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카와 촌장

Chief Mkwawa
음카와 촌장

음콰와 촌장이나 술탄 음와와로 더 흔히 알려진 음콰비니카 무니굼바 음와무잉가(1855년 ~ 1898년[a] 7월 19일) 촌장은 독일 식민지화에 반대했던 이링가 지역(현재의 대부분 탄자니아 본토)의 독일 동아프리카헤헤 부족 지도자였다.[4] '므카와'라는 이름은 그 자체가 무크와비니카의 줄인 형태인 무크와바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많은 땅의 위정자'라는 뜻이다. 어린 아이였을 때, 그는 "Troubmaker"라는 뜻의 Ndesalasi로 명명되었다. As an adult later named Mtwa Mkwava Mkwavinyika Mahinya Yilimwiganga Mkali Kuvagosi Kuvadala Tage Matenengo Manwiwage Seguniwagula Gumganga, meaning: "A leader who takes control of the forests, who is aggressive to men and polite to women, who is unpredictable and unbeatable, and who has the power that it is only death who can take him away."

인생

해골을 돌려주는 에드워드 경

음콰와는 루호타에서 태어났으며 술탄 무니굼바의 아들로, 1879년 그에게 부족의 "수장"을 남기고 죽었다. (그는 사실 술탄인 무슬림 지도자였다.[1])

1891년 7월 독일 총사령관 에밀젤레프스키(Emil von Zelewski)는 1개 대대(장교와 짐꾼을 거느린 320 squaris)를 이끌고 헤헤를 진압했다. 8월 17일 루갈로에서 음콰와 3천 명의 군대의 공격을 받았는데, 루갈로에서는 과 몇 개의 총만 갖추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재빨리 독일군을 제압하여 젤레프스키를 죽였다.

1894년 10월 28일, 독일군은 프리허르 프리드리히셸레[de] 신임 총사령관 휘하에 칼렝가(Kalenga)에 있는 음콰와(Mkwawa)의 요새를 공격했다. 비록 그들이 요새를 점령했지만, 음콰와는 가까스로 도망쳤다. 그 후 음콰와는 게릴라전을 전개하여 1898년 7월 19일 독일군을 괴롭혔는데, 이때 그는 포로를 피하기 위해 1898년까지 독일군을 괴롭혔다.[5] 음콰와는 믈람발라시 바위 쉼터 현장에서 스스로 총을 쐈다.[6] 음콰와는 이전에 믈람발라시 바위 쉼터를 은신처로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6] 음콰와의 시신은 바위절개소에서 몇 미터 떨어진 곳에 묻혔다.[6]

두개골 처분

The National Archives UK - CO 1069-159-89.jpg
음콰와 기념 박물관에 전시된 두개골

그가 죽은 후, 독일 군인들은 음콰와의 머리를 제거했다. 이 두개골은 베를린으로 보내졌고 아마도 우베르세 무세움 브레멘으로 보내졌을 것이다. 1918년 당시 독일 동아프리카의 영국 행정관이었던 호레이스 바이트는 전쟁 중 영국인과의 협력에 대해 와헤에게 보상하고 독일 권력의 최종 종말 지역민들을 보증하는 상징을 가지기 위해 탕가니카에게 두개골의 반환을 요구해야 한다고 정부에 제안했다. 이 두개골의 반환은 1919년 베르사유 조약에서 규정되었다.

제246조. 본 조약의 발효로부터 6개월 이내에 ... 독일은 독일 동아프리카 보호국에서 제거돼 독일로 끌려간 술탄 음콰와 해골을 영국 국왕정부에 넘길 예정이다.

독일인들은 동아프리카에서 발견된 두개골의 제거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고 영국 정부는 행방을 추적할 수 없다는 입장을 취했다.[7]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후 탕가니카 총독 에드워드 트위닝 경이 다시 이 문제를 떠맡았다. 문의 후 그는 1953년에 직접 방문했던 브레멘 박물관으로 향했다. 그 박물관은 2000개의 두개골들을 소장하고 있었는데, 그 중 84개는 옛 독일 동아프리카에서 유래되었다. 그는 음콰와 서장의 생존 친척들과 유사한 치수를 보여주는 두개골들을 나열했다. 이 선택에서 그는 총알 구멍이 있는 유일한 두개골을 음콰와 서장의 두개골로 골랐다. 이 두개골은 1954년 7월 9일에 마침내 반환되었고, 현재 이링가 마을 근처 칼렝가의 음카와 기념 박물관에 살고 있다.

참고 항목

메모들

  1. ^ 음콰와의 시체를 발견한 독일 병사의 보고에 따르면, 음콰와가 죽은 날짜는 1898년[1][2][3] 7월 19일이라고 한다.

참조

  1. ^ 베리히트 데 펠드웨벨스 메르클, 바르크 R1001, 289
  2. ^ Beck, Paul. "THE COLONIAL WARS OF IMPERIAL GERMANY". Savage Soldier Online. Retrieved March 12, 2020.
  3. ^ "Makaua the freedom fighter". mkwawa.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5, 2004. Retrieved March 12, 2020.
  4. ^ Zane, Damian (28 June 2019). "Why is an African chief's skull mentioned in the Versailles Treaty?". BBC News.
  5. ^ 일리프, 존(1979년). 탕가니카의 현대사. 케임브리지, 페이지 115
  6. ^ a b c Willoughby, Pamela R.; Biittner, Katie M.; Bushozi, Pastory M.; Miller, Jennifer M. (2019-07-09). "A German Rifle Casing and Chief Mkwawa of the Wahehe: the Colonial and Post-Colonial Significance of Mlambalasi Rockshelter, Iringa Region, Tanzania". Journal of African Archaeology. 17 (1): 23–35. doi:10.1163/21915784-20190004. ISSN 1612-1651.
  7. ^ "Why is a Tanzanian chief's skull mentioned in the Versailles Treaty?". Retrieved 21 February 2021.

추가 읽기

  • 마틴 배어, 올라프 슈뢰터: 에인 코프야그드. 오스타프리카의 도이치죠 베를린 2001.
  • 두볼드, 홀저: 슈츠루페 독일-오스타프리카.
  • 니그만, 에른스트: 다이 와헤: 이헤르 게시히테, 쿨트, 레흐츠, 크리그스 우, 자그드 게브루체. 베를린: 미틀러 1908.
  • 니그만, 에른스트: 게스키히테 데르 카이슬리헨 슈츠루페 퓌르 독일-오스타프리카. 베를린: 미틀러 1911.
  • 파테라, 허버트: Der Weiße Herr Ohnefurcht: Das Leben des Schutzruppenhaupanns Tom von Prince. 1939년 베를린.
  • 왕자, : 게겐 아라버 und 와헤: 에린네룽겐 아우스 마이너 오스타프리카니셴 뤼트난체이 1890-1895. 1914년 베를린.
  • 레드메인, 앨리슨 호프: 탕가니카의 와헤족. 옥스퍼드 1965년
  • 레드메인, 앨리슨: 헤헤. 1900년 이전 탄자니아.
  • 작은 전쟁과 반란. 런던: 테일러 & 프랜시스, ISSN 1743-9558, 온라인 자원.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