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파배추
Napa cabbage나파배추 | |
---|---|
![]() | |
종 | 브라시카 라파 |
컬티바르 군 | 페키넨시스 그룹 |
기원 | 15세기 이전 중국 |
나파 양배추(Brassica rapa subsp. 페키넨시스(Pekinensis) 또는 브라시카 라파 페키넨시스(Brassica rapa Pekinensis Group))는 중국 베이징(北京) 지역에서 유래된 중국산 배추의 일종으로 동아시아 요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20세기 이후 유럽, 미주, 호주에서도 널리 재배되고 있다. 세계 많은 곳에서, 그것은 "중국산 배추"라고 불린다. 호주에서 그것은 또한 "wombok"이라고도 불린다.
이름
지역명 | |
---|---|
![]() 나파배추 | |
한자이름 | |
중국어 | 大白菜 |
문자 그대로의 뜻 | 크고 하얀 채소 |
하뉴피닌 | 다바차이 |
웨이드-자일스 | 타파이에타이424 |
광둥어 이름 | |
중국어 번체 | 紹菜 |
예일 로마자 표기법 | 최시우 |
주핑 시 | 시우코이63 |
한국이름 | |
한글 | 배추 |
수정 로마자 표기법 | 배추 |
매쿠네-라이샤워 | 파추 |
일본식 이름 | |
간지 | 白菜 |
히라가나 | はくさい |
리비전 헵번 | 하쿠사이 |
나파배추라는 이름의 "나파"라는 단어는 구어체 및 지역 일본어에서 유래했는데, 여기서 나파(菜菜)는 특히 음식으로 사용될 때 어떤 야채의 잎을 가리킨다.[1] 이 배추의 일본식 이름은 하쿠사이(下 hak)로, 한자 이름( (字名)을 한자어로 읽는 청일어(淸日語)로, 문자 그대로 '백채(白 is)'이다. 나파배추의 한국 이름인 배추는 같은 한자 세트의 한자어인 백채에서 유래한 고유어다. 오늘날 중국 만다린어로 나파배추는 영어로 복채라고 알려진 "작은 흰 채소"와 반대로 문자 그대로 "큰 흰 채소"인 다바야차이(大大菜)로 알려져 있다. 다른 이름으로는 치힐리 또는 미치힐리 등이 있다.[2]
아시아 이외의 지역에서는 이 채소를 중국산 배추 또는 셀러리 배추라고도 한다.[3] 호주에서는[5] 시우초이,[4] 뉴질랜드에서는 웡복 또는 원복으로 알려져 있으며, 웡은가아바악의 모든 부패로 알려져 있다.[6] 영국에서는 이 채소를 중국식 잎이나 겨울 양배추라고 하며,[7] 필리핀에서는 펫세이(호키엔, 菜菜菜, 菜shsh, shshsh) 또는 페카이바기오라고 한다.[8] 영어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이름은 petsai 또는 pe-tsai이다.[9] 러시아에서는 페킨스카야 카푸스타(ппаппяиапкяппп),),),),),),),),),),, 문자 그대로 "베이징 배추"[10]라고 부른다.
기원
나파배추 재배의 첫 기록은 15세기 중국 양쯔강 지역이다. 이후 중국에서 한국과 일본으로 전파됐다. 19세기에 중국 디아스포라를 시작으로, 오스트레일리아는 물론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의 나머지 지역에 보급되었다. 16세기 유럽으로부터 미국에 처음으로 배추가 소개되었고, 제1차 세계대전까지 유럽으로부터 종자재료의 공급이 계속되었다. 유럽의 종자공급 봉쇄 이후, 미국 정부 연구기관과 종자산업은 채소 작물을 위한 새로운 종자재료를 개발하였다. 오레곤과 캘리포니아는 그 기간 동안 배추 종자 생산 지역이었다.[11] 오늘날 그것은 전 세계에서 재배되고 먹혀진다.
나파배추는 순무간 자연 교배에서 유래했을지도 모른다. 라파(Rapa)와 팍초(Brassica Rapa subsp. 치넨시스(chinensis)). 분자 데이터뿐만 아니라 이 두 종 사이의 인공적인 교차점이 이 제안을 강화시킨다.[12]
설명
수확한 장기인 잎은 나란히 빽빽하게 놓여 있고, 하얀 잎맥이 있는 석회녹색이며 표면이 매끄럽다. 이 야채는 타원형이고 무게는 1에서 3kg(2.2에서 6.6lb)이다.[13] 잎은 기초 로제트로 조직되어 있다. 꽃은 노란색이고 전형적인 브라시카과의 교차연계배열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십자형"을 의미하는 십자수개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식물은 꽃이 피는 것보다 더 이른 시기에 수확되기 때문에, 보통 들판에서는 꽃이 보이지 않는다.[citation needed]
그것은 다른 머리 모양 잎 채소, 예를 들어 배추 상추와 비슷하게 발달한다. BBCH 척도의 연대기적 단계는 발아, 잎 형성, 식물성 성장(머리 형성), 꽃을 품은 새싹의 출현, 개화, 과일 발달, 씨앗 숙성, 노쇠 등이다.[14]
나파배추는 원년에 생육기에 이르는 연식물이다. 식물성 기간에 섭취해야 하므로 개화 경기장에 이르지 않는 재배에 어려움이 있다. 개화 경기장은 추운 온도나 하루의 길이에 의해 시작될 수 있다. 나파배추는 주로 모든 것을 감별하여 번식한다.[15] 나파배추는 낮의 짧은 조건보다 긴 낮의 조건에서 더 많은 잎과 더 큰 잎, 더 많은 생물량을 생산한다.[16]
야채로서
100g당 영양가(3.5온스) | |
---|---|
에너지 | 68kJ(16kcal) |
3.2 g | |
식이섬유 | 1.2 g |
0.2g | |
1.2 g | |
비타민 | 수량 %DV† |
비타민 C | 33% 27mg |
광물 | 수량 %DV† |
칼슘 | 8% 77mg |
철 | 2% 0.31mg |
마그네슘 | 4% 13mg |
나트륨 | 1% 9mg |
†성인을 위한 미국의 권장사항을 사용하여 대략적으로 백분율을 추정한다. 출처: USDA FoodData Central |
나파배추는 낮이 짧고 순할 때 가장 잘 자라는 시원한 계절의 채소다. 그 식물은 빽빽하게 배열된, 굵고 연한 녹색 잎으로 이루어진 긴 머리 모양으로 자라며, 백맥이 두드러지게 보인다. 가장 안쪽의 잎은 옅은 노란색을 띤다.[17]
나파배추는 브라시카과에 속하는데, 흔히 겨자나 양배추과에 속한다. 십자가형 식물로서 브로콜리, 복채, 콜리플라워와 같은 브라시카의 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18][19]
나파배추는 중국, 일본, 한국에서 널리 사용된다.[20] 나파배추는 중국에서 번영의 표시로 사용되며,[21] 유리와 도자기 형상에서는 상징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대만 국립고궁박물관의 제이드라이트 배추 조각상은 나파 배추 품종을 조각한 것이다. 아시아계 이민자들이 이 지역에 정착한 후 북미, 유럽, 호주 도시에서도 발견된다.[citation needed]
발효나파 배추(suan cai/sauerkraut)는 중국 동북부의 전통 음식이다.[22]
한국 음식에서 나파배추는 배추김치의 주재료로서 가장 흔한 김치의 종류지만, 고추장에 담근 돼지고기나 굴의 랩으로도 날것으로 먹는다.[23] 겉은 단단하고 질긴 잎은 수프에 사용된다. 두부, 버섯, 애호박 등 다른 재료와 함께 볶아 먹을 수 있다. 그것은 또한 뜨거운 냄비 식사와 함께 먹는다. 나파배추는 특히 한국의 북부 강원도에서 인기가 있다.[20] 유럽식, 미국식, 호주식 주방에서 샐러드처럼 익혀 먹거나 날것으로 먹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24]
채소는 비타민C(26mg/100g)가 풍부하고 칼슘(40mg/100g)이 상당하다.[25] 은은한 향이 난다.[citation needed]
재배
나파배추는 세계의 많은 다양한 지역에서 재배될 수 있는데, 다양화의 주요 영역은 아시아를 대표한다.[19]
토양요구량
나파배추는 중후한 무거운 흙을 깊게 풀어 주어야 한다. 쟁기로 인한 어떤 압축도 있어서는 안 된다. 그 작물은 특히 모래톱에서 높은 수확을 달성한다. 극도로 모래나 진흙 같은 토양은 적합하지 않다.[15] 작물은 6.0~6.2 범위의 pH를 선호하는데, 이는 높은 유기물 함량과 토양의 좋은 수분 보유 능력이다. pH가 낮거나 가뭄이 심한 토양은 칼슘이나 마그네슘 결핍과 내부 품질 결함으로 이어질 수 있다.[26]
기후 요구사항
나파배추는 전체 생장 기간 동안 많은 물이 필요하다.[27] 특히 8월과 9월에 관개 시스템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15] 필요한 물의 양은 농작물 재배 단계, 기상 조건, 토양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설립 후 가장 중요한 단계는 머리가 형성되는 단계다. 이때 물이 부족하면 칼슘 섭취가 감소한다. 이 질환은 머리 속에 죽은 잎 끝부분을 야기시켜 그것을 시장성이 없게 만든다. 머리가 형성되는 동안, 지속적인 성장률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당 25~40mm(1~1+1⁄2 인치)의 물이 필요하다.[26]
온도 요건이 낮다. 0°C(32°F) 미만의 온도는 단기간 동안 허용되며 -5°C(23°F) 미만의 지속적인 서리는 견디지 못한다.[15] 온도가 너무 낮으면 볼트를 빨리 채울 수 있다. 식물은 13~21℃(55~70℃)[28]의 온도에서 가장 잘 작동하지만 경작지에 따라 다르다.
씨드베드 요구사항 및 파종
나파배추는 1000알 정도의 알맹이 중량이 2.5~2.8g 정도로 매우 작은 종자를 갖고 있으며 전문 재배의 경우 소독된 종자를 사용해 발병병을 예방하는 것이 좋다. 단회파종 기법으로 헥타르당 약 400~500g의 종자가 필요하며, 일반적인 파종 기법으로 헥타르당 약 1kg의 종자가 필요하다. 정상적인 파종 기술을 사용할 경우 2~4주 후에 모종을 얇게 깎아야 한다. 씨앗은 깊이 1~2cm(0.39~0.79인치)로 퇴적해야 하며, 줄 너비는 40~45cm(16~18인치)이고 줄 너비는 25~30cm(9.8~11.8인치)이다.[citation needed]
묘목은 온실에서 재배한 뒤 2~3주 후 밭에 이식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더 일찍 수확할 수 있다. 헥타르당 7만~8만 그루의 묘목이 필요하다.[15][27] 이식법은 보통 봄철 작물과 가을철 작물의 파종 기술에 사용된다.[28]
수정, 현장관리
나파 양배추의 영양소 제거가 높다.[15]
- 헥타르당 150–200 kg N
- 헥타르당 80–120 kg PO25
- 헥타르당 180–250 kg KO2
- 헥타르당 110–150 kg Ca
- 헥타르당 20~40kg Mg
비료 권장사항은 영양소 제거 범위에 있다.[15][27][29] 나파배추의 재배시간이 짧고 유기비료의 사용가능성이 낮아 파종 전에 유기비료를 발라야 한다. 합성 N 비료는 세 가지 동일한 용량으로 도포해야 한다. 저장 중 품질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재배 시간의 3분의 2가 끝나기 전에 마지막 신청이 이루어져야 한다.[citation needed]
잡초는 기계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조절해야 한다.[15]
수확, 저장 및 수확량
나파배추는 파종 후 8-12주 정도 수확할 수 있다. 수확 작업은 대부분 손으로 한다. 그 식물은 땅 위로 2.5cm(0.98인치) 자른다. 일정한 배추 품질을 얻기 위해 밭마다 몇 차례 수확하는 것이 보통이다. 배추는 0–1 °C(32–34 °F)와 85–90 퍼센트의 상대습도로 3~4개월 동안 좋은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15] 나파배추는 4~5kg/m의2 수확량을 달성한다.[19]
사육
브라시카 라파 종은 디플로이드로 10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다. 나파배추 사육에 대한 도전은 가변적 자기호환성이다. 자기호환성 활동은 온도와 습도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상대습도가 98%인 체외 수분작용은 온실 수분작용에 비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citation needed]
나파배추 사육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작업이 이루어졌다. 21세기에는 한국종자원에 등록된 나파배추 품종이 880종이다.[12]
나파배추 사육은 1906년 한국 정부 원예시위 연구소가 기아 극복을 위해 시작한 것이다. 나파배추와 무가 김치의 주요 채소인 만큼 수율을 높이는 데 연구를 집중했다. 이 과정에 가장 중요한 사람은 닥터였다. 자생력을 갖춘 잡종 품종을 사육하고, 가치 있는 소재를 개발하고 학생들을 교육하는 등 상업적 육종에 기여한 우장춘 씨. 잡종 재배의 주요 목적은 1960년 이후 높은 수확량과 일년 내내 나파 배추를 생산하는 것이었다.[12]
배추의 연중 생산이 가능하려면 고온과 저온을 견딜 수 있도록 수정해야 한다. 보통 늦여름에 파종하고 늦가을에 수확하면 양질의 채소를 생산할 수 있다. 일례로 '내서백로'라 불리는 여름 품종이 상업용 종자회사에 의해 1973년에 개발되었다. 고온을 견디고, 장마철에 높은 습도를 견딜 수 있으며, 바이러스성 질병, 부드러운 부패, 그리고 곰팡이 등에 대한 저항력을 보였다. 초봄의 낮은 온도는 채소의 품질을 떨어뜨려 김치에 사용할 수 없다. 1970년대에 겨울 품종의 개발이 시작되었다. 대다수의 신품종들은 추운 겨울 조건을 견디지 못하고 사라졌다. 동풍(동풍)은 1992년 개발돼 한랭에 대한 저항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것은 요즘 신선한 나파 배추가 일년 내내 재배되는 한국에서 주로 사용된다.[11]
1970년대에 한 종자회사는 장미모양 표제 품종을 개발했고, 다른 종자회사들은 반폴딩 표제 유형에 초점을 맞췄다. 상업용 종자회사와 정부 연구소에서 지속적인 번식을 한 결과, 이제 농부들은 중국산 배추의 다양한 고급 잡종 중에서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12] 하얀 갈비뼈와 빡빡한 잎이 접히는 가을철 품종 '유키'[30]는 2003년 RHS의 정원상(AGM)을 수상했다.
1988년, 노란 내엽을 가진 첫 번째 품종이 도입되었다. 이 특성은 오늘까지 우세했다.[12]
매우 중요한 번식목표는 해충과 질병에 내성을 가진 품종을 얻는 것이다. 순무 모자이크 바이러스에 내성을 가진 품종이 존재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 외에도 수많은 질병이 존재한다. 그동안 클럽루트 저항성이나 가루 곰팡이 저항성을 가진 품종을 번식시키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잎의 질감 특성이 나쁘거나 저항성이 깨져 품종이 불발됐다.[12]
해충과 질병
곰팡이병
알터타리아병은 알터타리아 브라시카에, 알터타리아 브라시콜라, 알터타리아 자포니카라는 유기체에 의해 발생한다. 그들의 영어 이름은 검은 점(생리적이고 종종 부적절한 저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미들리브 '피부 반점'과 혼동되지 않기 위해), 꼬투리 반점, 회색 잎 반점, 짙은 잎 반점 또는 알터타리아 반점이다. 그 증상은 지상 모든 식물 부분에서 어두운 점으로 볼 수 있다. 감염된 식물은 오그라들고 정상보다 작다. 대체성 질병은 거의 모든 브라시카 식물을 감염시킨다. 가장 중요한 숙주는 기름종자 브라시카다. 이 균은 기능 기생충으로 죽은 식물 조직뿐만 아니라 살아있는 숙주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감염된 식물 찌꺼기는 대부분의 상황에서 접종의 주요 원천이다. 포자는 바람에 의해 밭의 식물이나 이웃의 브라시카 작물에 분산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브라시카 작물을 가까이서 재배하는 지역에서 교차 감염이 자주 발생하는 이유다. 이 병은 특히 날씨가 젖어 식물들이 성숙기에 이르렀을 때 빨리 퍼진다. 알타리아 놋쇠아리는 온대지방에 잘 적응되어 있는 반면 알타리아 놋쇠아리는 주로 세계의 따뜻한 지역에서 발생한다. 알터타리아 자포니카의 온도 요건은 중간이다.[28] Brassica rapa subsp의 몇몇 야생적인 접근들이 존재한다. 알터타리아 놋쇠에 대한 저항성을 가진 페키넨시스(Pekinensis)는 상업적인 경작지에서는 그렇지 않다. 이러한 저항은 사육 프로그램에 포함되어야 한다. 대체성 전염병은 브라시카 작물 사이에 적어도 3년 이상 비가호작물, 토양에 식물 파편을 통합하여 부패를 촉진하고 무병해 종자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관리 관행에 의해 피하는 것이 최선이다.[28]
안하르코스는 콜레토트리쿰 히긴시눔에 의한 브라시카병으로 특히 나파배추, 박초, 순무, 루타바가, 연한 녹색 머스타드 등에 피해를 주고 있다. 그 증상은 마른 옅은 회색에서 짚으로 된 반점이나 잎의 병변이다. 권장되는 관리 관행은 알터타리아 질환과 동일하다.[28]
흑근은 무를 주로 감염시키는 병이지만, 다른 많은 브라시카 채소에서도 포괄적으로 나파배추에서 발생한다. 그것은 곰팡이인 아프나노미세스 라파니에 의해 야기되었다. 병원체는 토양에서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기 때문에 농작물 순환은 필수적인 관리 수단이다.[28]
하얀 잎사귀는 주로 온대 기후 지역에서 발견되며 식물성 황동과 유채 유채에 중요하다. 인과 유기체는 미크인세렐라 카펠레아이다. 이 증상은 잎, 줄기, 꼬투리 등에 있는 흰 반점이므로 곰팡이 진드기와 쉽게 혼동될 수 있다. 질병은 특히 비나 습기와 함께 빠르게 퍼지고 온도는 10~15℃(50~59℃)이다.[28]
후사륨 윌트라고도 불리는 옐로우는 유채, 양배추, 무수드, 나파 배추와 다른 채소 브라시카를 감염시키는 또 다른 브라시카 병이다. 토양 온도가 18~32℃인 따뜻한 생장기가 있는 지역에서는 문제일 뿐이다. 원인 유기체는 후사륨 옥시스포럼 f. sp. 콘루티넌스다. 나파배추는 비교적 병에 내성이 있다. 대부분의 외부 증상들은 더 낮고 오래된 잎의 노랗게 변하는 것이다. 그 병은 흙으로 인해 생겨났으며 숙주가 없으면 여러 해 동안 생존할 수 있다. 대부분의 십자가에 못박힌 잡초는 대체 숙주 역할을 할 수 있다.[28]
댐핑-오프(Daming-Off)는 피토페토라 선인장, 피티움 spp와 같은 오미케이트에 서식하는 토양이 온대 지역에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그 질병은 종종 쓰러지고 죽어가는 묘목과 관련이 있다.[28]
나파 양배추를 감염시키는 기타 질병:
- 검은 다리 또는 종마 줄기암: 렙토인세리아마쿨란스
- 클럽루트: 플라스모디오포라 브라시카에
- 곰팡이: 히알로페로노스포라 브라시카에
- 가루 곰팡이: 에리시페 십자가상
- 리조톡토니아솔라니
- 글레로티니아속
세균성 질환
세균성 연성 부패는 식물성 브라시카의 가장 중요한 질병 중 하나로 여겨진다. 그 질병은 따뜻하고 습한 기후에서 특히 피해를 주고 있다. 인과 유기체는 에르위니아 카로토보라 var. 카로토보라와 녹조마름병 pv. marantis이다. 부패 증상은 현장, 농산물 운송 또는 보관에서 발생할 수 있다. 박테리아는 주로 토양의 식물 잔류물에서 생존한다. 그것들은 곤충에 의해 퍼지고 관개수와 농기계 같은 문화적 관행에 의해 퍼진다. 이 질병은 저온에 내성이 있으며, 0°C에 가까운 저장소에 직접 접촉하고 아래 식물에 떨어짐으로써 확산될 수 있다. 박테리아성 연성 부패는 질소로 너무 많이 수정되거나 질소가 늦게 도포되거나 수확 전에 과잉 생물이 될 수 있는 작물에 더 심각하다.[28]
식물성 브라시카스의 가장 중요한 질병인 검은 로트는 크산토모나스 캠페스트리스 pv. 캠페스트리스에 의해 발생한다.[28]
바이러스병
출처:[28]
해충
- 큰흰나비 (피에리스 브라시카에)
- 배추 뿌리파리(델리아 라디쿰)
- 양배추 종자 웨빌 (Cutorhyncus assistilis)
- 양배추 루퍼
- 다이아몬드백나방
- 작은 흰 나비 (피에리스 라패)
- 진딧물
- 오이 딱정벌레
- 악취가 진동하다
- 식물성 바구미
- 두더지 귀뚜라미
- 자벌레
기타 해충 및 질병
아스테르 황색은 식물성 섬유질에 의해 생기는 병이다.[28]
네마토드는 종종 간과되는 질병의 주범이지만 상당한 수율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성충은 활동성이 제한되지만 낭종(죽은 암컷) 안에 들어 있는 알은 토양, 물, 장비 또는 묘목과 함께 쉽게 퍼진다.[28]
나파배추에 피해를 주는 기생성 네마토드 종:
참조
- ^ "Oxford English Dictionary nappa, n.2". Retrieved 14 October 2010.
- ^ https://ag.purdue.edu/btny/ID56/82_AsianVeg.pdf
- ^ "Chi′nese cab′bage". Retrieved 20 January 2015.
- ^ "Chinese Cabbage". chinesefood.about.com. Retrieved 20 January 2015.
- ^ https://en.wiktionary.org/wiki/wombok. 누락 또는 비어 있음
title=
(도움말) - ^ http://www.cantonese.sheik.co.uk/dictionary/words/3958/. 누락 또는 비어 있음
title=
(도움말) - ^ Tan, Terry. A Little Chinese Cookbook. Chronicle Books. p. 51.
- ^ Afable, Patricia O. (2004). Japanese pioneers in the northern Philippine highlands: a centennial tribute, 1903-2003. Filipino-Japanese Foundation of Northern Luzon, Inc. p. 116. ISBN 978-971-92973-0-7.
- ^ Toxopeus, H & Baas, J (2004) Brassica rapa L.. - In: G.J.H. & Denton, O.A. (2004) 열대 아프리카의 식물 자원 2. 야채. PROTA Foundation, Wageningen; Backhuys, Leiden; CTA, Wageningen. - 페이지 146-151
- ^ 북경 양배추 재배(러시아어)
- ^ a b 유전학, 농작물의 유전학, 번식 (2011) N. 람치어리, S. 파크, X. P. 임: 식물 브라시카의 고전적 번식 및 유전자 분석 제2권. 미국 클렘슨 대학교
- ^ a b c d e f 사도스키, J, & 콜레, C.(2011년). 식물성 브라시카의 유전학, 유전학, 번식. 엔필드: 사이언스 퍼블리셔스.
- ^ W. Franke(1976) Nutzpflanzenkunde. - 게오르크 티엠 베를라크, 독일 슈투트가르트
- ^ 펠러, C, 블레어홀더, H, Buhr, L, Hack, Hess, M, Klose, R, 외 (1995년) BBCH-코디에룽 데르 팰니로시첸 엔트윅블룽스태디엔 폰 블라트게무스(kopfbildend) U. Meier, Entwicklungsstadien 모노코타이틀러 Pflanzen: BBCH Monograpie (S. 120). Bunderalische Bundsansstalt Für Land und Forstwitschaft.
- ^ a b c d e f g h i 부슈바움, H, & 하인넨, B. (1978년) 치나콜. 본: Rheinischer Landwirtschafts-Verlag.
- ^ 네를리히, K, 페니그, J, 클레만, G, 페이크, T, 그라프, S, 클로페인, W, 기타 등등. (2009). Beschreibung von Wachstum und Entwicklung bei Chinakohl (Brassica rapa L. var. pekinensis) in Abhängigkeit von Temperatur und Tageslänge - Basisdaten zur Modellierung mit DSSAT. 45. Gartenbauwissenschaftliche Tagung, (S. 158). 훔볼트-유니버니티테 주 베를린
- ^ "Napa cabbage nutrition facts". Retrieved 20 January 2015.
- ^ Cartea, M.E. (2011). Genetics, Genomics and Breeding of Crop Plants. Clemson University.
- ^ a b c Genetics, Genomics and Breading of Crophests(2011) Clemson University, USA Cartea M. E, Lema M, Francisco M, Velasco P.
- ^ a b Lee, Cecilia Hae-Jin (22 May 2012). Frommer's South Korea. John Wiley & Sons. p. 326. ISBN 978-1-118-33363-1.
- ^ Klein, Donna (4 December 2012). The Chinese Vegan Kitchen: More Than 225 Meat-free, Egg-free, Dairy-free Dishes from the Culinary Regions of China. Penguin Group US. p. 30. ISBN 978-1-101-61361-0.
- ^ Yang X, Hu W, Xiu Z, Jiang A, Yang X, Saren G, Ji Y, Guan Y, Feng K (17 July 2020). "Effect of salt concentration on microbial communitie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etabolite profile during spontaneous fermentation of Chinese northeast sauerkraut".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129 (6): 1458–1471. doi:10.1111/jam.14786. PMC 6723656. PMID 32677269.
- ^ Vongerichten, Marja (2 August 2011). The Kimchi Chronicles: Korean Cooking for an American Kitchen. Rodale. pp. 37–42. ISBN 978-1-60961-128-6.
- ^ 마이클 토트 (1989) 운터수충겐 주르 미크로플로라 데 라게른 치나콜스 (Brassica Pekinensis Rupr. 독일 키엘 대학교의 논문
- ^ 도이첸 포르스청산스탈트 퓌르 르벤스미텔케미, 5세 아우플라주, (1994) 수치/파흐만/크라우트.
- ^ a b c 요리, W. P. & Smith, P. (1996년 2월) 오리엔탈 배추 생산. 호트 리플릿 68, S. 1-4
- ^ a b c 바갈리, A, 바터, G, 칼돈, H, 로젠펠드, R. L, 루흐, P, 퍼블레스, D. 외(2011년) RHS 좋은 과일 & 야채 가이드. 런던: Dorling Kindersley Limited.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림머, R. S. 샤턱, V. I. & Buchwaldt, L. (2007) 브라시카 질병의 개요. 성 바울: 미국 식물학 협회
- ^ 아커만, 나, 펑크, M, 힌츠, C, 요아치미, A, 포츠카이, G, 리거, W, 외(1993). Feldgemüsebau : Buschbohnen, Chinakohl, Dicke Bohnen, Erbsen, Einlegegurken, Grünkohl, Knollensellerie, Kohlrabi, Kopfkohl, Kopfsalat, Möhren, Porree, Rote Beete, Schälgurken, Spargel, Spinat, Zwiebeln . Münster-Hiltrup: Landwirtschaftsverlag.
- ^ "Brassica rapa (Pekinensis Group) 'Yuki'". Royal Horticultural Society. November 2018. Retrieved 23 November 2019.
- ^ 커크, W.D. (1992년) 양배추와 기름종자 강간에 벌레가 묻었다. 리치먼드 출판사.
외부 링크
Brassica rapa subsp와 관련된 미디어. 위키미디어 커먼스의 페키넨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