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 걸쇠
Chicken Shack치킨 걸쇠 | |
---|---|
장르 | 블루스, R&B |
년 활동 | 1965–1974 1976-현재 |
레이블 | 블루 호라이즌, 데람 레코드, 노바, 샤크, 워너 뮤직 그룹, 굴, 에픽 레코드, RCA 레코드, SPV(독일), 이상한 과일 레코드, 미스틱 |
관련 행위 | 사보이 브라운, 깨진 유리, UFO |
회원들 | 스탠 웹 게리 데이비스 짐 러지 |
과거 구성원 | 구성원 보기 |
치킨잭은 1960년대 중반 스탠 웹(기타·보컬), 앤디 실베스터(베이스 기타), 앨런 몰리(드럼스)가 창단한 영국 블루스 밴드로, 이후 크리스틴 퍼펙트(래터 맥비)가 1967년 합류했다. 치킨 걸크는 다양한 라인업으로 공연을 해왔고, 스탠 웹은 유일하게 상수 멤버다.
경력
데이비드 "로디" 예이츠와 앤디 실베스터는 1964년 스투브리지 기반의 리듬 앤 블루스 밴드로 사운드 오브 블루를 결성했다. 그들은 지역 밴드 The Shades 5를 떠나던 스탠 웹을 초대했다. 이 밴드는 또한 크리스틴 퍼펙트와 크리스 우드(트래픽에 합류하기를 더 바라는 사람)를 그들의 줄에 포함시켰다.[1] 새로운 라인업으로 1965년 3인조로 결성된 '치킨잭'은 '치킨잭' 앨범에서 지미 스미스의 Back at the Chicken Shack'의 이름을 따서 그들 이름을 지었다.[2] 아모스 밀번의 히트곡인 "치킨 족크 부기"처럼 블루스와 R&B 곡에서도 치킨 판잣집(노천 길가 치킨 스탠드)이 자주 언급되었다. 그 후 몇 년 동안 이 밴드는 스타클럽,[1] 함부르크, 몰리, 알 사이크스, 휴이 플린트(Eric Clapton이 밴드에 있을 때 존 메이올의 드러머였다)와 함께 거주했고, 이후 데이브 비드웰은 드럼으로 거주했다.
그들은 1967년 영국 국립 재즈 앤 블루스 페스티벌 윈저에 처음 출연했으며 같은 해 마이크 버논의 블루 Horizon 음반사와 계약을 맺고 1968년 초 Four Blue Pingers, Fresh Packed, Ready to Serve를 발매했다.[1] 로 크리스틴은 완벽한 그 멜로디 Makerpolls에 2년 최우수 여성 Vocalist를 영국 블루스 붐의 주력, 영국 축제(스탠 웨브의 군중 속을 그의 기타 선두로 200피트 길이의 파일 확장명이 밴드의 만들어진 정규 occurrence[표창 필요한]동안 방황하는)에서 정기적으로, 치킨 판잣집, 몇몇 상업적 성공을 즐겼다.달리기를 시작했다. 이들은 'I'd Better Go Blind'(c/w "Night Life")와 'Tears in the Wind'[1]로 두 번의 마이너 히트를 기록했고, 이후 퍼펙트는 플리트우드 맥의 존 맥비(John McVie)와 결혼하면서 1969년 밴드를 떠났다. 그녀는 플라스틱 페니의 폴 레이몬드로 대체되었다.[1]
블루 호라이즌에 들른 뒤 피아니스트 폴 레이먼드, 베이시스트 앤디 실베스터, 드러머 데이브 비드웰이 모두 1971년 사보이 브라운에 합류하기 위해 떠났다.[1] 이때 웹은 베이스에 존 글래스콕을, 드럼에 폴 핸콕스를 넣은 3인조로 밴드를 개혁했고, 그들은 상상력의 레이디를 녹음했다.[1] 라인업은 오래가지 못했다. 글래스콕은 카르멘에 합류하기 위해 떠났고, 웹은 1974년 사보이 브라운에 영입되어 그들과 함께 Boogie Brothers라는 앨범을 녹음했다.[1]
1977년부터 웹은 여러 차례에 걸쳐 Paul Butler (ex-Jelybread, Kef Hartley Band) (기타), Kef Hartley, 전 10년 후 드러머 Ric Lee, Miller Anderson 등 영국의 블루스 뮤지션들이 돌아가면서 치킨 걸크라는 이름을 부활시켰다. 그 밴드는 유럽 전역에서 라이브 명소로 인기를 유지해왔다.
웹은 그들의 유일한 상시 밴드 멤버로 남아있다.[1][2][3][4][5][6][7]
인원
회원들
- 현재 구성원
- Stan Webb – 기타, 보컬(1965–1974, 1976–현재)
- 게리 데이비스 – 기타(1988–현재)
- 짐 루지 – 베이스(1998–현재)
- 전회원
|
|
|
라인업
1965–1968 | 1968 | 1968 | 1968 |
---|---|---|---|
|
|
|
|
1968–1969 | 1969–1971 | 1971 | 1971–1972 |
|
|
| |
1972 | 1972–1974 | 1974–1976 | 1976–1978 |
|
| 해체됨 | |
1978–1979 | 1979–1980 | 1980 | 1980–1981 |
|
|
|
|
1981 | 1981–1983 | 1983–1986 | 1986–1987 |
|
|
|
|
1987 | 1987–1988 | 1988–1991 | 1991–1993 |
|
|
|
|
1993–1998 | 1998–2002 | 2002–2008 | 2008–2010 |
|
|
|
|
2010–2012 | 2012–2013 | 2013-현재 | |
|
|
|
타임라인

음반 목록
앨범
- 40개의 파란색 손가락, 새로 포장되어 서비스 준비 완료(1968), Blue Horizon – 영국 앨범 차트 12번
- OK. Ken?(1969), Blue Horizon – Number 9
- 100톤 치킨(1969), 블루 호라이즌
- 수락(1970), Blue Horizon
- 상상 속의 여인(1972년), 데람
- 비운의 소년(1973), 데람
- 굿바이 치킨 걸크 (Live) (1974), 데람
- 더블("불행한 소년 & 작별 치킨집)" (1977), 데람
- Stan the Man (Live)(1977), 노바
- 스탠 웹의 닭장 격인 상어는 그런 식이다.
- 더 크리퍼 (1978년), 스탠 웹의 닭장 역으로 WEA
- 닭장(1979년), 갈매기
- 캔 (1980), 에픽 레코드
- Roadies Concerto (Live) (1981), RCA 레코드 (Stan Webb's Chicken Chack)
- Simply Live (라이브), SPV (독일)
- On Air (BBC 세션) (1998), 이상한 과일 레코드
- 블랙 나이트(1999), (Stan Webb의 치킨 걸쇠로)
- 웹(2001)
- 스탠 더 맨(2002년), 컴파일 앨범
- 이 모든 세월이 지나도 여전히 살아 있다(2004년), 미스틱
- 스탠 웹(2004)
- 올라가기, 내려가기-안티컬(2004)
- 전체 블루 Horizon 세션(2006)[1]
- 불쌍한 소년/데람의 해 (2006), (스탠 웹의 닭장)
- 이상한 상황/인디고(2006), (스탠 웹의 닭장)
- Reflections (Pluking Good & Changes (Ed. 확장 Ed.) (2008) (Stan Webb with Chicken Sha{ck))
싱글스
연도 | 이름 | 영국[9] |
---|---|---|
1968 | "괜찮아 아기야 / 왼쪽 눈이 튀어나올 때" (BH 57-3135) | - |
1968 | "내 여자에 대한 걱정/7박 6일" (BH 57-3143) | - |
1968 | "기차가 돌아올 때 / 헤이 베이비" (BH 57-3146) | - |
1969 | "나는 차라리 장님/야생" (BH 57-3153) | 14 |
1969 | "바람에 맺힌 눈물 / 당신이 내게 준 것들" (BH 57-3160) | 29 |
1970 | 마우디 / 안달루치아 블루스 (BH 57-3168) | - |
1970 | "슬픈 광대/피곤한 눈" (BH 57-3176) | - |
참조
- ^ a b c d e f g h i j 60년대 음악의 처녀 백과사전 라킨 C (Muze UK Ltd, 1997), ISBN0-7535-0149-X, 페이지 110
- ^ a b "Stan Webb's Chickenshack – Beginnings". Stanwebb.co.uk. 3 February 1946. Retrieved 7 May 2012.
- ^ "Stan Webb's Chickenshack – 1970s". Stanwebb.co.uk. Retrieved 7 May 2012.
- ^ "Stan Webb's Chickenshack – 1980s". Stanwebb.co.uk. Retrieved 7 May 2012.
- ^ "Stan Webb's Chickenshack – 1990s". Stanwebb.co.uk. Retrieved 7 May 2012.
- ^ "Stan Webb's Chickenshack – 2000s". Stanwebb.co.uk. Retrieved 7 May 2012.
- ^ "Stan Webb's Chickenshack – Personnel". Stanwebb.co.uk. Retrieved 7 May 2012.
- ^ "BEV SMITH - A TRIBUTE". Sharkattack.tripod.com. Retrieved 31 March 2019.
- ^ Roberts, David (2007). British Hit Singles & Albums (19th ed.). London: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p. 104. ISBN 978-1-904994-10-7.
추가 읽기
- The New Musical Express Book of Rock, 1975, Star Books, ISBN 0-352-300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