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 G. 보이드

Charles G. Boyd
찰스 G. 보이드
1990년대 보이드
닉네임
태어난(1938-04-15) 1938년 4월 15일
미국 아이오와 록웰 시티 근처에서
죽은2022년 3월 23일 (2022-03-23) (만 83세)
미국 버지니아주 헤이마켓
파묻힌
얼리전스미국
서비스/지점미국 공군
근속연수1959–1995
순위일반적
보유중인 명령어에어 유니버시티
전투/전쟁베트남 전쟁
시상식공군 크로스
공군 공로훈장
실버스타 (2)
레지옹 오브 메리트 (3)
공훈 비행 십자가
"V" 장치가 있는 청동메달(3)
퍼플 하트 (3)
배우자
밀리센트 샘플
(m.1961년 사망, 1994년 사망)

타작대외관계협의회
국가안보를 위한 기업경영진

찰스 그레이엄 "척" 보이드(Charles Graham "Chuck" Boyd, 1938년 4월 15일 ~ 2022년 3월 23일)는 미국 공군4성 장군이었습니다.보이드는 베트남에서 복무한 고도로 훈장을 받은 전투 조종사였으며, 베트남 전쟁 포로(1966-1973) 중 유일하게 4성(1992)에 올랐습니다.그의 마지막 공군 임무는 독일 슈투트가르트 바이힌겐에 있는 미국 유럽 사령부의 부사령관이었습니다.1995년 공군에서 퇴역한 그는 대외관계위원회의 프로그램 이사, 국가안보를 위한 기업경영자 회장 등 국가안보 분야에서 활약했습니다.그는 국가 안보 개혁 프로젝트의 지도 연합의 일원이었습니다.

어린시절과 교육

찰스 그레이엄 보이드(Charles Graham Boyd)는 1938년 4월 15일 아이오와(Iowa)주 록웰 시티(Rockwell City) 근처에서 태어났습니다.[1]그는 1959년 4월에 미국 공군에 들어갔습니다.[2]

보이드는 1975년 캔자스 대학에서 예술 학사 학위를 받았고, 1976년에는 같은 대학에서 예술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그의 군사 교육은 1977년 앨라배마에 있는 맥스웰 공군 기지에 있는 공중전 대학에 다니는 것을 포함했습니다.1986년에 그는 하버드 대학교의 국가 및 국제 안보 고위 임원 프로그램에 참여했습니다.

공군경력

보이드는 1960년 7월 항공 사관생도 과정을 통해 소위로 임관하여 유럽, 태평양, 미국 대륙에서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습니다.2,400시간이 넘는 비행시간을 가진 지휘조종사였던 그는 베트남 전쟁 동안 동남아시아에서 F-100F-105를 날았습니다.그는 105번째 임무를 수행하던 중 1966년 4월 22일에 격추되었습니다.[3]1966년부터 1973년까지(2,488일), 그는 전쟁 포로북베트남의 여러 감옥에 수감되었습니다.[3][4]보이드는 포로로 잡혀있는 동안, 1966년 7월에 열린 전쟁 포로들이 하노이 거리를 행진하고 북베트남 시민들에게 잔인하게 구타당한 선전 행사인 하노이 행진에 참가하도록 강요된 52명의 미국인들 중 한 명이었습니다.그는 1973년 2월 12일 귀향 작전의 일환으로 석방되었습니다.[5]2019년 외교 훈련 협회와의 구술 역사 인터뷰에서, 보이드는 그의 감금의 가혹함에 대해 반성했습니다.

처음 몇 년간은 특히 힘들었습니다.고문은 차치하고라도, 저는 북베트남에서 제 인생의 어느 때보다도 춥고, 덥고, 배가 고팠습니다.나는 감방 동료와 몸의 열을 나누려고 하는 얇은 면, 잠옷 같은 옷, 그리고 약간 두꺼운 면 담요만을 입고 옹기종기 모여 있었던 것을 기억합니다.추위에 떨다가 몸을 녹이기 위해 안으로 들어가는 것과 몇 달 동안 계속해서 추위를 유지하는 것은 완전히 다른 것입니다.나무 널빤지로 된 침대에 반바지만 빼고 벌거벗은 채 누워있고 창문도 없고 땀띠로 뒤덮인 채 계속 땀을 흘렸던 기억이 납니다.파리가 내 위에 떨어질 때, 나는 파리를 털기를 망설이고, 그래서 나를 더 뜨겁게 만들 것이라고 생각했던 에너지를 발휘했습니다.배고픔은 끊이지 않았습니다.어떤 음식이 역겨운 것에서부터 거의 먹을 수 없는 것까지 다양했습니다.때때로 우리는 받는 것이 너무 적어서 죄수들이 급성 영양실조증에 걸리기 시작했습니다.내 인생에서 가장 잘 잊혀진 시기.[6]

보이드는 전략공군 제8공군 부사령관, 워싱턴 D.C. 미 공군본부의 계획국장, 앨라배마주 맥스웰 공군기지공군대학 사령관을 거쳐 독일 슈투트가르트바이힌겐 유럽사령부 부사령관에 취임했습니다.[1]

그의 공군 임무는 다음과 같습니다.[2]

  • 1959년 4월 - 1960년 7월, 미시시피주 그린빌 공군기지, 항공 사관생도 프로그램의 학생, 학부생 조종사 훈련
  • 1960년 7월~1961년 1월, 학생, 애리조나주 루크 공군기지네바다주 넬리스 공군기지에서 F-100 전투 승조원 훈련을 받았습니다.
  • 1961년 7월 ~ 1963년 10월, 필리핀 클라크 공군기지 제510 전술전투비행단 F-100 전투기 조종사
  • 1963년 10월 ~ 1964년 8월, 캘리포니아 조지 공군기지 제355전술전투비행단 F-105 전투기 조종사
  • 1964년 8월 ~ 1965년 11월, 캔자스주 매코널 공군기지 제355전술전투비행단 F-105 전투기 조종사
  • 1965년 11월 ~ 1966년 4월, 태국 공군기지 제388전술전투비행단 F-105 전투기 조종사
  • 1966년 4월 ~ 1973년 2월 북베트남 전역의 여러 감옥에서 수용.
  • 1973년 2월 ~ 1973년 8월, 송환 방향
  • 1973년 8월 ~ 1975년 6월 캔자스 대학교 공군공과대학 학부생
  • 1975년 6월 ~ 1976년 6월 캔자스 대학교 공군공과대학원생
  • 1976년 8월 ~ 1977년 5월 앨라배마주 맥스웰 공군기지 공중전대학 학생
  • 1977년 6월 ~ 1979년 6월, 남유럽, 이탈리아 나폴리, 남유럽, 남유럽, 남유럽, 연합군 공군 참모총장 특별 보좌관 및 참모총장 집행관
  • 1979년 6월 ~ 1980년 9월, 워싱턴 D.C. 미 공군 본부 계획국 서반구 국장.
  • 1980년 9월 ~ 1982년 6월 워싱턴 D.C. 미 공군 본부 합동 및 국가안보회의 문제 담당 부국장.
  • 1982년 6월 ~ 1984년 7월 미 공군본부 합동 및 국가안보회의 업무 담당 보좌관
  • 1984년 7월 - 1986년 12월 서독 람슈타인 공군기지, 유럽 주둔 미 공군 본부 계획 및 프로그램 담당 부참모장.BGen Boyd는 NATO에서 지상 발사 크루즈 미사일을 배치하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 1986년 12월 ~ 1988년 6월 루이지애나주 바크스데일 공군기지 제8공군 부사령관
  • 1988년 6월 ~ 1989년 8월 워싱턴 D.C. 미 공군 본부 부참모장실 계획국장.
  • 1989년 8월 ~ 1990년 1월 워싱턴 D.C. 미 공군 본부 계획 및 작전 담당 부참모장.
  • 1990년 1월 ~ 1992년 10월 앨라배마주 맥스웰 공군기지 공군대학 사령관
  • 1992년 10월 ~ 1995년 8월 독일 슈투트가르트바이힝겐 미군 유럽사령부 부사령관

그의 승진과 직급별 날짜는 다음과 같습니다.[2]

랭크 날짜
휘장 순위 날짜.
2중대 1960년7월22일
1중대 1962년1월22일
캡틴 1965년1월22일
메이저 1970년 12월 1일 (베트남 전쟁 포로로 소령으로 진급)
Lt Col 1975년5월1일
1979년12월1일
브리그 젠 1985년4월1일
소장 1987년11월1일
Lt Gen 1990년1월3일
1992년 12월 1일 (보이드는 베트남 전쟁 포로 중 유일하게 4성급에 올랐습니다.)[3]

가족

그의 두 번째 부인은 국제 평화를 위한 카네기 기금의 전 회장인 [3]제시카 투흐만 매튜스입니다.[7]보이드의 첫 번째 부인 밀리센트 앤 샘플(1938년 4월 23일 ~ 1994년 4월 11일)은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되었습니다.[8]보이드와 샘플에게는 제시카 마리와 달라스 그레이엄 보이드라는 두 자녀가 있었습니다.

군후경력 및 사망

1995년 공군에서 은퇴한 후, 보이드는 미국 하원의장 뉴트 깅리치의 전략 컨설턴트로 일했습니다.1998년 7월부터 그는 21세기를 위한 미국 국가안보위원회의 상임이사를 맡았는데, 2001년 1월 그의 최종 보고서는 테러로 인한 미국의 위협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그는 또한 외교 위원회의 수석 부회장과 워싱턴 프로그램 책임자를 역임했습니다.[3][1]

2002년 5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지 국가 안보 공익 단체인 BENS(Business Executives for National Security)의 회장 겸 CEO를 역임했습니다.2009년 12월 14일부터 17일까지 보이드는 대표단을 이끌고 벤스에서 북한 평양으로 가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관계자들과 경제 문제를 논의했습니다.[9]보이드는 이사회의 일원으로서 BENS와 계속 관계를 유지했습니다.[10]

그는 국방 전자 회사인 DRS Technologies, 그래픽 소프트웨어 회사인 Forterra Systems, 그리고 중앙 정보국의 업무를 지원하는 벤처 투자가 In-Q-Tel의 이사회 멤버였습니다.

보이드는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조 바이든을 지지했는데, 이는 그가 공개적으로 지지한 첫 번째 후보였습니다.[11][1]그는 2022년 3월 23일 버지니아주 헤이마켓에서 폐암으로 8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12][1]그는 알링턴 국립묘지에 그의 첫 번째 부인 밀리센트 샘플 보이드 옆에 군장으로 안장되었습니다.[13]

무공훈장 및 훈장

보이드의 주요 군사상과 훈장은 다음과 같습니다.[2]

Bronze oak leaf cluster
Width-44 crimson ribbon with a pair of width-2 white stripes on the edges
Bronze oak leaf cluster
Bronze oak leaf cluster
Bronze star
Bronze oak leaf cluster
배지 미 공군사령부 조종사 배지
1열 공군 크로스 공군 공로훈장
두번째 줄 은성
청동 참나무클러스터 1개로
레지옹 오브 메리트
2개의 청동 참나무클러스터로
공훈 비행 십자가 청동별
"V" 장치와 2개의 청동 참나무클러스터가 있는 경우
세번째 줄 퍼플 하트
2개의 청동 참나무클러스터로
국방훈장 에어 메달
청동 참나무클러스터 1개로
공군 표창장
청동 참나무클러스터 1개로
4열 미국 공군 대통령 부대 표창장 공군 우수 부대상 공군조직우수상 포로 훈장
5열 전투준비태세훈장 육군 품행훈장 대한민국 국방훈장
서비스 스타 1개 포함
베트남 공로훈장
3개의 브론즈 캠페인 별과 함께
6열 공군 해외 단기 관광 서비스 리본
은1개, 동2개의 참나무클러스터로
공군 해외 장기 관광 서비스 리본
청동 참나무클러스터 1개로
공군장수훈장
은1개, 동2개의 참나무클러스터로
소형 무기 전문가 마크맨십 리본
7열 공군 훈련용 리본 베트남 갈란트 십자 단위 표창장
팜 앤 프레임 포함
미주국방위원회 훈장 베트남 캠페인 메달
"60"개의 걸쇠로
배지 합동참모본부 신분증 미국 유럽 사령부의 휘장

공군 십자 표창장

보이드, 찰스 G.
미 공군 대위
태국 코랏 왕립 태국 공군기지 제388전술전투비행단 제421전술전투비행단
활동일 : 1966년 4월 22일

미국법전 제10조 제8742항에 의해 인가된 미합중국 대통령은 F-105D 툰의 전투타격조종사로서 반대 무장세력에 대한 군사작전과 관련하여 탁월한 영웅성을 보여준 미 공군 찰스 그레이엄 보이드 대위에게 공군십자장을 수여하는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1966년 4월 22일, 코랏 왕립 태국 공군기지 제388전술전투비행단 제421전술전투비행단의 소장.그 날, 보이드 기장은 푸토 지역의 다리를 타격하는 비행에 위협이 되는 SAM(Surface to Air Missile) 사이트를 파괴하는 임무를 띤 비행에 참여하기 위해 자원했습니다.적대적인 SAM 사이트를 공격하는 동안, 보이드 대위는 두 개의 미사일이 그의 항공기를 향해 날아오는 것을 보았습니다.그의 뛰어난 비행 솜씨와 즉각적인 반응은 그가 비행기 근처에서 터진 미사일들을 피할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보이드 대위는 망설임 없이 적의 미사일 기지에 대한 공격을 계속했습니다.그가 주위의 하늘을 가득 메운 강렬한 플라크를 두 번째 통과했을 때, 보이드 선장의 항공기는 대공 사격에 직격탄을 맞았고, 그는 인구가 많고 적대적인 지역에서 몸을 피해야 했습니다.미사일 두 발을 겨우 피한 뒤 격한 지상사격을 통해 거듭 공격하는 사심 없는 행동은 정상적인 임무수행을 훨씬 넘어선 것이었습니다.보이드 대위는 그의 비범한 영웅주의, 뛰어난 비행술, 그리고 적대적인 군대에 맞선 공격성을 통해 자신과 미 공군에 대한 최고의 신용을 보여주었습니다.

[14]

참고 항목

메모들

  1. ^ a b c d e Katharine Q. Seelye (1 April 2022). "Charles G. Boyd, Air Force General and Former P.O.W., Dies at 83". The New York Times.
  2. ^ a b c d "General Charles G. Boyd". U.S. Air Force Military Biographies. 2004.
  3. ^ a b c d e "Charles G. Boyd". BENS Leadership. Business Executives for National Secur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12-26.
  4. ^ "NAM-POW Medals". Veterans Tributes. November 6, 2008. Retrieved November 22, 2008.
  5. ^ "Bio: Boyd, Charles G." POW Network. Retrieved November 22, 2008.
  6. ^ Boyd, Charles. ""General Charles Graham Boyd" (PDF). The Association for Diplomatic Studies and Training Foreign Affairs Oral History Project. Retrieved 4 February 2022.
  7. ^ "Jessica Tuchman Mathews, President".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5, 2006. Retrieved November 23, 2008.
  8. ^ 매장 세부 정보: 보이드, 밀리센트 C – ANC 탐험가
  9. ^ "Sojourn of US Businessmen Delegation in Pyongyang". KCN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20. Retrieved 2009-12-17.
  10. ^ "Highlights". BEN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10-10. Retrieved 2010-02-22.
  11. ^ Karen DeYoung (2020-09-24). "Nearly 500 former senior military, civilian leaders signal support for Biden". The Washington Post. Washington, D.C. ISSN 0190-8286. OCLC 1330888409.
  12. ^ Harrison Smith (24 March 2022). "Charles G. Boyd, Air Force general and former POW, dies at 83". The Washington Post.
  13. ^ MB Barrett (20 July 2022). "The Memorial Service for General Charles "Chuck" Boyd". Supre Sabre Society. Retrieved May 20, 2023.
  14. ^ "Charles Graham Boyd". Hall of Valor Project. Retrieved 3 November 2021.

참고문헌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