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네마 렉스 화재

Cinema Rex fire
시네마 렉스 화재
Rex Cinema Fire.jpg
화재 후 시네마 렉스 건물 내부
위치이란 아바단
날짜1978년 8월 19일
20:21(IRST)
공격형
방화, 대량 살인, 테러
죽음377명 사망[1]
생존자는 없을 것 같다.
가해자알 수 없는
이슬람 무장단체
(이란 정부 주장)
사바크
(필수 클레임)
No. 참가자의
4인분

이란 아바단에 위치한 시네마 렉스는 1978년 8월 19일 불길에 휩싸여 377[1]~470명이 사망했다.[2] 이 행사는 4명의 남자가 건물에 불을 지르기 전에 비행기 연료를 뿌리면서 시작되었다.[3] 이 공격은 1979년 이란 군주제가 전복된 이란혁명을 촉발시킨 책임이 있다. 이는 1990년 스리랑카 경찰관 학살 전까지 역사상 가장 큰 테러였으며, 이후 9·11 테러로 그 자체도 추월되었다.

집권당인 팔라비 왕조는 당초 '이슬람 마르크스주의자들'의 화재[4] 원인으로 지목하고 이후 이슬람 무장세력이 불을 질렀다고 보도한 반면 [5][6][7][8]반팔라비 시위대는 이란 비밀경찰 사바크에게 불을 질렀다고 비난했다.[9][10]

1978년 8월 19일 이란 아바단의 시네마 렉스에서 수백 명의 사람들이 디어[11] 보고 있었는데, 20시 21분, 네 명의 남자가 영화관 문을 막고 캔에서 휘발유를 뿌렸다. 화재는 공격자들이 성냥을 휘발유에 떨어뜨린 것으로 알려진 후 본관 출입문 3개 밖에서 시작되었다. 그러자 공격자들은 도망쳐 밖에서 문을 막았다. 몇몇 사람들은 옥상으로 도망치려고 시도했다.[12]

사망자수

화재 당시 실제 사상자 수를 놓고 추측이 나오고 있다. 출처가 인용한 숫자로는 377,[1][13][14] 410,[15] 422,[16] 470 등이 있다.[17]

동기와 책임

시네마 렉스 화재의 가해자들의 신원과 관련해 수많은 의혹이 제기됐지만 이번 사건이 1978년 이란 혁명의 핵심 계기가 된 것은 확실하다. 처음에 혁명가들은 사바크 정보요원들이 극장에 뛰어든 개인들을 쫓고 있었고, 그것을 그곳의 많은 군중 속에 숨는 기회로 이용했다고 주장했다. 나중에 도망자(또는 그들을 쫓는 사바크 요원)는 영화관의 문을 잠갔다. 건물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채, 영화관 안의 모든 사람들이 그 대화재 속에서 죽었다. 이란 신문 소베 에므루즈호세인 샤리아트마다리가 운영하는 케이한(Shariatmadari는 이란의 최고지도자 알리 하메네이의 측근으로, 이란의 정보기관과 '연결고리'가 있다고 묘사돼 왔다)는 사설에서 과격 이슬람주의자들을 비난했다. 소베 에므루즈는 "시네마 렉스 화재의 배후가 누구인지 우리에게 공개하지 말 것"이라고 썼고, 그 직후 신문이 폐쇄되었다.[18][3][17]

이슬람 혁명 후 후속 조치

워싱턴에 본부를 둔 이란인권민주연합(Human Rights & Democracy for Euhan)에 따르면 희생자 가족들은 1980년 4월부터 8월까지 농성까지 하면서 이 사건에 대한 추가 조사를 주도했다. 이란 새 정부는 루자르 혁명재판소에서 미국에서 게릴라 훈련을 받았다는 이유로 고발당한 모니르 타헤리 대위를 체포했다. 타헤리의 방어는 그가 아바단을 방문한 적이 없으며 화재 당시 아흐바즈에 있었다고 주장했다. 법원은 타헤리가 유죄라고 판결하고 그 직후 1979년 2월 23일에 그를 처형했다.[19]

도서 및 참고 자료

역사학자 아바스 아마나트(Abbas Amanat)는 "알려진 것으로부터 렉스 시네마의 출구 문은 의도적으로 잠겨 있었다. 당시 널리 퍼진 소문은 사바크와 친정부 요원들이 책임을 지게 했다. 그러나 이번 방화는 이슬람 운동가들이 10년 이상 동안 극장이나 서구의 퇴폐로 추정되는 다른 장소들을 불태우는 패턴과 일치했다. 영화관을 파괴한 많은 방화 사례에서 목격되었듯이, 처음에는 쿰에서 그리고 나중에는 다른 도시에서도 목격되었듯이, 렉스 시네마 사건은 몇 달 후 그들의 재판 과정에서 명백해졌듯이 가해자들의 도덕적 양심의 가책을 전혀 느끼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슬람의 반대세력은 의심과 분노가 팽배한 환경에서 비극을 통해 주요 선전상의 이점을 얻을 수 있었다.[1]

이란 아야톨라 족의 작가 딜립 히로 씨는 시네마 렉스가 노동자 계급의 이웃에 위치해 있고 유명한 배우 베루즈 보소위가 주연한 영화 가바즈냐를 상영하고 있었기 때문에 반샤 단체들이 이번 화재를 일으켰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말했는데, 히로는 이 영화가 "엄청난 난감하게 검열을 통과했다"고 주장했다. 히로는 또 "미지근하다"고 표현한 영화관 문을 고의로 닫은 것과 지역 소방서의 노력이 샤가 영화관을 불태웠다는 대중의 믿음을 강화시켰다고 말했다.[10]

예언자의 맨틀의 저자 로이 모타헤데에 따르면 "중립을 느끼고 지금까지 이 투쟁은 오직 샤와 종교적으로 보수적인 물라들의 지지자들 사이에서만 일어난다고 생각했던 수천 명의 이란인들은 정부가 스스로를 구하기 위해 스스로 목숨을 바칠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갑자기 수십만 명에게는 그 운동이 그들만의 일이었소."[20]

중동 전문가 대니얼 L. 바이먼에 따르면 "이 영화는 악덕과 서구식 퇴폐를 조장하는 신에 대한 모욕이었다. 그래서 1978년 8월 시아파 혁명가 4명이 이란 아바단의 시네마 렉스의 문을 잠그고 극장에 불을 질렀다.[21]

혁명기에 일어난 사건인 만큼 가해자들의 신원을 파악하기 상당히 어려워 오히려 엉뚱한 비난이 난무했다. 혁명 블록의 많은 요소들은 현재 퇴위한 이란의 군주 모하마드 레자 샤와 그 나라의 국내 안보 및 정보 서비스인 사바크(Sazemman-e Ettelaat va Amniyat-e Keshvar)에게 비난을 퍼부었다. 비록 그러한 주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충분한 증거가 제시되지 않았지만, 라벨링은 혁명 운동의 후속 방향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불이 난 정황은 샤의 무죄를 호소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았다. 피폐한 아바단 지역인 사건의 소재지와 시점은 앞선 시위 패턴과 일치하지 않아 의혹의 수위를 높였다. 또한 샤는 반정부 영화를 보기 위해 모인 정치적 반체제 인사들을 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네마 렉스를 특별히 겨냥했다고 여겨졌다.[22][23]

공개재판

1980년 8월 25일부터 9월 4일까지 지속된 혁명재판소는 4인방화팀의 유일한 생존자인 호세인 탁발리자데를 포함한 26명의 개인에 대한 재판이 포함된 17번의 법정 재판을 감독했다. 많은 숙고 끝에 탁발리자데 등 5명은 공개 석상에서 사형에 처해졌다.[24][25]

참조

  1. ^ a b c d Amanat, Abbas (2017). Iran: A Modern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p. 719. ISBN 978-0300112542.
  2. ^ "Iran: In with the madding crowd". The Economist. 3 November 2012. Retrieved 2 March 2014.
  3. ^ a b Amuzegar, Jahangir (1991). Dynamics of the Iranian Revolution: The Pahlavis' Triumph and Tragedy. SUNY Press. p. 250. ISBN 978-0-7914-0731-8. Retrieved 18 August 2018.
  4. ^ "BBC فارسی - ايران - گاهشمار انقلاب" (in Persian). Retrieved 1 January 2018.
  5. ^ 아프카미, R. Gholam (2009) The Life and Times of the Shah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페이지 465 & 459, ISBN 0-520-25328-0
  6. ^ 안사리, M. 알리(2007) 현대 이란: 팔라비스와 피어슨 교육 259페이지 ISBN 1-4058-4084-6
  7. ^ 연방 연구 부서 (2004) 이란 A 나라 연구 케싱어 출판, 78페이지 ISBN 1-4191-2670-9
  8. ^ 바울, 타루, 시드, M. H. (2003) 무슬림 세계의 백과사전, 안몰 출판사 PVT, 2003, 105페이지, ISBN 81-261-1419-3
  9. ^ 다니엘, 엘튼 L.와 마흐디, 알리 아크바르(2006) 이란 문화관세청, 그린우드 프레스, 웨스트포트, 코네티컷, 106페이지, ISBN 0-313-32053-5
  10. ^ a b 히로, 딜립 (1985) 아야톨라 루틀리지 (Ay. 런던 폴, 74페이지 ISBN 0-7100-9924-X
  11. ^ Steven Gaythorpe (24 July 2015). Cinema. Lulu.com. ISBN 978-1-326-36973-6.
  12. ^ Staff Writer. "Cinema Rex Tragedy of 1978 is Recreated in London Exhibition by Mahmoud Bakhshi". Kayhan Lif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9 July 2017. Retrieved 22 January 2017.
  13. ^ William H. Blanchard (1996). Neocolonialism American Style, 1960-2000. Greenwood Publishing Group. p. 39. ISBN 978-0-313-30013-4.
  14. ^ The Middle East: Issues and Events of 1978 from the New York Times Information Bank. Arno Press. 1980. p. 101. ISBN 978-0-405-12875-2.
  15. ^ "The Iranian Revolution: King Pahlavi (the Shah) against Dissent". MacroHistory: The Prehistory to the 21st Century. Retrieved 21 August 2006.
  16. ^ Doug Lennox (26 March 2008). Now You Know Disasters: The Little Book of Answers. Dundurn. p. 69. ISBN 978-1-4597-1810-4.
  17. ^ a b Sabine Haenni; Sarah Barrow; John White (15 September 2014). The Routledge Encyclopedia of Films. Routledge. p. 244. ISBN 978-1-317-68261-5.
  18. ^ George Bullen (14 August 2015). Nine Months in Iran. Lulu.com. p. 88. ISBN 978-1-329-43953-5.
  19. ^ "Mr. Monir Taheri - Iran Human Rights Memorial". Iranrights.org. Retrieved 2 March 2014.
  20. ^ 모타헤데, 로이(2004) 예언자의 맨틀: 이란의 종교와 정치, 375페이지.
  21. ^ L. Byman, Daniel. "The Rise of Low-Tech Terrorism". The Washington Post. Retrieved 6 May 2007.
  22. ^ "The unvanquished". Behrouz Vossoughi.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October 2006. Retrieved 21 August 2006.
  23. ^ "The hero and the heroin". Payvand. Retrieved 21 August 2006.
  24. ^ Staff Writer. "The cinema Rex fire was performed by SAVAK". Jamaran News.
  25. ^ Ahmadiyan, Majid. "The Catastrophe of Cinema Rex the Fire of the Islamic Revolution" (PDF). cinemarexabadan.

참고 문헌 목록

  • 모타헤데, 로이 P. - 예언자의 맨틀: 이란, 옥스포드, 원월드, 2000년.
  • 바이먼, 다니엘 L. "저기술 테러의 부상" 워싱턴 포스트 2007년 5월 6일: B03.

외부 링크

좌표: 30°20°06°N 48°16′59″E / 30.3349°N 48.2830°E / 30.3349; 48.2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