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르스키 산맥
Chersky RangeThe Chersky Range (Russian: Хребет Черского, Yakut: Черскэй хайалара) is a chain of mountains in northeastern Siberia between the Yana River and the Indigirka River. 행정상으로는 동쪽의 작은 구간이 마가단 주 내에 있지만, 사카 공화국에 속한다. 이 범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는 3,003m(9,852ft)의 높이로 울라칸-치스티아 산맥의 일부다. 그 범위에는 또한 Ynnakh Mountain (Mat'-Gora)과 Kigilyakh 암석 형성과 같은 전통적인 야쿠트 문화의 중요한 장소들도 포함되어 있다.[1]
모마자연공원은 사거리의 남쪽 구역에 위치한 보호구역이다.[2]
역사
1633년에서 1642년 사이에 포즈니크 이바노프는 하류 레나의 지류에 올라 베르코얀스크 사거리를 건너 야나 상부로 간 다음 체르스키 사거리를 건너 인디고르카까지 갔다.[3] 이 사거리는 1926년 세르게이 오브루체프(Vladimir Obruchev의 아들)가 목격했으며 폴란드 탐험가 겸 지리학자 이반 체르스키(또는 얀 체르스키)의 이름을 따서 러시아 지리학회에서 명명했다.[4]
지리

산악계의 지리적 경계는 남서부의 야나-오이마이콘 고원, 북동부의 모모-셀렌냐크 공황이다.[5]
수브랑게스
체르스키 산맥의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운행되는 여러 하위 구역으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다.
야나와 인디기르카 강 사이:
- 버캣 레인지, 최고점 1,150m(3,770ft)
- 카다라니야 산맥, 최고점 2,185m(7,169ft)
- Ymiysky Range, 최고점 1,048m(3,438ft)
- 키실랴크 산맥, 최고점 1,548m(5,079ft) 아디차 강변에 있다.
- 타스카야흐타흐 산맥, 최고점 2,356m(7,730ft)
- 쿠룬다 산맥, 최고점 1,919m(6,296ft)
- 도도 범위, 최고점 2,272m(7,454ft)
- Chemalgin 범위, 최고점 2,547m(8,356ft)
- 야나오이묘콘 고원
콜리마 강 상류 유역:
- 울라크한-치스타이 산맥, 최고점 3,003m(9,852ft), 남단 부근
- 체어 레인지, 최고점 2,332m(7,651ft)
- 앙가작 거리, 최고점 2,293m(7,523ft)
- 아르가타스, 최고점 2,400m(7,900ft)
- 지바갈라흐 산맥, 최고점 2,449m(8,035ft)
- 보롱 레인지, 최고점 2,681m(8,796ft) (차르키와 아디차 사이)
- 뽀로즈니 산맥, 최고점 2,551m(8,369ft)
- 실야프 산맥, 가장 높은 지점인 치온산(гр山 чрч) 2,690m(8,830ft)[6]
인디기르카와 네라 강 사이:
북동특이치
In some works, a few roughly parallel ranges located off the main system to the northeast, such as the Kyun-Tas Range (highest point 1,242 metres (4,075 ft)), the Selennyakh Range (highest point highest point Saltag-Tas (2,021 metres (6,631 ft)), and the adjacent Moma Range (highest point 2,533 metres (8,310 ft)) with the Moma-Selennyakh Depession 그들의 서쪽을 따라 달리는 체르스키 산맥에 포함된다.[7]
이 시스템의 다른 범위로는 이르기친 레인지, 인얄린 레인지, 볼찬 레인지, 실렌 레인지, 오넬 레인지, 옥혼디야 레인지, 폴리아니 레인지, 넨델긴 레인지 등이 있다.[8]
하이드로그래피
체르스키 시스템에는 다음과 같은 3개의 주요 강 유역이 포함된다.
- 야나 강 - 서부와 서북부를 덮고 있다. 지류 투오스타흐와 차르키와 함께 올드쇼와 아디차 강을 포함한다.
- 시스템의 북동부, 중앙부, 남서부를 덮고 있는 인디기르카 강에는 셀렌냐크 강, 모마 강, 네라 강이 있다.
- 코리마 강(Kolyma River)은 동부와 남동부, 남부를 덮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지얀카, 라소카, 오물료프카, 야사흐나야, 타스탄, 데빈, 별리요크 강이 있다.
고산지대를 가진 더 높은 지역들 중 일부는 빙하를 가지고 있다. 이 시스템에는 약 350개의 빙하가 있으며 총 면적은 156.2km2(60.3 sq mi)이다.[9] 에만다와 타반다와 같은 빙하 기원의 호수뿐만 아니라 일부 강의 늪지 계곡에도 작은 호수가 있다.
텍토닉스
범위는 유라시아판과 북미판 사이의 경계에 있다.[10]
체르스키 산맥 지역에 있는 북미와 유라시아 지각판 사이의 경계의 정확한 성질은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고 있으며 현재 진행 중인 연구의 대상이다. 1980년대까지 체르스키 산맥은 대부분 지각이 갈라지는 대륙횡단 지역으로 여겨졌다.[11] 그러나 현재의 견해로는 체르스키 산맥은 대부분 대륙 수렴 판 경계인 활성 봉합 구역으로, 두 판이 서로 압착하면서 압축이 일어나고 있다.[12] 체르스키 산맥에는 북쪽으로부터 오는 확장력이 대부분의 범위에 걸쳐 기록된 압축력으로 변하는 지점이 있다고 생각된다. 체르스키 산맥은 울라크한 단층부가 봉합 구역과 교차하는 지질학적 트리플 접점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지역 지질학의 정확한 성질이 무엇이든 간에, 체르스키 산맥은 지진 활동 지역이다. 그것은 북쪽에서 라프테프 해 균열의 육지연장과 연결되는데, 그 자체가 중북극 각켈 능선의 대륙연장이다.
기후.
체르스키 산맥은 이웃한 베르호얀스크 산맥과 함께 시베리아 기후에 온건한 영향을 미친다. 능선은 서쪽으로 이동하는 기류의 흐름을 방해하여 평야에서 서쪽으로의 강설량을 감소시킨다.
참고 항목
메모들
- ^ Кисиляхи
- ^ "Moma Natural Park Official 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09-29. Retrieved 2019-11-07.
- ^ G. 패트릭 행진 '동부 운명:아시아와 북태평양의 러시아, 1996, 제3장
- ^ Obruchev, S. (1927). "Discovery of a Great Range in North-East Siberia". The Geographical Journal. 70 (5): 464–470. doi:10.2307/1783479. JSTOR 1783479.
- ^ 샬롯еттччччч ( ((러시아어)
- ^ Массив Чен
- ^ 체르스키 레인지 // 러시아 대백과사전 : [35권] / 챕터 에드. Yu.S. Osipov . - M , 2004 - 2017.
- ^ 올레그 레오니도비치 크리야노프스키즈, 러시아와 인접지 지반 점검표. 15페이지
- ^ Черского хребет (в Якутской АССР и Магаданской обл.), Great Soviet Encyclopedia
- ^ 뉴스 아카이브 - 컬럼비아 대학교 지구 연구소
- ^ 국제지질학회의원, 제27회 국제지질학회의원, VSP에 의해 1984년 발간된 국제지질학회의원, 국제지질학회의원, 국제지질학회의원, "아시아/태평양 전이구역의 지질역학과 후기 신생대 진화"
- ^ 북유라시아의 물리 지리학, ed. 마리아 샤게다노바(Maria Shahgedanova),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03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스의 체르스키 레인지와 관련된 미디어
- 시베리아 동북부의 오이미아콘 고리 구조
- ХРЕБТ ЧЕРСКОГО (ЦЕПЬ ОБРУЧЕВ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