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를 라키다라
Charles Laquidara샤를 라키다라 | |
---|---|
![]() 2009년 마우이의 샤를 라키다라 | |
태어난 | |
직업 | 디스크 자키, 배우, 블로거 |
년 활동 | 1961-현재 |
배우자 | 이혼한 |
찰스 라키다라(Charles Laquidara, 1938년 출생)는 미국의 라디오 디스크 기수로서, WBCN에서 거의 30년(1969–1996) 동안 매사추세츠 주 보스턴 지역에서 방송되었다.[1][2]그 후 그는 WZLX에서 Charles Laquidara Radio Hour를 하면서 4년을 보냈다.[3]그는 몇 년간 마우이의 집에서 인터넷 라디오 방송인 찰스 라키다라 라디오를 진행했고, 2020년 2월 하와이에서 나와 3명의 손자를 포함한 가족과 더 가까워졌다.[4]
방송 활동 내내 라키다라는 클래식, 재즈, 디스코, 소울, 펑크 등 록음악과 함께 다양한 음악 스타일을 연주하고, 기업지배구조와 미국 우익정치에 대한 노골적인 비평가로 알려져 왔다.[3][5]
전기
초기 경력
매사추세츠주 밀포드에서 태어난 라키다라는 밀포드 고등학교를 다녔고, 그곳에서 그는 반에서 "가장 예술적인" 사람으로 뽑혔다.졸업과 동시에 로드아일랜드 디자인스쿨에 2년간 다녔으며, 이후 1961년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로 이주해 패서디나 플레이하우스에서 연극예술 학사 학위를 받았다.그는 그 후 8년 동안 로스앤젤레스 지역에서 텔레비전과 영화에서 배우로 일하기 위해 노력했다.그의 연기 분야에서의 성공은 몇 개의 무대 역할과 데이트 게임에서 한 명의 참가자로 제한되었다.그는 졌지만, 위로금으로 녹음기를 받았다.그는 앨런 베이츠, 토니 커티스와 함께 영화 '보스턴 스트링글러'의 주연으로도 고려되었지만 커티스는 결국 알버트 드살보 역으로 주연상을 받았다.[3][6]
방송경력
라키다라는 연기 활동을 모색하던 중 1960년대 캘리포니아 패서디나의 KPPC-FM에서 클래식 아나운서로 아르바이트를 했다.그의 고향인 매사추세츠주로 몇 차례 왔다 갔다 한 후, 그는 결국 KPPC에서 풀타임으로 일하게 되었다.[7]파사데나 스타뉴스의 칼럼니스트는 1965년 라키다라의 특이한 스타일에 주목했다.작가는 라키다라를 오페라 라보엠에 대한 묘사에 길고 극적인 일시정지 사용과 종종 두 번 이상 감탄한 음악의 구절을 연달아 연주하는 등 당시 급진적인 방식으로 라디오를 하고 있는 배우 지망생이라고 묘사했는데, 두 가지 모두 당시 수용된 라디오 호스팅 기준에 의해 강하게 좌절되었다.[8]
캘리포니아 자유형
1967년 10월, KPPC는 샌프란시스코 방송국 KMPX의 소유주에 의해 구매되었다. KPPC는 곧 KMPX에 이어 "자유형"이라고 알려진 새로운 "언더그라운드 라디오" 록 포맷을 채택했다.[9]라키다라의 클래식 음악 배경과 재즈에 대한 관심도 영향력 있는 라디오 방송국의 다양한 성격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었다.[10]전 역장 데이브 피어스가 회고록에서 설명한 대로, 60년대 후반 라키다라는 보통 "새소리 20분"으로 자정 프로그램을 시작했고, 그 후 "블루 다뉴브 왈츠와 에머슨, 레이크 앤 파머"를 연주했다.[10]
매사추세츠로 돌아가기
1969년, 그는 새로 결성된 J. Geils 밴드에 합류하기 위해 떠나던 디스크 자키 피터 울프의 후임으로 보스턴의 WBCN에서 항공 교대 제의를 받았다.1972년 라키다라는 "빅 매트리스"로 불리는 WBCN의[11] 아침 근무조를 이어받아 거의 25년간 머물다가 1996년 WBCN 자매방송국 WZLX로 자리를 옮겼다.[12]
큰 매트리스
라키다라의 아침 프로그램인 '빅 매트리스'는 FM방송의 선구자적 노력이었다.그것은 제작자, 작가, 제작 스태프를 포함한 공중파 인사들의 변화무쌍한 출연진을 특집으로 다룬 최초의 FM 방송 중 하나였다.이 프로그램에는 음악, 뉴스, 토크, 유머, 즉 의심하지 않는 청취자에게 장난 전화를 거는 것과 같은 요소들이 포함되었는데, 현재는 "드라이브 타임" 라디오의 특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이 프로그램의 한 가지 특징은 "미시가스"("미시가스")라는 코너였는데, 라키다라가 이끄는 그룹이 연예인을 포함한 청취자들에게 퀴즈를 내 정확한 응답을 위한 상품을 제공한다.듣는 사람이 퀴즈에 답을 하지 못할 경우 '펑키치킨 춤을 추어야 한다'는 벌칙이 내려졌다.[5][13]
1976년, 라키다라는 갑자기 "텔레비전을 하고 다른 길을 추구하기 위해 라디오를 그만두게 했다"고 발표하여 청취자들을 놀라게 했다. 라키다라는 나중에 "내 코카인 습관을 방해하고 있다"는 이유로 76년에 라디오를 그만둔 사실을 인정했다.라키다라는 스토우 매사추세츠에서 거의 2년 동안 살기 위해 은퇴했고, 당시 프로그램 감독인 토미 해지스에 의해 WBCN으로 복귀하도록 설득당했다.78년에 돌아왔을 때, 나는 코카인을 계속 할 수 있기를 원했지만, 그들이 나에게 제안한 돈은 거절하기 너무 힘들었기 때문에, 나는 정말 다시 오고 싶지 않았다.다행히 그렇게 하기로 하고 아직 살아 있다"고 말했다.[14]
빅 매트리스는 20년 넘게 지속된 보스턴 지역 최고의 라디오 쇼였다.[13]
듀안 잉걸스 글래스콕
WBCN '빅 매트리스'의 반복적인 부분으로, 라키다라는 자신의 분신인 듀안 잉걸스 글래스콕을 소개했는데, 후에 라키다라가 "비열하고 성차별적인"이라고 묘사했다.[3]글래스콕은 굵은 보스턴 억양으로 말했고 라키다라가 정치적 올바름의 위선을 지적하는 데 이용했다.듀안 글래스콕은 처음에 항문성폭행을 암시하는 저속한 캐치프레이즈를 사용했다.더 이상 그 구절을 방송에서 말하지 말라는 말을 듣자, 그는 "미사, 업튼에서 전화까지 받았느냐"는 비슷한 소리로 "청소했다"고 했다.운 좋은 현인이라는 이유로?"듀엣은 시그니처 사운드 효과에 이어 "안녕, 랭구우온!"이라는 문구로 자신의 방송과 세그먼트를 대부분 공개했다.라키다라는 한 인터뷰에서 WBCN에서 토요일 아침 자신의 'own' 프로그램을 진행했던 글래스콕 캐릭터가 실제로 라키다라의 정규 평일 방송보다 높은 시청률을 받았다고 밝혔다.[3]
이 프로그램의 이름은 1996년 당시 이 나라에서 가장 높은 보수를 받는 디스크 자키 중 한 명이었던 라키다라가 WBCN의 프로그램 감독 오이디푸스에 의해 WZLX로 옮기도록 설득당하면서 은퇴되었다.오이디푸스는 70년대 후반의 펑크와 새로운 물결시대 동안 라키다라의 무보수 작가 중 한 명으로 유명해졌다.[3]이제 라키다라의 보스 오이디푸스는 쇼크 조크 하워드 스턴이라는 더 인기 있는 신디케이트 아침 프로그램을 위해 그의 쇼를 WZLX 자매 방송국으로 옮기도록 그를 설득했다.찰스 라키다라 라디오 아워라고 불리는 이 새로운 프로그램은 보스턴의 백베이에 있는 프루덴셜 타워에서 방송되었다.[3][13]
사회활동주의
라키다라는 KPPC 자유형 라디오의 초창기부터 그의 경력 내내 사회운동에 참여하여 강력하게 유지되는 자유주의 정치 입장을 추진하였다.데이브 피어스는 KPPC에서의 "에테르 익스프레스 타고"라는 제목의 그의 회고록에서 베트남 전쟁의 초기 성악 상대였던 라키다라와의 친밀한 우정을 회상한다.1968년 12월, 라키다라가 매사추세츠로 돌아오기 직전, 피어스와 그의 아내와 아이들은 라키다라와 함께 로스앤젤레스의 엘리시안 공원으로 가서 지역 자선단체인 프리클리닉을 위해 라디오에서 홍보하는 것을 도왔다.당시 빈번한 반문화적 행동주의 형태였던 이 행사에는 5000명이 참여했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공개적으로 마리화나를 피웠다.그러나 행사가 시작된 직후 예고나 예고된 의도 없이 수십 대의 로스앤젤레스 전경이 나타나 강제 철거작업을 벌였다.라키다라는 피에르케스와 함께 경찰의 전면적인 공격을 피해 곧바로 KPPC로 향했고 LA경찰에 대한 10분간의 통렬한 비난을 전했다.[15]
라키다라는 보스턴의 WBCN에서 방송되는 동안 가끔 논란이 되는 정치 활동을 계속했다.카메라 가게 광고에 이어 허니웰 법인 반인칭 탄약에 대해 비난했고, 허니웰 회사는 허니웰 카메라를 판매한 광고주로부터 소송을 제기했다.[16]그의 분신인 듀안 글래스콕은 청취자들에게 "중재연구국에 똥가방을 보내라"고 말한 것으로 해고되었다.중재론은 라디오 업계에 시장 조사와 청취자 수를 제공하는 법인으로, 라키다라는 두아네를 이용해 막강한 회사의 청렴성에 의문을 제기했다.[16]1988년 반(反)아파르트헤이트 시위와 쉘오일 보이콧을 주도해 국민적 관심을 모았다.[17][18][19]
마우이 은퇴
라키다라는 1998년 마침내 영화배우로서의 명성을 얻었고, 보스턴을 오가며 촬영된 영화 넥스트 스톱 원더랜드의 '전화 데이트' 중 하나로 작은 역할을 했다.[20]2000년 8월 은퇴 후 라키다라는 하와이로 이주했다.2005년에 라키다라는 오프라 윈프리에 200만[21] 달러 이상에 시골 마우이의 집을 팔았는데, 그의 잡지는 이 집을 "고정꾼"이라고 불렀다.[22]또 다른 부동산 거래에서 그는 2년 후 175만 달러에 구입한 하와이 하이쿠의 한 무질서한 땅을 정신적 지도자인 바바 람 다스에게 230만 달러에 팔았다.[23]라키다라는 가끔 하와이 와일루쿠의 마나오 라디오 KEAO-LP를 통해 인터넷 방송을 위한 쇼들을 준비했다.[7][24]2005년 3월부터 약 1년 반 동안 주간 방송을 했다.[25]2006년 상반기 동안 라키다라는 보스턴 라디오 방송 92.9 WBOS에서 방송한 하와이 자택에서 '백스핀'이라는 프로그램을 방송했다.하지만 이 쇼는 오래가지 못했다.라키다라는 이라크 전쟁이 한창일 때 닐 영의 노래 "대통령을 탄핵하자"를 연주한 것에 대해 징계를 받은 직후 사임했다.[11]2009년 라키다라는 원래 방송국인 WBCN의 폐막을 기념하기 위해 보스턴으로 돌아와 방송국 직원과 전직 직원만 초대하는 현지 나이트클럽에서 연쇄 인터뷰를 하고 단독 헌정 파티를 열었다.[26]보스턴에 있는 동안 라키다라는 FM 라디오에서의 선구적인 노력을 인정받아 매사추세츠 방송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3]마우이의 하와이 키헤이에서 사는 동안, 그는 코미디 비트, 노래 패러디, 그리고 '빅 매트리스'의 미셰가스 부문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락, 뉴웨이브, 클래식 히트곡을 연주한 인터넷 라디오 방송인 찰스 라키다라 라디오를 진행하였다.[4]
현재
찰스는 2015년 로저 킹 감독이 연출한 'I Am What I Play'라는 라디오 DJ에 관한 다큐멘터리에 출연했다.[27]
COVID-19 대유행의 초기에 그는 손주들을 포함한 그의 가족과 더 가까워지기 위해 캘리포니아의 라크스푸르로 이주했다.
참조
- ^ Starr, Mark (1993-07-05). "Rock and Roll Forever". Newsweek.
Charles Laquidara, a disc jockey at Boston's WBCN-FM since 1969, played an eclectic mix of Hendrix and the Doors-and new-REM[...]
- ^ Kelly, Hope (1988-08-23). "Charles Laquidara boycotts Shell Oil". WGBH.
- ^ a b c d e f g Sullivan, Jim (2000-08-06). "Goodbye, Charlie". Boston Globe Magazine.
- ^ a b "Charles Laquidara Radio". Radionom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4, 2015. Retrieved May 24, 2015.
- ^ a b Schutz, Aaron (December 1998). "Charles Laquidara: WBCN Morning Show Legend, now WZLX Morning Host". Virtually Alternative. Retrieved 16 January 2010.
- ^ Pierce, Dave (2008). Riding on the Ether Express: a memoir of 1960s Los Angeles, the rise of Freeform Underground Radio, and the legendary KPPC-FM. Lafayette, Louisiana: Center for Louisiana Studies, University of Louisiana at Lafayette. ISBN 978-1-887366-77-9. OCLC 144548083.
- ^ a b "Charles Laquidara Profile Page". Mana'o Radio. Retrieved 2008-05-18.
- ^ Duncan, Ray (June 20, 1965). "Behind the Scene with Ray Duncan". Pasadena, CA: Independent Star-News.
- ^ Pierce, Dave (2008). Riding on the Ether Express: a memoir of 1960s Los Angeles, the rise of Freeform Underground Radio, and the legendary KPPC-FM. Lafayette, Louisiana: Center for Louisiana Studies, University of Louisiana at Lafayette. pp. 167–8. ISBN 978-1-887366-77-9. OCLC 144548083.
- ^ a b Pierce, Dave (2008). Riding on the Ether Express: a memoir of 1960s Los Angeles, the rise of Freeform Underground Radio, and the legendary KPPC-FM. Lafayette, Louisiana: Center for Louisiana Studies, University of Louisiana at Lafayette. pp. 192–3. ISBN 978-1-887366-77-9. OCLC 144548083.
- ^ a b Kennedy, Dan (2006-08-26). "We live in a political world". Media Nation.
- ^ WBCN의 40번째 생일 축하의 일환으로 찰스 라키다라는 2009년 2월 17일 WBCN Archived Adam 12, WBCN Archived 2월 12일 웨이백머신에서 점심을 먹기 위해 Wayback Machine에 들렀다.
- ^ a b c d "Charles Laquidara". Massachusetts Broadcasters Hall of Fam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April 2010. Retrieved 15 January 2010.
- ^ Gilsdorf, Ethan. "WBCN: An Oral History". Boston Magazine. No. August 2014. Retrieved May 24, 2015.
- ^ Pierce, Dave (2008). Riding on the Ether Express: a memoir of 1960s Los Angeles, the rise of Freeform Underground Radio, and the legendary KPPC-FM. Lafayette, Louisiana: Center for Louisiana Studies, University of Louisiana at Lafayette. pp. 211–214. ISBN 978-1-887366-77-9. OCLC 144548083.
- ^ a b Danny Schechter; Robert W. McChesney; Jackson Brown Jr (4 November 1997). The More You Watch, the Less You Know. p. 106. ISBN 9781888363807.
- ^ "Business Notes: Apartheid Protests". TIME. 1988-12-2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14, 2008.
- ^ Gold, Allan R. (1988-12-12). "The Media Business; A Disk Jockey Challenges an Oil Company".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008-05-20.
- ^ Charles Laquidara, Shell Oil, WGBH, The Ten O'Clock News,1988-08-23 Wayback Machine에 2007년 8월 20일 보관됨
- ^ "Charles Laquidara". IMDb.com. Retrieved 2008-05-19.
- ^ Carol Beggy; Mark Shanahan (March 29, 2005). "A sunny deal for Oprah; a Brookline exhibit rocks". The Boston Globe.
- ^ Gayle Fee; Laura Raposa; Erin Hayes (May 28, 2006). "Hostile makeover: Oprah trashes Mattress man's Maui mansion". The Boston Herald.
- ^ Carol Beggy; Mark Shanahan (22 June 2007). "Realtor to the rich and famous". The Boston Globe. Retrieved 15 January 2010.
- ^ Eagar, Harry (2005-12-27). "Off Deadline". Maui News.
- ^ Fremer, Michael (2005-03-25). "WBCN's Charles Laquidara Back on the Radio! Tune Him In". Music Angle.
- ^ Pleshaw, Hartley. "Brigadoon in Boston: A Rock Radio Resurection". Danny Schechter. Retrieved 16 January 2010.
- ^ 일곱 번째 예술 발표, 나는 내가 하는 것이다.2017년 4월 14일 회수
외부 링크
- "Charles Laquidara Radio".
- "Daze in the Life (WBCN historical multimedia project)".
- "Schnauzer Logic Podcast - Episode 20 - July 19, 2006". Universal Hub.[영구적 데드링크]
- "Charles Laquidara". Universal Hub.
- "Some classic clips from Charles Laquidara's alter ego: Duane Glasscock". WBCN - The Rock of Bost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4-27.
- "Radio Broadcasting History, Radio People by Name (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