3]

얼랜드는 미주리주 캔자스시티에서 58세의 나이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1]

음반 목록

리더로서

  • 보스 오르간 (Choice, 1966)
  • 소울 크립 (Choice, 1969년)
  • 블랙 파워 (Rare Bird, 1969)
  • 블랙 토크! (프레스티지, 1969년)
  • 블랙 드롭스 (Prestige, 1970)
  • 리빙 블랙![라이브] (프레스티지, 1970)
  • Freakin' Off [live] (빅 찬스, 1971)
  • 소울 스토리 (Prestige, 1971)
  • 강도(Prestige, 1972년)
  • Live at the Lighthouse (Prestige, 1972년)
  • 샤를 3세 (프레스티지, 1973년)
  • 다이너마이트 브라더스 (프레스티지, 1973년)
  • 이 행성떠나는 것 (Prestige, 1974년)
  • 하르마 [라이브] (프레스티지, 1974년)
  • 오디세이 (Mercury, 1976년)
  • 대 피라미드 (Mercury, 1976년)
  • 요한계시록 (Mercury, 1977)
  • 스모킹' (Muse, 1977)
  • 마마 루트(Muse, 1977)
  • 인식(Mercury, 1978년)
  • 유아 눈 (Muse, 1978년)
  • 즐거운 오후 (Muse, 1978)
  • Coming to You Live (Columbia, 1980)
  • 주머니에서...(Muse, 1982년)
  • 얼랜드의 잼 (콜럼비아, 1982년)
  • 얼랜드의 거리 테마 (Columbia, 1983년)
  • 프론트 버너(Milstone, 1988)
  • 3도 화상(Milstone, 1989년
  • 휘프 어필 (Muse, 1990)
  • 잊을 수 없는 (Muse, 1991년)
  • 난 지빈이가 아냐...나는 잠민이다' (Muse, 1992년)
  • Ready 'n' Aable (Muse, 1995)
  • Blowing the Blue Away (HighNote, 1997)
  • 찰스 얼랜드의 재즈 오르간 서밋[라이브] (Cannonball, 1997년)
  • 슬램민 & 잼민' (Savant, 1998)
  • 마이티 버너와 함께 요리하기 (HighNote, 1999)
  • 찰스 얼랜드 라이브 (Cannonball, 1999)
  • 스텀프! (고주, 2000)
  • 하룻밤만 사용할 경우(HighNote, 2002)

LP/CD 컴파일

  • 버너(Prestige MPP 2501, 1980)
  • Organomically Correct(32 재즈, 1999; Savoy Jazz에서 2003년 재발행)
  • 전능의 버너 (32 재즈, 2000; 2003년 사보이 재즈로 재발행)
  • 찰리의 최고 히트곡 (Prestige, 2000) (4개의 다른 이어랜드 앨범에서 뽑은 작곡과 1곡의 Boogaloo Joe Jones의 Right On Brother + 이전에 리빙 블랙 세션에서 발표되지 않은 라이브 트랙 2개)
  • 앤톨로지 (소울 브라더 [영국] 레코드, 2000) (2CD 컴파일)
  • Charles Earland In Concert: The Montreux Jazz Festival And The Lighthouse (Prestige, 2002) (Live At The Lighthouse + Kharma의 작곡)
  • 펑크 판타스티크 (Prestige, 2004) (Charles III + 같은 세션의 보너스 트랙 4개)
  • 마이티 버너: HighNote 레코딩최고 기록(HighNote, 2004)
  • 데인, 시어드 & 스모킹: The Mighty Burner (HighNote, 2011년) (Blowing The Blue Away, Slammin's & Jammin's의 3CD 컴파일, The Mighty Burner, Stump!, If Only For Only Night, Earland 백 보컬 아이린 레이드가 있는 3곡)
  • Coming To You Live/Earland의 Jam/Earland의 거리 테마 (Robinsongs/Cherry Red[영국], 2019)(3LP-on-2CD 컴파일 + 6개의 보너스 트랙)

사이드맨으로

루 도날슨과 함께

아이린 리드랑

  • 밀리언 달러 비밀 (Savant, 1997)
  • 그리 나쁘지 않아 (Savant, 1999)
  • 업타운 로우다운(Savant, 2000)

다른 사람들과 함께

참조

  1. ^ a b c d Ginell, Richard S. "Charles Earland". AllMusic. Retrieved 14 November 2017.
  2. ^ Robertsr, David (2006). British Hit Singles & Albums (19th ed.). London: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p. 176. ISBN 1-904994-10-5.
  3. ^ Zimprov.com Wayback Machine에 2007-10-09 보관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