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토퍼 길버그
Christopher Gillberg크리스토퍼 길버그 | |
---|---|
태어난 | |
국적 | 스웨덴의 |
직업 | 교수 |
가끔 아내 카리나 길버그와 함께 길버그와 길버그로 출간된 라르스 크리스토퍼 길버그(1950년 4월 19일생)는 스웨덴 고텐부르크의 고텐부르크대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런던대 아동보건연구소(ICH) 명예교수다.[1]뉴욕 버겐, 오덴세, 세인트조지스(런던 대학), 샌프란시스코, 글래스고우와 스트라스클라이드 대학에서도 초빙교수를 지냈다.[2][3]
크리스토퍼 길버그의 광범위한 연구(PubMed 데이터 베이스에 지수화된 500개 이상의 간행물)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ADHD, 간질, 지적 장애, 반대급부 반항 장애/전도 장애, 투렛 등의 분야에서 아동·청소년 신경정신과/개발의학 분야에 크게 기여했다.e 증후군과 거식증 신경증.그는 세계에서 자폐증에 대한 가장 생산적인 연구자다.그의 연구는 기초 신경과학, 유전학, 역학에서부터 임상 발표와 예후, 개입과 치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유럽아동청소년정신과학저널(European Child & Youthenchios)의 창립 편집자로, 많은 과학 및 교육 서적의 저자와 편집자로 있으며, 이 분야에서 적어도 30여권의 책을 저술했으며, 이 책들은 매우 다양한 언어로 출판되었다.
미디어 회사인 톰슨 로이터는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다양한 과학 저널에 가장 많이 인용된 연구자들을 열거했다.크리스토퍼 길버그는 이 목록에 포함된 의학 분야의 15명의 스웨덴 연구원 중 한 명이다.
수상
질버그 교수는 1991년 펀스트룀, 1995년 잉그바르상, 1998년 로널드 맥도널드 소아과 전공상, 2001년 에그렌스카 주요의학상, 2004년 필립스 노르딕상 등 여러 연구상을 받았다.비밀과 비밀 유지와 기밀 유지2009년 스웨덴의 칼 16세 구스타프는 길버그에게 아동청소년 정신의학 분야에 기여한 공로로 '세라핌의 왕 훈장'을 수여했다.[4]그는 유전자 연구로 달버그 상을 받았고, 2010년에는 자폐증 연구로 라이프 워치 상을 받았다.2012년 그는 스웨덴에서 가장 권위 있는 과학 영예 중 하나인 소데르베르크 의학상("작은 노벨상")을 받았다.이 상은 토르스텐 소데르베르크 재단과 라그나 소데르베르크 재단이 후원하고 있으며, 스톡홀름의 스웨덴 의학 협회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수여되었다.수상 정당성에서는 크리스토퍼 길버그가 "특정 연구 결과와 인간과 환자를 생물 심리학적으로 보는 다재다능한 관점을 결합하는 현명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젊은 연구자들의 감독에 대한 그의 의지도 부각됐다.
크리스토퍼 길버그 교수가 12일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 열린 자폐연구 국제회의(IMFAR)에서 권위 있는 2016 INSAR 평생공로상을 수상했다.자폐연구회(INSAR)는 수상자를 지명하는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기관이다.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대한 날카로운 지식INSAR 평생공로상은 해당 분야에 지속적인 영향을 끼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연구에 상당한 근본적 기여를 한 개인을 인정한다.
2010년에는 고텐부르크 대학교의 Sahlgrenska Academy의 신경과학 및 생리학 연구소 내에 길버그 신경정신과 센터(GNC)가 설립되었다.이 센터는 2011년 5월 HM 퀸 실비아에 의해 공식 출범했다.GNC는 자폐증, ADHD, 반대편항진장애/행동장애(ODD/CD), 거식증, 지적발달장애, 언어장애, 난독증, 간질, 뇌전두 및 기타 ESS(신경발달성 임상시험 도출 초기증상증후군) 등의 연구 분야의 젊은 과학자를 모집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인니션스2013년 1월 약 58명의 연구원이 GNC와 연계되었다.GNC의 직원과 다른 국가의 협력자들은 아동 및 청소년 정신의학, 아동 신경학, 분자 유전학, 지역사회 의학, 일차 진료, 역학, 통계학, 쌍둥이 방법론에서 일한다.외부 협력자로는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글래스고 대학, 에든버러 대학, 버겐 대학, 카롤린스카 연구소, 고치 대학, 고치 현, 영 간질, INSERM과 파스퇴르 연구소가 있다.GNC는 또한 과학적이고 대중적인 과학 출판물을 이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웹사이트(www.gnc.gu.se)의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국제 회의의 조직화를 통해 연구의 보급이 보장되도록 노력한다.
논란
길버그는 또한 의료 기록의 비밀 유지와 관련된 논쟁에서 그의 역할로 유명하다.[5]이 논쟁은 1977년 고텐부르크 대학교에서 시작된 ADHD/DAMP에 대한 초기 종방향 연구에 참여한 어린이 그룹에 대한 의료 기록과 기타 개인 데이터에 대한 스웨덴 공공 접근 원칙(Offentighets principen)에 따른 일반인의 접근을 포함했다.[6]앞서 연구의 무결성에 의문을 제기했던 DAMF와 ADHD진단에 정보자유법을 발동해 그들의 비판자 2명은 스웨덴 대한 사기 혐의가 지역 윤리위원회에 의해 조사되고 공식적으로 기각된 후 연구의 원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7]이 연구에 참여한 길버그와 두 명의 수석 내과의사는 참여자의 부모가 자녀들을 대신하여 사전동의하기 전에 서면으로 기밀을 약속받았기 때문에 의료윤리 원칙이 민감한 개인 및 의료 데이터를 넘기는 것을 막았다고 말했다.그러나 법원은 이 연구와 관련된 모든 파일을 공개하도록 한 것은 '공중접근의 원칙'에 따른 것이라고 판결했다.두 명의 주치의는 참가자들에 대한 기밀 유지 약속을 어기는 대신, 대학 관리자와 함께 연구의 민감한 파일들을 파쇄했다.[6][8]이듬해 이 대학 신경정신과장을 지낸 길버그 교수와 대학 부총장은 법원 명령에 따라 문건을 공개하지 않은 정부기관 공무원 자격으로 '직무 위반' 혐의로 유죄와 벌금형을 선고받았다.[9]
자폐증 연구
1980년대 초 로나 윙과 길버그에 의해 '자율 스펙트럼'이라는 개념이 도입되었다.[10]길버그는 학창시절 내내 자폐증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해왔다.2003년 토마스 부르제론, 마리온 르보이어, 길버그가 이끄는 파스퇴르 연구소의 프랑스와 스웨덴 연구팀과 고텐부르크 대학교와 파리 대학교의 정신과에서 자폐증을 가진 개인에서 처음으로 정밀하게 확인된 유전적 돌연변이를 발견했다.[11]연구팀은 여러 구성원이 영향을 받는 두 가족에서 시냅스 형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이는 X염색체의 두 유전자를 변형한 돌연변이를 확인했다.길버그와 마리온 르보이어가 공동 연구한 파리 자폐증 연구 국제 시브페어 연구(PARIS)와 같은 이전 연구들은 X-크롬섬 지역과 자폐증이 더 일반적으로 연관되어 있다.2003년의 돌파구는 돌연변이의 위치가 NLGN4 유전자와 NGLN3 유전자에 있음을 나타냈다.이 돌연변이는 완전한 단백질이 형성되는 것을 막고 어머니로부터 유전된다.[12]
질버그는 2006년부터 스웨덴 연구위원회(Vetenskapsrådet)가 자금을 조달한 '자율 스펙트럼 조건: 고텐부르크 협력 연구'라는 제목의 대규모 교차 학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2009년 말까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13]이 프로젝트는 아동과 청소년 정신의학과 분자생물학, 신경과학 분야의 과학자들 간의 협력으로 자폐증의 다양한 측면을 연구하는 프랑스, 영국, 미국 연구자들의 국제 연구 팀과 유전적인 부분이 관련되어 있다.그 결과들 중 일부는 2007년에 발표되었다.[14][15]이 프로젝트에는 페로 제도에 대한 유전자 연구도 포함되어 있다.[13][16]
길버그의 아스퍼거 증후군 기준
1989년 길버그는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한 첫 진단 기준을 발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17]그것들은 한스 아스퍼거의 원래 설명에 접착력이 있기 때문에 임상 실습에 적용된다.[18]진단 확인을 위해 다음 6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19]
- 상호적 사회적 상호작용의 심각한 손상(다음 중 최소 2개)
- 또래와 교류할 수 없음
- 동료들과 교류하고 싶은 욕구의 부족
- 사회적 단서의 결여.
- 사회 정서적으로 부적절한 행동
- 모두 흡수되는 좁은 이자(최소한 다음 중 하나)
- 다른 활동의 배제
- 반복 고수
- 의미보다 더 암울한
- 일상 및 이익의 부과(최소한 다음 중 하나 이상)
- 인생의 측면에 있어서.
- 다른 사람에게
- 언어 및 언어 문제(다음 중 최소 3개)
- 지연된 개발
- 피상적으로 완벽한 표현 언어
- 형식적이고 현학적인 언어
- 특이한 목소리 특성.
- 문자/문자적 의미의 오역을 포함한 이해의 손상
- 비언어적 의사소통 문제(다음 중 하나 이상)
- 제스처의 제한적 사용
- 서투른/신체적인 몸짓
- 한정된 얼굴 표정
- 부적절한 표현
- 특이하고 뻣뻣한 시선
- 모터의 부조화 : 신경발달검사에서 성능저조
길버그의 기준은 DSM-IV-TR에 제시된 기준과 다르다.따라서 일부 학자들은 "다른 학문과 비교하기 어렵게 한다"[20]고 비판해 왔다.일부 연구 집단이 길버그의 연구 결과 중 일부를 복제하지 못한 것은 "주로 진단 접근방식의 근본적인 차이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20]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습기, MBD 및 ADHD
1970년대에 길버그는 스칸디나비아에서 주로 사용되는 개념인 주의력, 모터 제어 및 인식의 결핍(DAMP) 개념을 개발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21][22]DAMM 개념은 최근 출판물에 사용된 것으로서, ADHD를 발달 조정 장애(Development Coordination Disorder)와 결합하여 언급하고 있다.길버그에 따르면, 그것은 "HKD(Hyperkinetic Disorder)의 WHO 개념과 개념적으로 유사하지만 임상적으로 동일하지는 않은 ADHD 진단 범주의 하위그룹"을 구성하고, "세븐이 없는 어린이의 동반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 및 발달 조정 장애"에 기초하여 진단된다.장애나 뇌성마비를 배우다"라고 말했다.[23]
일부 학자들은 ADHD와 DCD의 집단화에 동의하지 않으며, 그것들은 관련이 없다는 주장을 가지고 있다.[24]길버그는 2003년 "분열(ADHD+개발조정장애(DCD)와 덩어리(DAMP) 사이의 갈등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에 대해 매우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고 느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DAMP 구조는 ADHD와 그렇지 않은 여러 니즈를 가진 아이들의 그룹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다.스칸디나비아 연구 이전에는 주의력 문제가 있는 개인이 움직임, 지각, 기억력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인식도 연구에서 거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23][24]다양한 연구에 따르면, ADHD를 앓고 있는 아이들의 절반도 DCD를 가지고 있다.[25]
ADHD 개념의 발달로, 이전, 덜 정밀하게, MBD(Minimal Brain Disposition)의 범주가 바뀌면서, "1950년대부터 1980년대 초까지 아동 정신의학과 발달 소아과에서 거의 보편적으로 고용된 용어"[23]가 대체되었다.길버그는 1970년대 후반 ADHD가 여전히 MBD로 불리며 DAMP 개념이 ADHD라는 용어가 도입되고 국제적으로 사용되면서 DAMP 개념이 조정되면서 DAMP를 연구하기 시작했다.1990년경 DAMP는 북유럽 2개국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진단 개념이 되었으나,[26] 1994년 DSM-IV가 등장하면서 DAMP는 DSM-IV에 의해 정의된 DCD와 결합한 ADHD와 본질적으로 동등하기 때문에 많은 국가에서 DAMP는 중복된 용어로 간주되었다.[23][27] Gillberg의 DAMP에 대한 4가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DSM-IV에 정의된 ADHD;
- DSM-IV에 정의된 발달 조정 장애
- 뇌성마비로 인해 상태가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 IQ는 약 50보다 높다[Gillberg, 2003: 박스 1].
길버그에 따르면, 임상적으로 심각한 형태 DAMM(또는 ADHD+DCD)은 학령기 아동 일반 인구의 약 1.5%에 영향을 미치고, 또 다른 몇 퍼센트는 더 온건한 변형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남자아이들은 과잉 대표되어 있고, 여자아이들은 아마도 현재 진단을 덜 받고 있을 것이다.행동 장애, 우울증/불안증, 학업 실패 등 중복되는 조건이 많다.심각한 DAMM에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강한 연관성이 있다. 가족적인 요인과 임신 전 및 산전 위험 요인은 분산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심리사회적 위험요인은 DAMM에 현저한 정신이상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초기 성년기의 결과는 미제사건의 거의 60%에서 한 연구에서 정신사회적으로 빈약했다.ADHD 환자들의 약 절반은 DCD를 가지고 있고, 반대로 ADHD는 모든 DCD 환자들의 약 절반에서 발생한다.[23]
길버그는 DAMP, ADHD 및 관련 조건에 대한 8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23]
소송사건
길버그의 연구 프로젝트 중 하나인 고텐부르크 연구는 뜨거운 논란의 중심이 되었다.[28][29]이번 논란은 스웨덴에서 공적자금 활동의 투명성을 지원하는 '공익접근의 원칙'이 인간 주체가 관련된 의학 연구에서 수집된 민감한 데이터에 어느 정도까지 적용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한 것이다.[5][30]2003년, 고텐부르크 대학교는 길버그와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행해진 종방향 정신의학 연구에 참여한 어린이들에 대한 의료 기록과 기타 민감한 자료를 정보 자유법에 의거한 두 사람에게 공개하라는 법원 명령을 받았다; 이것은 아노니미라는 연구자들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졌다.zation은 연구의 성격과 기간 때문에 실현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았다(소규모의 참가자가 16년간 추적되어 왔으며, 자료에는 테이프 인터뷰, 의료기록, 범죄기록, 학교생활기록부, 정신건강평가 등의 조합이 포함되었다.[6][8][31]법원은 어린이와 가족의 이익이 보호될 수 있도록 접근 조건을 정하라고 대학 측에 명령했다.[8]
2003년 4월, 대학의 부총장은, 접근을 요청하는 사람 중 한 명인 사회학자 에바 케르프베는 윤리 검토 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고, 관련된 각 개인은 에바 케르프베와 레이프 엘린더에 의해 자신에 대한 문서가 읽히기 전에 동의를 해야 한다는 조건을 설정했다.접근 권한을 요청한 다른 [8]사람그러나 케르프베와 엘린더는 대학의 조건에 항소했고 행정심판원은 조건이 불합리하다고 판결했다.스웨덴 정부연구자문위원 출신인 스톡홀름 왕립기술원(KTH) 철학과 역사학부 스벤 오브 한손 교수는 이번 사건을 분석한 결과 행정심판법원이 무효라는 점이 특히 흥미롭다.그는 개별 연구 주제에 대한 민감한 데이터에 접근하기 전에 윤리 검토 위원회의 개별적인 동의와 승인을 요구하기로 고텐부르크 대학의 결정을 내렸다.이는 과학계 자체 연구주체 보호체계의 초석 중 두 가지라고 말했다.[8]
배경
1996년부터 소아과 의사인 레이프 엘린더는 길버그의 연구를 비판하며 길버그가 보고한 수치가 지어낸 것이라고 주장했다.[32]엘린더는 룬드 대학의 사회학자 에바 케르프브와 인연을 맺게 되었는데, 그의 연구는 유럽의 초기 마녀사냥과 중세신화에 바쳐져 왔다.그들은 그들의 비판을 조정했고 케르프베는 2000년에 출판된 책을 썼는데 DAMP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 특히 길버그에 관한 연구를 거부했다.[33]스웨덴의 다른 정신과 의사들과 신경과학자들은 길버그 단체를 옹호하면서 엘린더와 케르프베가 과학적 비판에서 인신공격과 비방까지 도를 넘었다고 주장했다.[34][35]이 갈등은 2002년 케르프베와 엘린더가 길버그 집단의 과학적 위법행위를 고발하며 고텐부르크 대학에 별도의 서한을 쓰면서 더욱 증폭됐다.[36][37]그 고발은 윤리위원회의 조사를 받고 기각되었다.[38][39][40]
엘린더와 케르프브도 주 DAMM 연구를 위한 원래의 연구 자료에 대한 접근을 요구했다.엘린더와 케르프브는 스웨덴의 기본법에서 시민들에게 정부 문서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했다.[41][42]대학과 길버그 그룹, 연구 참여자들은 이 결정에 강하게 반대했는데, 이 자료에는 의료 기록과 그 밖의 민감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참가자들에게 완전한 기밀을 약속받았다는 것이다.[41][42][43][44]고등법원은 참가자들, 연구자들, 그리고 그들의 기관이 이 결정에 대해 공식적으로 항소할 권리가 없다고 판결했다.[45]모든 법적 수단이 다 소진되자 길버그의 동료 두 명과 대학 행정관이 12-27년 된 연구 자료를 파괴했다.법적 여파 속에서 길버그와 고텐부르크대 교장은 행정법원의 결정에 따르지 않은 것에 대해 '직권남용' 혐의가 인정됐다.[46]
두 명의 연구자(둘 다 질베르그와 결혼한 사흘렌스카 대학병원의 수석 내과의사)는 연구 대상자들에게 내려진 비밀 보장 약속과 가족들로부터 원하지 않는다는 이의 편지를 참고해 파일을 파쇄하기로 한 결정을 옹호했다.개인 데이터 사용 또는 개인과 공유.그들은 파일을 넘기는 것은 연구자들과 대학이 서면 합의를 이행하지 못한 것에 대한 피험자들의 잠재적인 소송에 노출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47]그들은 정부 재산을 파괴한 죄로 유죄판결을 받고 벌금형을 받았다.[46]
2005년 7월, Gothenburg의 하부 형사법원은 Kérfve와 Elinder의 권리를 유지하여 대학이 여전히 보유하고 있는 Gothenburg 연구의 자료를 볼 수 있었다.법원은 길버그에게 "직권 남용"에 대해 벌금을 부과했다.[48]
2006년 길버그는 유럽인권재판소(ECHR)에 제소했다.[6][49]2008년 6월 17일, ECHR은 이 사건에[50] 대한 "소통 결정"을 발표하였고, 스웨덴 정부에 의견 요청서가 제출되었으며, 2008년 10월 15일 이 혐의에 대한 초기 대응 시한이 있었다.[51]
판결에 대한 반응
스웨덴 법원이 평론가 두 명에게 자료 열람을 허가한 판결은 논란이 됐다.연구 참가자들이 길버그로부터 연락을 받고 자료를 공개할 준비가 돼 있느냐고 묻자 한 가족을 제외한 모든 가족이 거절했다.[46]길버그와 다른 연구원들은 그 점을 들어, 그리고 참가자들에게 전제조건으로 주어진 비밀 유지에 대한 약속을 들어, 개인 데이터를 넘기지 않기로 결정했다.[52]267명의 스웨덴 의사들이 자료를 넘겨주지 않기로 한 길버그의 결정을 지지하는 서한에 서명했다.[53]요한 뭉크 스웨덴 중앙윤리심의위원회 위원장은 판결 후 스웨덴 법률에서 공공접근의[54] 원칙은 절대 기밀성의 약속과 양립할 수 없으며 따라서 중앙윤리심의위원회는 더 이상 그러한 약속을 승인하지 않는다고 말했다.[55]카롤린스카 연구소의 마틴 잉그바르에 따르면, 스웨덴의 의학 연구자들은 판결 때문에 현재의 관행을 바꿀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한다.잉그바는 스웨덴의 의학 연구는 비용 증가와 오류의 더 큰 여백에도 불구하고 장기간에 걸쳐 수집된 많은 양의 임상 물질을 포함하는 질버그와 같은 광범위한 연구에서도 이제 엄격한 익명화 부호화를 준수해야 한다고 언론에 말했다.[30]
엘리자베스 라이닝 웁살라대 의학법학과 교수는 법원이 관련 법을 충분히 알고 있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이러한 종류의 기록에 대한 접근은 연구의 목적이나 통계 수집을 위해서만 허가될 수 있다.엘린더는 신청서에 그런 목적을 명시하지 않았고, 케르프베는 그 자료가 실제로 연구 프로젝트에 사용된다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연구에 유용할 것이라고만 주장해 왔다.그녀는 사실 그녀의 연구 프로젝트에 그 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허락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것은 윤리 위원회의 사전 승인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엘린더와 케르프베가 민간인으로 자료를 요청하면서 동시에 전문역량에서 필요하다고 밝힌 문제도 있었다.만약 그들이 고용주 대표로서 자료를 요청했다면, 법원은 사법권을 갖지 않았을 것이다.마침내 라이닝은 엘린더와 케르프베가 그 자료에 대한 완전한 접근권을 갖게 된다면, 법이 요구하는 대로 아무도 다치지 않을 것이라고 법원이 어떻게 결정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몇몇 참가자들은 엘린더와 케르프베가 자신의 의료기록을 읽을 수 있다면 크게 불쾌하고 상처받을 것이라고 법원에 증언했다.[56]
스웨덴 의회 옴부즈만도 이 사건을 조사했다.[9]옴부즈맨의 연례보고서에서 이 사건을 전담하는 18페이지 분량의 요약본에서 길버그와 고텐부르크 대학은 정보자유법을 위반해 국가 소속 기록물에 대한 케르프베와 엘린더의 민사 접근권을 침해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9]하급법원과 항소법원은 모두 길버그가 문서 공개와 관련해 불응함에 따른 직무유기 혐의에 대해 만장일치로 유죄를 선고했고, 스웨덴 대법원은 길버그의 직무유기 사건을 재심 청구하는 데 동의하지 않았다.스웨덴 의회 옴부즈만은 길버그가 재판에서 "의료윤리와 연구윤리에 의해 연구 참여자와 그들의 피부 상태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지 못하게 됐다"고 우려한 데 대해 "세계가 작성한 국제 선언문"이라고 밝혔다. 의료협회와 유럽협약 [...]도 이들을 스웨덴 법보다 우선한다고 볼 수 있는 업무로 분류하지 않는다."국회 옴부즈만은 또 "문건 공개를 요청하기 전에는 비밀 유지와 관련된 사안에 대해 결정을 내릴 수 없다"고 밝혔다.따라서 위에서 인용한 기밀성의 보장은 현행법이나 법원의 법령 적용보다 우선할 수 없다.[9]
법 개정 및 토론
2003년, 스웨덴 의회인 Ricksdagen에 두 개인에게 민감한 개인 정보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재판 과정에서 제기된 비밀 문제 때문에 법안이 도입되었다.[57]이 법안은 통과되지 않았으나, 2004년에 인간 관련 연구의 윤리적 검토에 관한 새로운 법이 도입되었다.의료 연구에 참여하는 인간 대상자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고 윤리 위원회의 범위를 확대하는 한편, 스웨덴 법률을 유럽 위원회 지침에 더 가깝게 하기 위해 변경사항이 시행되었다.[58]의학 연구를 지배하는 공식적인 법률은 2008년에 더 조정되었다: 현재 스웨덴에서는 윤리적인 검토가 법적으로 요구되고, 검토 위원회는 공식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8] 의료 연구의 참여자들에 의해 어느 시점에서든 동의가 철회될 수 있다.[59]그러나 의학연구계에서는 과학적 비위행위로 누명을 쓴 연구자에 대한 추가적인 안전장치에 대한 법 개정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으며, 과학적 비위행위에 대한 조사가 정확하고 법적으로 안전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60]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대표자들 사이의 이 사건에 대한 논쟁은 대중 언론과 언론에서 계속되었다.2007년, 이 논쟁은 과학 저널리스트 반나 벡먼의 책으로,[61] 그들이 토론에서 활약하면서 생물학과 사회학의 더 큰 이슈에 초점을 맞추어, 다양한 종교 집단이 주도하는 심리학과 정신의학 분야의 연구에 대한 이념적 싸움을 서술한 책으로 귀결되었다.[62]2008년 4월, 뜨거운 논쟁이 된 텔레비전[63][64][65][66] 다큐멘터리가 스웨덴 텔레비전에서 방영되었는데, 여기서 케르프베와 에린더는 문서 파쇄에 대한 우려를 방송하기 위해 다시 주목을 받았다.[67]그러나 2008년 상소위원회가 해당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공정성이 결여되어 있다고 비난한 이후 이 프로그램은 중단되었다.
자세한 내용 보기
메모들
- ^ 직원 명단.IH, 학부, 신경과학.2008년 5월 23일 검색됨
- ^ Munk-Jørgensen, P. (2003). "Biographies".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08 (2): 160. doi:10.1034/j.1600-0447.2003.00154.x.
- ^ Modern Access in Learning Disability Conference 2008년 12월 3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발달 장애 연구 그룹(DDREG) 2005년 연례 회의, 사우스웨스트 교육, 연구 및 개발 센터.2008년 5월 23일 검색됨
- ^ Christopher Gillberg 교수는 H.M.을 수여했다. 2012년 2월 24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킹스 메달.고텐부르크 대학교, 2009년 1월 30일.2009년 6월 16일 검색됨
- ^ a b White, Caroline (2005). "Clash over public access rights and patient confidentiality sparks trial". British Medical Journal. 330 (7486): 273. doi:10.1136/bmj.330.7486.273-a. PMC 548200.
- ^ a b c d Gornall, Jonathan(2007)이다."아이들의 과잉행동: 길버그 사건"BMJ, 335 (7616): 370–373, 2007)
- ^ 비외크만, 바브로, 스벤 오브 한손(2006)이다."스웨덴의 생명윤리학"케임브리지 분기별 의료 윤리학.뉴욕: 2006년 여름.제15권 제3호, 제285권–293권 : "사건을 연구한 결과 위원회는 고발할 근거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그 단계에서 케르프베와 엘린더는 특이한 걸음을 내디뎠다.그들은 스웨덴 정보자유법을 발동하고 길버그의 연구기록에 대한 접근을 요구했다.이는 고텐부르크 대학교가 거의 모든 스웨덴 대학과 마찬가지로 정부 기관이고 스웨덴도 중요한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비밀이 필요하지 않는 한 공문서에 대한 대중의 자유로운 접근을 보장하는 광범위한 법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했다.
- ^ a b c d e f 비외크만, 바브로, 스벤 오브 한손(2006)이다."스웨덴의 생명윤리학"케임브리지 분기별 의료 윤리학.뉴욕: 2006년 여름.제15권 제3호; 페이지 285–293.
- ^ a b c d 문서 공개 등에 관한 행정심판원의 판단을 따르지 않아 발생한 업무상 배임에 대한 고텐부르크대 직원 기소(Reg. 제1568-2003호, 1606–2003)Redogörelse 2006/07:JO1 Justitieombudsménens abmbetsberetelse (2005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 기간 스웨덴 의회 옴부즈만 보고서), 영어 요약 페이지 613–631.
- ^ 길버그, C. (2006) "자율주의 스펙트럼 장애"임상전문가의 아동청소년 편람.에드. 크리스토퍼 길버그, 리처드 해링턴, 한스-크리스토프 스타인하우젠.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2006.ISBN 0-521-81936-9, 페이지 447.
- ^ 고슬라인, 안나"자폐증을 풀기 위한 로드맵이 드러났다.2005년 6월 28일 뉴 사이언티스트2006년 8월 20일 회수.
- ^ Betancur, Catalina; et al. (2003). "Mutations of the X-linked genes encoding neuroligins NLGN3 and NLGN4 are associated with autism". Nature Genetics. 34 (1): 27–29. doi:10.1038/ng1136. PMC 1925054. PMID 12669065. 보도자료: "자폐증과 관련된 두 개의 유전자" 2006년 9월 12일 웨이백머신에 보관되었다.2003년 3월 31일 파리 대학 파스퇴르 연구소의 기자실.2006년 8월 20일 회수.
- ^ a b 베텐스캅스르디트Detaljerad 정보 för diarienr 2006–3449 웨이백머신: Gillberg, Christopher "정신과 질환"에 2010년 5월 24일 보관.2006년 11월 8일(스웨덴어).2008년 5월 6일 검색됨
- ^ 크리스토퍼 길버그는 2012년 2월 9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했다.과학 공용.2008년 5월 6일 검색됨
- ^ Buxbaum JD, Cai G, Nygren G, et al. (2007). "Mutation analysis of the NSD1 gene in pati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macrocephaly". BMC Med. Genet. 8: 68. doi:10.1186/1471-2350-8-68. PMC 2248565. PMID 18001468.
- ^ 엘렙슨, 아사 외(2008)."파로 제도의 오토리즘.역학 연구".자폐증 및 발달장애 저널, 37-3(2007년 3월), 페이지 437-4444.
- ^ 앳우드, 토니(2006년).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한 완벽한 가이드.제시카 킹슬리 출판사, 2006년ISBN 1-84310-495-495-4, p.36 : "[1988년 런던에서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한 소규모 국제회의에서] 논의 결과 중 하나는 1991년 개정된 1989년 첫 진단 기준을 발표한 것이었다(길버그 1991년, 길버그와 질버그 1989년).
- ^ 앳우드, 토니(2006년).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한 완벽한 가이드.제시카 킹슬리 출판사, 2006년ISBN 1-84310-495-495-4, 페이지 36: "스웨덴과 런던에 본사를 둔 크리스토퍼 길버그의 기준은 아스퍼거의 원래 서술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남아 있다.따라서 이러한 것들이 나와 많은 경험이 풍부한 임상의들이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기준이라고 말했다.
- ^ Gillberg IC, Gillberg C (July 1989). "Asperger syndrome—some epidemiological considerations: a research note". J Child Psychol Psychiatry. 30 (4): 631–638. doi:10.1111/j.1469-7610.1989.tb00275.x. PMID 2670981.
- ^ a b Klin Ami; Pauls, David; Schultz, Robert; Volkmar, Fred (2005). "Three Diagnostic Approaches to Asperger Syndrome: Implications for Research".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5 (2): 221–234. doi:10.1007/s10803-004-2001-y. PMID 15909408.
- ^ 길버그, C. (2003)"관심, 모터 제어 및 인식의 정의: 간략한 검토"유년기 질병 기록 보관소.런던:2003년 10월.제88권, Is. 10; 페이지 904: "스칸디나비아에서는 DAMP(주의, 모터 제어, 지각의 정의) 개념이 1970년대에 MSM-III-R (ADHD가 최초로 정형화된 패션으로 등장하기 훨씬 전에 MBD의 신드롬을 작동시키기 위한 시도로 개발되었다."
- ^ 테보, 레이먼드 C. 외(2002)."ADHD와 운동장애가 있는 아동에 비해 ADHD와 운동장애가 있는 아동은 ADHD에만 해당된다."발달의학과 아동 신경학 2002; 44, 페이지 383: "DCD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와 같이 별도로 식별된 장애는 상당한 중복이 있기 때문에 진단 확립이 종종 어렵다(Bax 1999).주의력 문제가 있는 아이는 움직임, 지각, 기억력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길버그와 라스무센 1982a,b).스칸디나비아에서는 이와 같이 겹치는 증상과 징후는 주의력, 운동 제어력, 지각력(DAMP)의 결함으로 표시된다."
- ^ a b c d e f Gillberg, Christopher (2003). "Deficits in attention, motor control, and perception: a brief review".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88 (10): 904–910. doi:10.1136/adc.88.10.904. PMC 1719331. PMID 14500312.
- ^ a b Tervo Raymond C.; et al. (2002). "Children with ADHD and motor dysfunction compared with children with ADHD only".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2002 (44): 383–390. doi:10.1111/j.1469-8749.2002.tb00832.x.
- ^ Martin, Neilson C.; Piek Jan P; Hay, David (February 2006). "DCD and ADHD: A genetic study of their shared aetiology". Human Movement Science. The Association for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5 (1): 110–124. doi:10.1016/j.humov.2005.10.006. ISSN 0167-9457. PMID 16442650.
- ^ Airaksinen E; Bille B; Carlström G; Diderichsen J; Ehlers S; Gillberg C; et al. (1991). "Barn och ungdomar med DAMP/MBD". Läkartidningen. 88: 714.
- ^ Gillberg, Christopher (1999). "Nordisk enighet om DAMP/ADHD – Aktuellt dokument sammanfattar dagens kunskap". Läkartidningen. 96: 3330–3331.
- ^ 하트, 데보라, 토마스 케네디."5퍼센트의 아이들이 DAMP를 가지고 있을지도 모른다." 마인드 오디세이: 2001년 7월 11일 런던 왕립 정신과의사 대학 과학과 돌봄.2006년 8월 20일 회수.
- ^ 케네디, 크리스티나"아플뢰더 뫼트데 덴 å탈레이드 길베르크 우탄포르 레트살렌"[permanent dead link] ("기소된 길버그는 법정 밖에서 박수를 받는다")Dagens Medicin, 2005년 6월 2일 스웨덴어로 온라인판.2006년 8월 20일 회수.Paragraph 1: "Efter år av böcker, myndighetsbeslut, överklagade domar och ett oändligt antal debattartiklar landade forskarstriden slutligen i tingsrätten i förra veckan." (After years of books, decisions by government authorities, appeals and an endless number of debate articles, the research dispute finally landed in district court last week.)
- ^ a b 오스발드, 클라라 " 크리스토퍼 길버그 펠데스 교수"2007년 3월 13일 웨이백 머신("Christopher Gillberg 교수 유죄판결") 에코트, 스베리그스 라디오, 2005년 6월 27일 스웨덴어로 보관.2006년 8월 20일 회수.
- ^ 라스무센, 페더괴테보르그스튜디오 2008년 5월 25일 웨이백머신에 보관.2008년 8월 23일 회수.스웨덴어로.
- ^ Elinder, Leif (12 December 1996). "Läs- och skrivsvårigheter" (in Swedish). Uppsala Nya Tidning.Elinder, Leif (19 February 1997). "Det diagnostiska samhället" (in Swedish). Uppsala Nya Tidning. Elinder, Leif (30 September 1997). "Medicinska diagnoser löser inte skolans problem" (in Swedish). Svenska Dagbladet. p. 12. Elinder, Leif (1997). "Dyslexi, DAMP och Aspergers syndrom – Friska sjukförklaras i ett diagnostiskt samhälle". Läkartidningen. 94 (39): 3391–3393.Elinder, Leif (13 February 1998). "Dyslexi och neuropsykiatrin" (in Swedish). Uppsala Nya Tidning. Elinder, Leif (1998). "Klassificering på gott och ont" (in Swedish). No. 17. Psykologtidningen. pp. 19–20.
- ^ Kärfve, Eva (2000). Hjärnspöken – Damp och hotet mot folkhälsan (in Swedish). Brutus Östlings Bokförlag Symposion. ISBN 978-91-7139-482-8.
- ^ Fernell, Elisabeth; Arvidsson, Jan; Larsson, Christer; al (8 November 2000). "Börjar likna personförföljelse" (in Swedish). Svenska Dagbladet. p. 12.
- ^ 베제롯, 수잔 외"Rettshaverist skadar damforskningen." 섹스 사이키아트리프스카레 크래버 에트 슬럿 프 å Mngngårig personlig kampanj' ('Litigious consistory는 습기찬 연구에 해를 끼친다.정신건강의학과 연구원 6명은 오랜 기간 지속된 개인캠페인 중단을 요구하고 있다.Dagens Nyheter, 2003년 1월 22일 p. A04 (A6 A2) 스웨덴어로.2006년 8월 20일 회수.
- ^ Karlsson, Hasse (23 April 2002). "Damp-forskare anmälda av känd kritiker för möjligt fusk" (in Swedish). Dagens Medicin. p. 13.
- ^ Kärfve, Eva (25 January 2003). "Ni försöker tysta ner forskningsfusk. Sociologidocent slår tillbaka mot anklagelserna att hon driver personlig kampanj mot dampforskare" (in Swedish). Dagens Nyheter. pp. A04 (A6 A2).
- ^ "Anmälan mot dampstudie lämnas utan åtgärd" (in Swedish). Tidningarnas Telegrambyrå. 25 February 2003.
- ^ Nordin, Jessica (25 February 2003). "Etiska rådet lämnar dampstudie utan åtgärd" (in Swedish). Dagens Medicin.[영구적 데드링크]
- ^ Grahn, Marie (26 February 2003). "Professor frias från misstanke om fusk vid dampforskning" (in Swedish). Göteborgsposten. p. 9.
- ^ a b Kammarhtten i 괴테보리 6 2003년 2월 6일 Dom i m2002l nr 5741-2002
- ^ a b 캄마라텐 이 괴테보리 6 2003년 2월 6일 돔 맬 nr 6208-2002
- ^ L., K. (5 March 2003). "Ge inte Eva Kärfve min sons journaler (Don't give my son's journals to Eva Kärfve)" (in Swedish). Göteborgsposten. p. 4.
- ^ 알, 비고."Mitt liv ér dömt to offentlight" 2007년 9월 30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내 삶은 공개적인 접근을 금지한다).괴테보르그-포센, 2003년 6월 25일2006년 8월 20일 회수.
- ^ Regeringsretten 2003년 4월 4일 Avgörande i mål nr 1273-03
- ^ a b c White C (July 2005). "Swedish court rules against doctor at centre of row over destroyed research data". BMJ. 331 (7510): 180. doi:10.1136/bmj.331.7510.180-f. PMC 1179809. PMID 16037439.
- ^ 길버그, 크리스토퍼"Forskare ger fastka 뢰프텐" (재조사자들은 거짓 약속을 한다.)브렌펑크트, 스벤스카 다그블라데 2006년 5월 13일2006년 8월 20일 회수.
- ^ White, Caroline (2005). "Swedish court rules against doctor at centre of row over destroyed research data". British Medical Journal. 331 (7510): 180. doi:10.1136/bmj.331.7510.180-f. PMC 1179809. PMID 16037439.
- ^ 크리스토퍼 GILBERG의 스웨덴에 대한 신청서 41723/06번은 2006년 10월 10일에 발표되었다.유럽인권재판소.2008년 8월 23일 회수.
- ^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결정."길버그 대 스웨덴 사건"유럽인권재판소, 2008년 7월 7일 페이지 8. 2008년 8월 23일 회수.
- ^ 훌트그렌, 프레드릭.Europadomstolen tar upp Gillbergafféren.다겐스 메디신, 2008년 8월 13일스웨덴어로.2008년 8월 23일 회수.
- ^ 오스발드, 클라라2007년 3월 11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Rettegåen Archived 11에 따른 Gillberg gav sin syn. (길버그는 재판 중에 그의 견해를 밝혔다.)에코트, 스베리게스 라디오 2005년 5월 25일 스웨덴어로2006년 8월 20일 회수.
- ^ "267 레카레 슈테더 크리스토퍼 길버그 모트 JO"Dagens Medicin 2005년 3월 23일.
- ^ 공공 접근의 원칙.스웨덴 정부, 법무부, 2005년 6월 14일2006년 8월 20일 회수.
- ^ 오스발드, 클라라 " 크리스토퍼 길버그 펠데스 교수"2007년 3월 13일 웨이백 머신("Christopher Gillberg 교수 유죄판결") 에코트, 스베리그스 라디오, 2005년 6월 27일 스웨덴어로 보관.2006년 8월 20일 회수.스웨덴어로 된 원문: "Enligt Johan Munch som ér ordförande i Centrala etikprövningsnmen fungerar den sven med offentlighththtsipen inter tilamans med den hér type ab förbolindelser oms.Derrför godkénner etikprövningsnmn 정수 den typeen av löften i samband léngre."
- ^ 라이닝, 엘리자베스"Domarnas okunskap om lagen tvingade forskare to lagbrot"(판사들의 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연구자들이 법을 어길 수밖에 없었다.Dagens Nyheter 2005년 5월 14일.
- ^ 2003/04:K379.세크레테스 och 취급자 오프런티그(재활용 및 공공 문서).Riksdagen까지의 움직임, 2003/04:K379, Sekretess och 핸들링ars offentlight (Riksdagen에 의한 결정)
- ^ SOU 2005:78 윤리적 검토법의 변경 2007년 9월 28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되었다.2005년 9월 스웨덴 정부 공식 윤리 검토 보고서와 Betenkande av Etikprövningsredningen SOU 2005:78 스웨덴의 웨이백 머신에서 2006년 1월 2일 보관.2006년 8월 20일 회수.
- ^ ""의료 연구" 2008년 6월 16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코덱스.스웨덴 연구 위원회, 2008년 4월 23일.2008년 5월 22일 회수: "2004년 1월 1일, 인간 관련 연구의 윤리적 검토에 관한 법률이 발효되었다. [...] 한 개인의 복지는 지역사회와 과학의 필요성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해야 한다.따라서 연구 참여 동의를 철회할 수 있는 피실험자의 권리 등 안전장치가 즉시 유효한 것이다.[...] 2008년 발효된 법의 변경에 의해 [...] 개인정보 취급의 정의가 재정립된다.특정 개인자료의 취급과 관련된 연구는 연구주체의 사전동의 여부와 관계없이 지금부터 [윤리심의회]에 의해 검토되어야 한다.예를 들어 인터뷰나 조사가 될 수 있는 대상에게 해를 끼칠 위험이 분명히 포함된 연구도 마찬가지로 윤리적으로 조사해야 한다.
- ^ 스텐크비스트, 올라(2008)Anklagelser om forskningsfusk måste hanteras korrekt[permanent dead link]. (연구 부정행위의 고발은 올바르게 처리되어야 한다.)다겐스 메디신2008년 2월 20일(현지 시간) : "불분명한 학대 의혹 처리의 결과는 부정행위 의혹이 이념적, 개인적 갈등 속에서 상대방을 파멸시키려는 시도로 이용되는 악명 높은 길버그 사건처럼 파괴적일 수 있다.레이프 엘린더와 에바 케르프베가 크리스토퍼 길버그의 연구 결과에 대한 논쟁에서 이길 수 없을 때 그들은 그를 부정행위로 고발하기로 결정했다.이들이 언급한 정황 중 부정행위를 의심할 만한 최소한의 이유는 없으며, 과학자들도 모든 의혹에 대해 정식으로 무죄를 선고받지만, 이번 사건은 조사를 정확하고 법적으로 안전하게 처리하지 않는 한 연구자들이 얼마나 무고하고 무고하게 피해를 입을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 ^ 베크만, 바나(2007)Hjérnheldern: Om ADHD, 생물학, 사회학.파버스 우빌딩 AB, 2007.ISBN 978-91-976660-0-8
- ^ 울프스트랜드, 스태판Bittra striidighester i adhd-frågan 2011년 8월 9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ADHD 질문에서 비트터 논란")웁살라 냐 티딩, 2007년 11월 27일 온라인판.스웨덴어로.2008년 4월 20일 회수.
- ^ 훌트그렌, 프레드릭.2008년 6월 8일 웨이백머신("Adhd document critiseras")에 보관된 Adhd-dokumentér kritiseras.Dagens Medicin, 온라인판 2008년 4월 16일 (스웨덴어로)
- ^ 헤이릭, 마르쿠스 외 연구진"SVT desinopherar om am adhd-drabbade" ("SVT는 adhd-drabbade") Dagens Nyheter, 온라인판 2008년 4월 24일. (스웨덴어로)
- ^ 제르실드, P.C. "Sveriges tabloidteve". ("스웨덴 타블로이드 TV") 다겐스 나이터, 온라인판 2008년 5월 3일. (스웨덴어로)
- ^ 훌틴, 키키, 티나 투난더.'길버그 덕케이드' 앙그리프나 SVT 제작자: 'Martin Ingvar hyllar Gillbergruppen med notiousa 논쟁' ('Gillberg ducked')공격을 받고 있는 SVT 제작자들: '마틴 인바르는 관련 없는 주장으로 길버그 그룹을 칭찬한다.'"DN, 온라인판 2008년 5월 6일 (스웨덴어로)
- ^ 훌틴, 키키, 티나 투난더.Fördérvet 2010년 1월 27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1시간짜리 다큐멘터리.2008년 4월 14일 스베리게스 텔레비전. (스웨덴어로)
길버그가 선정한 출판물
저널 기사
- Steffenburg, Suzanne; Gillberg Christopher; Hellgren Lars; et al. (May 1989). "A Twin Study of Autism in Denmark, Finland, Iceland, Norway and Swede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The Association for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0 (3): 405–416. doi:10.1111/j.1469-7610.1989.tb00254.x. ISSN 0021-9630. PMID 2745591.
- Baron-Cohen, Simon; Jane Allen; Christopher Gillberg (December 1992). "Can Autism Be. Detected at 18 Months? The Needle, the Haystack and the CHAT".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The Royal College of Psychiatrists. 161 (6): 839–43. doi:10.1192/bjp.161.6.839. ISSN 0007-1250. PMID 1483172.
- Ehlers S, Gillberg C (1993). "The epidemiology of Asperger's syndrome. A total population study". J Child Psychol Psychiatry. 34 (8): 1327–50. doi:10.1111/j.1469-7610.1993.tb02094.x. PMID 8294522.
- Happe, Francesca; Ehlers Stefan; Fletcher Paul; et al. (20 December 1996). "'Theory of mind' in the brain. Evidence from a PET scan study of Asperger syndrome". NeuroReport. Rapid Science Publishers. 8 (1): 197–201. doi:10.1097/00001756-199612200-00040. hdl:21.11116/0000-0001-A166-6. ISSN 0959-4965. PMID 9051780.
- Philippe, Anne; Martinez Maria; Guilloud-Bataille Michel; et al. (May 1999). "Genome-wide scan for autism susceptibility genes". Human Molecular Genetics. Oxford University Press. 8 (5): 805–812. doi:10.1093/hmg/8.5.805. ISSN 1460-2083. PMID 10196369.
- Jamain, Stéphane; Quach Hélène; Betancur Catalina; et al. (31 March 2003). "Mutations of the X-linked genes encoding neuroligins NLGN3 and NLGN4 are associated with autism". Nature Genetics. Nature Publishing Group. 34 (1): 27–29. doi:10.1038/ng1136. ISSN 1061-4036. PMC 1925054. PMID 12669065.
- Ståhlberg, Ola; Söderström Henrik; Råstam, Maria; et al. (July 2004). "Bipolar disorder, schizophrenia, and other psychotic disorders in adults with childhood onset AD/HD and/or autism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Neural Transmission. Springer Wien. 111 (7): 891–902. doi:10.1007/s00702-004-0115-1. ISSN 0300-9564. PMID 15206005.
- Miller, Marilyn T.; Strömland, Kerstin; Ventura Liana; et al. (April–May 2005). "Autism associated with conditions characterized by developmental errors in early embryogenesis: a mini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Developmental Neuroscience. Elsevier. 23 (2–3): 201–219. doi:10.1016/j.ijdevneu.2004.06.007. ISSN 0736-5748. PMID 15749246.
책들
- Gillberg, Christopher (1981). Neuropsychiatric aspects of perceptual, motor and attentional deficits in seven-year-old Swedish children. Uppsala: Uppsala University. ISBN 978-91-554-1212-8.
- Coleman, Mary; Gillberg, Christopher (1985). The biology of the autistic syndromes. New York: Praeger. ISBN 978-0-03-000834-4.
- Gillberg, Christopher, ed. (1989). Diagnosis and treatment of autism. New York: Plenum Press. ISBN 978-0-306-43481-5.
- Gillberg, Christopher (1995). Clinical Child Neuropsychiat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54335-4.
- Gillberg, Christopher (1997). Barn, Ungdomar och vuxna med Asperger Syndrom – Normala, geniala, nördar? (in Swedish). Gothenburg: Bokförlaget Cura AB. ISBN 978-91-972641-6-7.
- Gillberg, Christopher; Peeters, Theo (1998). Autism : medical and educational aspects. London: Whurr. ISBN 978-0-521-54335-4.
- Gillberg, Christopher (2002). A Guide to Asperger Synd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00183-0.
- Gillberg, Christopher; Harrington, Richard; Steinhausen, Hans-Christoph (2006). A clinician's handbook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81936-7.
- 콜먼 M, 길버그 C,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12년
- Gillberg C, ADHD 및 관련 문제들,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14
- 길버그 C, 로스탐 M, 페르넬 E (빨간색)Natur & Kultur, Bann och 웅돔sphykiatri, 2015년
- 길버그 C, ESS Om ADHD, 자폐증 오치 앤트라 우트베클링사브비켈서, 나투르 & 쿨투르, 2018년
외부 링크
![]() | Wikinews는 이 기사와 관련된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 |
- 소아정신과 진단 – Christopher Gillberg – Iriss, 2007년 11월 16일
- 필립스상 – 필립스상에 대한 정보
- 유럽아동청소년정신과(저널)
- 2011년 11월 14일 웨이백머신에 보관된 자폐 퍼즐 (길버그가 출연한 BBC 다큐멘터리)
- 2005년 3시 12분, Looking Up (자폐증 뉴스레터)에서 질버그와의 인터뷰.
- Kérfe, Elinder 등은 2004년 영국 의학 저널에 제출된 "신속한 대응"의 혐의를 옹호하고 있다.
- "Various responses to Kärfv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November 2002. Retrieved 21 July 2006.
{{cite web}}
: CS1 maint:bot : 원본 URL 상태를 알 수 없음 (링크) Gothenburg University, 2001 (스웨덴어) - Riksförbundet 주의는 2005년 8월 21일 스웨덴어로 Gillberg 공식 웹 페이지를 지원한다. (Riksförbundet 주의는 신경정신과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스웨덴의 전국 협회)
- Riksföreningen 자폐증은 스웨덴어로 Gillberg Press의 발표를 지지한다.2006년 미등록. (Riksföreningen 자폐증은 자폐증과 자폐증 같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스웨덴의 전국 협회)
- 스웨덴 어린이 신경정신과학재단 법무장관에게 보내는 편지.크리스토퍼 길버그 반대파의 행동, 공인과 언론의 개입, 법적 절차를 상세히 기술한 편지.
- 자폐증과 촉각 전 발기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