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간다 교회
Church of Uganda우간다 교회 | |
---|---|
![]() | |
분류 | 개신교 |
오리엔테이션 | 성공회 |
성서 | 성서 |
신학 | 성공회 교리 |
폴리시 | 성공회 |
영장류 | 우간다 대주교이자 캄팔라 주교인 스테판 카지임바 |
본사 | 캄팔라 주 나미렘베 언덕 |
영역 | 우간다 |
회원들 | 최대 11,100,000 (2014년 기준) |
공식 웹사이트 | churchofuganda |
우간다 교회는 성공회 소속 지방이다.현재 우간다 교회를 구성하는 교구는 37개이며 각각 주교가 이끌고 있다.
각 교구는 대교구장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교구는 대교구장으로 알려진 고위 성직자가 이끌고 있다.대주교좌는 교구 사제가 이끄는 교구들로 더 세분화된다.교구는 일반 독자들이 이끄는 하위 교구로 세분화된다.2014년 인구 조사에서는 32%의 우간다인이 자신이 교회에 소속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는 2002년 인구 [1]조사 때의 36.7%보다 줄어든 것이다.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가 2016년에 발간한 성공회 연구 저널의 동료 검토 연구에 따르면, 우간다 교회는 8백만 명 이상의 신도들과 약 795,000명의 활동적인 [2]세례 교인들이 있다.
대주교
현재 영장류이자 대주교는 스티븐 카지임바이며 2020년 3월에 즉위했다.캄팔라 교구는 대주교 관구의 고정 관구이지만, 다른 고정 대도시 관구와는 달리 현직은 공식적으로 캄팔라 대주교로 알려져 있지 않지만 우간다 대주교와 캄팔라 주교라는 더 긴 직함을 가지고 있다.
이력[3]
초기 개발(1877~1897년)
Shergold Smith와 C.교회선교협회의 T. Wilson은 1877년 6월에 우간다에 도착한 최초의 유럽 성공회 선교사였다.그들은 나중에 도착한 다른 사람들과 함께 현재의 캄팔라 근처 부간다의 카바카 궁정에 근거지를 두고 있었다.
카바카 무테사 1세는 그의 잔혹함으로 유명했고 성공회 신자, 로마 가톨릭 신자, 이슬람교도들의 경쟁자를 이용해 각 집단을 지지하는 세력의 영향의 균형을 맞추려고 노력했다.그의 후임자인 카바카 므완가 2세는 선교사를 추방하고 기독교 개종자들이 고문이나 죽음의 고통에 대한 믿음을 포기해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보다 공격적인 접근을 취했다.
1885년, 세 명의 성공회 우간다인이 살해되었고, 동부 적도 아프리카 지방의 대주교 제임스 해닝턴은 그의 일행과 함께 체포, 구금, 그리고 나중에 카바카의 명령에 의해 처형되었다.로마 가톨릭 신부이자 부간단 궁정의 관리인 조셉 무카사는 이를 질책하고 체포되어 참수되었다.이것은 1886년부터 1887년까지 성공회 신자들과 로마 가톨릭 신자들에 대한 대규모 박해와 살인의 전조였다.그 시기에 살해된 사람들은 우간다의 순교자로 기억된다.
이 사건은 기독교와 이슬람 단체들의 음왕가 2세에 대한 반란을 지지했던 영국 동아프리카 회사의 간섭을 초래했다.음왕가 2세는 결국 1888년에 타도되었고 그의 이복동생인 키웨와로 교체되었다.키웨와 자신은 법정에서 무슬림 파벌에 의해 전복되었고 그의 무슬림 형제인 칼레마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영국군은 칼레마를 강제로 퇴위시키고 1894년 우간다의 보호국 지위에 오른 음왕가 2세에게 왕위를 되찾았다.이러한 사건들은 우간다에 있는 성공회의 장기적인 생존을 보장했다.
우간다 교구(1897년-1961년)
알프레드 로버트 터커는 1890년 동부 적도 아프리카의 세 번째 주교가 되었고 1899년 우간다 교구가 만들어졌고 터커는 [4]우간다의 첫 번째 주교가 되었다.1893년 최초의 우간다인이 임명되었고 부간다는 오대호 지역의 복음 전도 센터로 설립되었습니다.그 시대의 가장 유명한 성공회 원주민 중 한 명은 동부 콩고의 피그미족들 사이에서 그의 업적으로 "피그미족의 사절"이라고도 알려진 아폴로 키베불라야입니다.
우간다의 성공회 성장은 20세기 초까지 번성했고 성공회의 가장 주목할 만한 기여 중 하나는 교육 분야였다.최초의 초등학교는 1890년대에 설립되었습니다.1913년 무코노에 터커 신학교가 설립되어 현재의 우간다 기독교 [5]대학으로 확대되었다.마찬가지로 CMS는 1897년 멘고 병원 설립과 함께 공중 보건 분야에서 선두를 달렸다.
터커는 원주민 성공회라고 알려진 곳에서 토착 성공회원들에게 상당한 권력을 부여하는 교회 헌법에 논란이 되는 조치들을 제안했다.이러한 급진적인 제안들은 선교사들에 의해 반대되었고, 이는 수십 년 후 우간다의 독립 전까지 주로 국외로 추방된 교회 위계를 낳았다.CMS의 지배와 그 후에 분리된 BCMS는 교회에서 낮은 교회 전통으로 이어졌다.부흥주의는 1936년 르완다에서 시작된 동아프리카 부흥의 발발과 함께 교회의 특징이 되기도 했다.
1950년대에 우간다 교회 지도자들의 출현은 국외 거주자의 위계를 대체하기 시작했다.1972년 키게지의 주교가 된 페스토 키벤게레는 처음으로 전도사로 유럽을 여행했다.국제적인 인물로서 그는 아프리카 에반젤리즘 기업의 공동 설립자였다.
우간다, 르완다, 부룬디 주(1961년-1980년)
1961년 우간다 교회의 성장은 우간다와 루안다-우룬디(이후 우간다, 르완다, 부룬디)의 설립과 함께 성공회 성찬회에서 인정되었다.새로운 지방은 1961년 4월 16일 나미렘베 [6]대성당에서 캔터베리 대주교 제프리 피셔에 의해 출범하였다.1960년까지 우간다의 주교였던 레슬리 브라운은 1960년에 [7]선출되어 초대 영장류, 메트로폴리탄 및 대주교로 임명되었습니다.브라운은 1966년 우간다의 초대 대주교인 에리카 사비티가 승계했다.
1892년 전투 이후 긴장된 영국 성공회와 로마 가톨릭 간의 관계는 우간다 공동 기독교 평의회 설립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여기에는 우간다의 작은 정교회가 포함되어 있다.
1971년 이디 아민은 쿠데타로 권력을 잡았고 처음에는 우간다 일반인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정권의 잔혹하고 부패한 본성은 곧 드러났고 1974년 자나니 자칼리야 루움이 새 대주교로 서임되면서 성공회는 아민의 정책에 더욱 노골적으로 반대하게 되었다.이로 인해 1977년 [8]아민의 명령에 따라 대주교가 처형되었다.
우간다 주 (1980년 ~ 현재)
1979년 아민의 전복으로 우간다 북부에서는 신의 저항군(LRA)의 반란으로 평화가 회복되지 않았지만 우간다에서는 점차적으로 정상적인 생활이 재개되었다.1997년 킷검의 첫 주교 부인인 위니프레드 오콜라가 지뢰에 맞아 사망했다.그러나 오콜라 주교는 북부[9] 우간다의 평화와 화해를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다.
1980년에 르완다와 부룬디는 별개의 주로 승격되었다.우간다 교회는 우간다에서 에이즈 인식과 예방을 촉진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해왔다.이러한 노력과 그 나라의 다른 사람들의 결과로, 우간다는 그녀의 [10]사회에 대한 에이즈의 영향을 되돌리기 시작했다.
2011년 9월 28일 주교회는 안콜레와 웨스트 안콜레 [11]교구의 일부에서 신설된 사우스 안콜레 교구의 첫 번째 주교를 선출했다.
교구[12]
|
|
에큐메니컬 관계
다른 많은 성공회와 마찬가지로 우간다 성공회는 세계교회협의회의 [18]회원이다.2009년 10월, Ugandan 교회의 지도부는 바티칸이 불만을 품은 전통주의 성공회 신자들을 위한 개인 사범을 만들자고 제안한 것에 대해, 비록 그가 에큐메니컬 대화를 환영하고 가톨릭 교회와 도덕 신학을 공유했지만, 현재의 GAFCON 구조는 이미 영적, 목가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다고 말했다.아프리카에 [19]사는 보수성향의 영국인들.
여성의 서품
우간다 교회는 1973년부터 여성을 성직자로 임명했고 [20]1983년부터 성직자로 임명했다.최초의 [21]여성 성당 주임원장이 임명되어 2019년에 설치됐다.2022년 카지임바 대주교는 여성의 주교 서품을 지지한다고 선언하고 여성이 [22][23]우간다 교회에서 주교 서품을 받을 수 있음을 확인했다.
성공회 재편성
우간다 교회는 성공회 조직 개편에 적극적이었다.글로벌 사우스와 성공회 고백 펠로우십에서 모두.이들은 순응하지 않는 동성애를 수용해 미국 성공회와의 교감을 끊은 아프리카 교회 중 하나이며, 현재 진행 중인 성공회 개편 과정에서 북미의 새로운 성공회 교회들에 대한 목회적 감독 및 지원을 제공하기로 합의했다.그러나 2021년 현재 웨스트텍사스 주교구는 우간다의 캄팔라, 분요로키타라, 네비 [24]교구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2005년 당시 영장류였던 헨리 오롬비 대주교는 영국 교회가 동성동반자 관계에 [25]성직자를 수용하는 것을 비판하기도 했다.
2007년 9월 2일 우간다 교회는 버지니아 출신의 미국인 주교인 존 건시를 미국 [13][26]교구의 많은 부분을 감독하도록 임명했다.우간다 교회는 2009년 [27]6월 23일 동성애에 관한 자국 교회의 행동에 반대하는 미국과 캐나다 성공회 신자들에 의해 형성된 종파인 북미 성공회와 완전한 교감을 선언했다.
2013년, 은타갈리 대주교는 시민 파트너십을 맺은 성직자들이 주교가 되는 것을 허용한 영국 교회의 결정에 반대했다.그는 "한때 우간다에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한 영국 교회가 우리에게 [28][29]생명과 빛, 희망을 가져다 주었던 바로 그 복음에서 그렇게 중요한 발걸음을 내디뎠다는 소식을 들으니 매우 낙담스럽다"고 말했다.은타갈리 대주교는 또한 다른 서부 성공회 지방들이 내린 비슷한 결정에 반대한다는 것을 재차 강조했다."슬프게도 우리는 영국 교회가 이 반대 방향으로 계속 간다면 우리는 그것으로부터 우리를 더 분리해야 하며 우리는 10년 [30]전 성공회와 캐나다 성공회의 결정에 의해 촉발된 것과 같은 행동을 취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선언해야 합니다."
우간다 교회는 2018년 6월 17일부터 22일까지 예루살렘에서 열린 GAFCON III에 스탠리 은타갈리 [31]대주교 등 272명의 대규모 대표단이 대표로 참석했다.
레퍼런스
- ^ "2014 Uganda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 Main Report" (PDF). Uganda Bureau of Statistics. Retrieved 17 April 2018.
- ^ Muñoz, Daniel (May 2016). "North to South: A Reappraisal of Anglican Communion Membership Figures". Journal of Anglican Studies. 14 (1): 71–95. doi:10.1017/S1740355315000212. ISSN 1740-3553.
- ^ "History of the Church of Ugand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9-28. Retrieved 5 March 2015.
- ^ "Eighteen Years in Uganda and East Africa". World Digital Library. 1908. Retrieved 2013-09-24.
- ^ "UCU Hom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August 2018. Retrieved 5 March 2015.
- ^ "New Province of Uganda created". Church Times. No. 5123. 21 April 1961. p. 1. ISSN 0009-658X. Retrieved 20 October 2019 – via UK Press Online archives.
- ^ "Dr Brown to be First Archbishop of Uganda". Church Times. No. 5100. 11 November 1960. p. 1. ISSN 0009-658X. Retrieved 25 October 2019 – via UK Press Online archives.
- ^ Weekly Observer, 2006년 2월 16일 "Wayback Machine에서 대주교조차 Archived 2007-10-12"
- ^ 2007년 7월 9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Unight 이사회
- ^ 아프리카 부흥: 우간다 에이즈 퇴치
- ^ 성공회 – 우간다 새 교구의 주교 선출
- ^ "The Anglican Communion Official Website: - The Church of the Province of Uganda". Retrieved 5 March 2015.
- ^ a b 우간다 교회, 두 명의 주교 서품
- ^ 루베로
- ^ 루왈리라는 새로운 나미렘베 주교이다.[영구 데드링크]
- ^ 남르웬조리
- ^ 웨스트부간다
- ^ http://www.oikoumene.org/?id=3587 세계교회협의회
- ^ Carlos Miranda (27 October 2009). "The Catholic Evangelical". Retrieved 5 March 2015.
- ^ Byaruhanga, Christopher (2010). "Called by God but Ordained by Men: The Work and Ministry of Reverend Florence Spetume Njangali in the Church of the Province of Uganda". Journal of Anglican Studies. 8 (2): 219–239. doi:10.1017/S1740355309000011. ISSN 1745-5278.
- ^ "Uganda's first female Cathedral provost takes up her post". www.anglicannews.org. Retrieved 2022-04-20.
- ^ Independent, The (2022-04-18). "Uganda is ready for a female Bishop: Archbishop Kaziimba". The Independent Uganda. Retrieved 2022-04-20.
- ^ "Uganda Is Ready for A Female Bishop- Archbishop Kaziimba :". Uganda Radionetwork. Retrieved 2022-04-20.
- ^ "World Missions". www.dwtx.org. Retrieved 2021-09-20.
- ^ "Africa Anglicans Criticise Church of England Over New Direction on Homosexuals Christian News on Christian Today". www.christiantoday.com. Retrieved 2017-04-09.
- ^ "BBC NEWS - Africa - Uganda church anoints US bishop". 2 September 2007. Retrieved 5 March 2015.
- ^ Church of Uganda. "Church of Uganda Declares itself in Full Communion with Anglican Church in North America". Anglican Church in North Ameri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6-28. Retrieved 2009-09-11.
- ^ "Ntagali attacks Church of England over gay bishops". www.newvision.co.ug. 8 January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June 2017. Retrieved 9 April 2017.
- ^ "Ntagali criticises Church of England for accepting gay bishops". Daily Monitor. 9 January 2013. Retrieved 9 April 2017.
- ^ Conger, George (January 16, 2017). "African outrage over civil partnership decision". churchnewspaper.com. Retrieved October 9, 2017.
- ^ GAFCON III 1963년 토론토 콩그레스 이후 최대 규모의 범앵글리카 집회, 성공회 잉크, 2018년 6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