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어탕

Chueo-tang
추어탕
Chueotang, Gangjin, Jeollanam-do.jpg
들깨가루를 곁들인 추어탕
대체 이름미꾸라지탕
유형
원산지한국
연합국 요리한식 요리
주성분연못 미꾸라지
한국이름
한글
추어탕
한자
鰍魚湯
수정 로마자 표기법추어탕
매쿠네-라이샤워추어탕
IPA[tɕʰu.ʌ.tʰaŋ]

추어탕 또는 미꾸라지탕은 민물고기인 연못 미꾸라지로 만든 이다.[1][2]남원은 한국의 남서쪽 도시인 남원으로 유명한 음식이다.[3][4][5]

어원

추어( (; 鰍魚)는 연못 미꾸라지의 별칭으로 우리말로 미쿠라지(美쿠라지)라고 한다.( tang; )은 수프를 의미한다.

역사와 전통

추분(추분) 이후 관개된 논이 빠지면서 동면할 준비가 된 통통한 연못 미꾸라지들이 논 주변에 파놓은 도랑에 쉽게 잡힌다.[6]추어탕은 종종 노인들을 위한 연회에서 특색 있는 음식이다.[6]

조선 시대 한양(현 서울)에서는 공인중개사 길드가 반찬(반찬)이나 국(반찬)이 아닌 (밥)만을 구걸하도록 의무화했다.[6](이 관행은 품위를 유지하고 무면허 거지와 회원들을 차별화하기 위한 것이었다.)쌀의 반주로 판손들은 연못 미끼를 사냥하고 추어탕을 만들었다.그들은 또한 추어탕을 시에서 팔 수 있는 독점권을 부여받았다.[6]

준비

연못 미끼는 매우 부드러워질 때까지 물에 삶아 뼈와 가죽을 제거하기 위해 체에 둔다.[7]체에 거른 살은 쇠고기나 닭 육수와 함께 다시 삶아 고추장, 된장, 생강, 후춧가루로 양념한다.[7]식물성 재료로는 녹두나물, 아시아 왕실 양치류, , 나파 배추, 겨자나물 등이 있다.[7]이 국은 종종 한국의 민트 잎(영남지방)이나 들깨가루(호남지방)와 함께 빻은 초피고추와 함께 나온다.[8]

참고 항목

참조

  1. ^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30 July 2014). "주요 한식명(200개) 로마자 표기 및 번역(영, 중, 일) 표준안" (PDF) (in Korean). Retrieved 16 February 2017. Lay summary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cite web}}:Cite는 사용되지 않는 매개 변수를 사용한다. lay-url=(도움말)
  2. ^ Jeon, Yuri (19 July 2016). "Top 10 Korean Delicacies to Battle the Heat". 10 Magazine. Retrieved 17 May 2017.
  3. ^ Crawford, Matthew (6 January 2017). "Take It Slow In The Historic City Of Namwon". 10 Magazine. Retrieved 17 May 2017.
  4. ^ Choi, He-suk (17 July 2013). "Soaking in history and culture along the Jirisan trail". The Korea Herald. Retrieved 17 May 2017.
  5. ^ Kim, Rahn (21 May 2015). "'Tasty roads'". The Korea Times. Retrieved 17 May 2017.
  6. ^ a b c d Han, Bok Jin (2005). "Chueo-tang" 추어탕. Uri eumsik baek gaji 1 우리 음식 백가지 1 [One Hundred Essential Korean Dishes Vol. 1] (in Korean). Hyeonamsa. ISBN 89-323-1291-5 – via Naver.
  7. ^ a b c "chueo-tang" 추어탕. Doopedia (in Korean). Doosan Corporation. Retrieved 17 May 2017.
  8. ^ Hansen, Barbara (28 May 2014). "Chueotang, the Korean Soup That Will Make You Gorgeous, Even If It's Not". LA Weekly. Retrieved 17 May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