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 4세

Classics IV
클래식 4세
Classics IV, 1968. L-R: Dennis Yost, JR Cobb, Joe Wilson, and Walter Eaton
클래식 4세, 1968년 L-R: 데니스 요스트, JR 콥, 조 윌슨, 월터 이튼
배경 정보
기원미국 플로리다 잭슨빌
장르소프트 록[1]
년 활동
  • 1965–1975
  • 2001-현재
레이블제국 기록, MGM 기록
관련 행위애틀랜타 리듬 섹션
웹사이트www.theclassicsiv.com
회원들
  • 톰 개럿
  • 케빈 로이드
  • 제임스 요더
  • 폴 웨들
  • 존 커너
  • 숀 화이트
과거 구성원

클래식4는 1965년 미국 플로리다주 잭슨빌에서 결성된 미국 밴드다.[2] 데니스 요스트가 창단한 이 밴드는 커버 기준이 된 1967년부터 1969년까지 발매된 히트곡 '스푸키', '스톰', '트레이스'로 주로 알려져 있다.[3]

경력

1965-1966: 얼리 데이즈

이 그룹은 기타리스트 J. R. Cobb, 베이시스트 월터 이튼, 키보드 연주자 조 윌슨, 색소폰 연주자 그레그 캐롤, 드러머 데니스 요스트 등으로 구성된 잭슨빌 커버 밴드 The Classic으로 시작되었는데, 이 밴드는 이전에 더 에코 멤버였던 사람이다. "The Classic"이라는 이름은 Yost가 소유한 클래식 드럼 세트에서 유래되었다. 그는 서서 경기를 했기 때문에 조지아/플로리다 지역에서 "스탠드업 드러머"로 알려져 있었다. 클래식스는 "미스티"와 "섬머타임"의 악기 버전뿐만 아니라 벤처스 커버를 연주했다. 사람들이 보컬을 요청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데니스는 "나는 저 노래를 부를 수 있다"고 말하곤 했고, 그것이 그룹의 새로운 방향의 시작이었다.[4]

이 그룹은 재능 있는 에이전트인 앨런 디그스에 의해 데이토나 해변에서 공연하는 것이 발견되었는데, 그는 폴 코크란과 후에 버디 뷰이와 함께 이 밴드의 매니저가 되었다. 이 두 사람은 매니저인 빌 로위와 동맹을 맺고 밴드의 애틀랜타 이전을 촉구했다. 로워리의 도움으로 그들은 재빨리 그 그룹에게 캐피톨 레코드사와의 단독 거래를 가로챘다. 클래식의 데뷔 싱글은 로워리 고객인 조 사우스(Joe South)가 작사하여 포시즌스(Four Seasons)와 비슷한 스타일로 부른 "폴리아나"이다.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그때까지'라는 제목의 싱글을 갖고 있는 '클래식스'[5]라는 녹음행위가 이미 있다는 사실을 알리는 편지를 받았다.

1966-1970: 성공

클래식4는 딕 클라크의 TV쇼 '액션이 있는!'에서 '폴리아나'를 공연했고, '폴리아나'는 지역적으로 히트를 쳤다. 그러나 뉴욕에 있는 WABC (AM) 라디오가 그것을 재생하기 시작했을 때 그들은 포시즌스 매니저로부터 "폴리아나"의 방송연기를 중단하라는 전화를 받았다. 그렇지 않으면 그들은 다른 악감정들 중에서도 더 이상 포시즌스 녹화에 대한 독점권을 받지 않을 것이다.[6] 그 그룹은 임페리얼 레코드와 계약을 맺었다. 기타리스트 콥과 뷰이는 1966년 애틀랜타 색소폰 연주자 마이크 샤프의 지역 히트곡인 "스푸키"라는 제목의 재즈 악기에 가사를 추가했다. 이 싱글은 1968년 2월 미국에서 핫 100에서 3위, 영국에서는 46위에 올랐다.[5]

드러머 킴 베너블(Clayton Kimbal Venable, 1944년 5월 5일 앨라배마 에크렉틱에서 출생, 2016년 6월 12일 사망)[7]이 유입되어 요스트가 자유롭게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Drummer Dennis St. 존과 베이시스트 에모리 고디는 그들의 스튜디오 녹음의 음악가였다.) 윌슨은 밴드를 탈퇴하고 캔디맨 멤버인 딘 도트리로 교체되었다. 밴드는 데니스 요스트가 출연하는 The Classic IV로 이름을 바꾸고 톱10 히트작인 'Stormy'(1968, 핫 100 5번)와 'Traces'(1969, 핫 100 2번, 이지 리스닝 2번)를 두 번 더 즐겼으며, 에모리 고디가 공동 집필하기도 했다. 콥과 부이는 로버트 C와 웬델 P의 1936년 "예수와 함께 하는 매일"에서 많은 돈을 빌렸다. 20위 후속작 "Every Day with You Girl"(1969년, 핫 100 No.19, 이지 리스닝 12번)[8]을 필두로 하는 사랑 없는.

'스푸키', '스톰', '트레이스'는 각각 100만장 이상 팔렸고, 모두 R.I.A.A.A.에서 골드디스크를 받았다.[9] 이 세 개의 히트곡과 "Every Day With You Girl"은 1977년 영화 "The Chicken Chronicles"에도 출연했다.

1970년에 콥, 뷰이, 도트리는 캔디맨 드러머 로버트 닉스와 함께 애틀랜타 리듬 섹션이 될 것을 구성했다. 하지만, 이전 두 사람은 이 밴드의 작가와 프로듀서로 활동했다.[5] 1969년 5월에 일어난 자동차 사고에서 회복한 후, 이튼은 밴드를 떠났고 이후 유니시스에서 일하면서 전자공학 전문가가 되었다.[8]

1970-1975: 후기

요스트의 남은 원년 멤버로, 이 그룹은 다시 데니스 요스트와 클래식 4로 이름을 바꾸었다. 임페리얼이 유나이티드 아티스트 레코드에 흡수된 후, 이 그룹은 MGM 사우스와 계약을 맺었다.[4] 1971년 다른 로워리 예술가 토미 로와 스윙인의 메달리온스에서 일한 후 마이클 휴이가 드러머가 되었다. 이 기간 동안 휴이는 또한 로웨이 스튜디오의 스태프 드러머가 되었고 후에 로스앤젤레스로 이사했다.[10]

1972년 39위로 정점을 찍은 "What Am I Crying For"의 최종 히트곡인 "What Am I Crying For"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후속 발매는 성공적이지 못했다. 이때쯤에는 코크란과 부이의 파트너십이 끝났다. 유스트는 1975년 '그녀 없는 나의 첫날'이 개봉된 후 그룹을 해체하고 플로리다로 돌아왔다.[4]

1975-2001: After Classic IV

1977년, 요스트는 홀리데이 인 서킷에서 자신의 이름이나 "클래식 원"으로 공연하기 위해 돌아왔다.[4] 이 무렵 그는 클래식 IV의 이름에 대한 권리를 잃었다. 같은 해, 이튼은 1977년에 잭슨빌의 컴퓨터 시스템에 취직했고 이후 시청에서 일했다. 그는 현재 플로리다 커뮤니티 칼리지의 교수로 있다.[8] 애틀랜타 리듬 섹션은 70년대 중반에서 80년대 초반까지 다수의 톱40 히트곡을 냈는데, 그 중에서도 '도라빌', '소인 투 유', '상상적인 연인', '오늘밤엔 나를 괴롭히지 않을 거야', '도이팅이냐 죽느냐', '스푸키'를 리메이크했다.

1990년대에는 스티브 "스티비 지" 게틀러(기타, 보컬), 제프 "JT" 스트리클러(베이스 기타, 보컬), 스티브 패럴(기타, 보컬), 마이크 윌슨(키보드, 보컬), 그리고 로커즈(드럼, 보컬)를 포함한 많은 백업 밴드를 사용했다. 또한 내슈빌에 본사를 둔 스티브 자렐과 더 선즈 오브 더 비치 밴드를 비롯해 버지니아주 버지니아 비치의 히츠를 에드 허치슨(기타, 백 보컬), 라몬 곤잘레스(키보드, 백 보컬), 앤디 크로스웰(드럼스), 데이비드 보스와 함께 사용했다.

1993년 클래식 4세는 조지아 음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4]

2001-2006: 리폼

2001년에 Yost는 그의 노래하는 목소리를 심각하게 손상시킨 상태로 성공적인 목 수술을 받았다. 이후 그는 클래식 IV라는 이름으로 투어를 시작했고, 이 이름에 대한 권리를 얻었다.

2006-2008: 요스트의 죽음

2006년 7월 11일, 요스트는 계단에서 넘어져 심각한 뇌 외상을 입었다. 요스트 부부의 의료비를 지원하기 위해 2007년 3월 25일 오하이오 주 신시내티의 코뿔소 라이브에서 자선 콘서트가 열렸다. 이 콘서트는 요스트나 그의 부인에게 희망대로 재정적으로 큰 도움이 되지 않았고, 비용은 모금된 돈을 훨씬 초과하여 행사를 적자상태로 만들었다. 그러나 요스트에게는 그렇게 많은 옛 친구들과 함께 찾아간 것이 커다란 정서적 자극이었다.

사고 후 톰 개럿은 요스트에 의해 클래식 4의 리드 싱어로 발탁되었다. 요스트가 매년 몇 차례 '특별 출연'을 하고, 점차 개럿을 밴드의 리더로 맡기는 것이 계획이었다. 하지만 요스트는 2008년에 단 한 번의 출연만으로 그들과 함께 공연할 수 있었다. [11]

요스트는 2008년 12월 7일 '스톰이'가 '핫 100' 톱10 진입 40주년을 맞아 호흡부전으로 65세를 일기로 별세했다.[12]

2008-현재: 포스트-요스트

현재 클래식 4의 라인업은 리드 보컬로 개럿, 베이스의 케빈 로이드, 키보드상의 제임스 요더, 색소폰의 폴 웨들, 기타의 존 커너, 드럼의 숀 화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그 그룹은 정기적으로 오늘을 관광한다.[13]

음반 목록

앨범

연도 앨범 라벨 & 번호 US 빌보드
1968 으스스한 임페리얼 LP-9371(모노), LP-12371(스테레오), 재발행: Liberty LN-10182(1982) 140
마마스와 파파스/소울 트레인 영국식 LP-12407, 재발행: Liberty LN-10221 (1984) 196
1969 트레이스 임페리얼 LP-12429 45
골든 그레이츠 1권(컴필레이션) 임페리얼 LP-16000 50
1970
노래 리버티 LST-11003
1973 내가 무엇을 위해 울고 있는가 MGM 사우스 MSH-702

컴필레이션스

  • Storman – Sunset SUS-5323 – 1970
  • Vere Best of Classic IVUnited Artists UA-LA446-E – 1975; 재발행: Liberty LN-10109(1981); CD 재발행: 캐피톨/EMI 91472(1988)
  • 클래식 – Liberty LN-10260 – 1985
  • Lil' Bit of GoldRhino R3-73004 – 1988 (special 3-inch CD single featuring the band's 4 major charting hits under the 'Classics IV featuring Dennis Yost' name: "Spooky", "Traces", "Every Day With You Girl", "Stormy"); regular CD reissue: CEMA Special Markets CDLL-57489 (1991)
  • 최고 히트곡(10 Best Series) – CEMA 특별 시장 CDLL-57402 – 1991
  • The Best of Dennis Yost & the Classic IV (레전드 마스터스 시리즈) – Taragon TARCD-1091 (EMI-Capitol Music Special Markets를 통해 발표) – 2002년
  • 대기학: A Complete Career Collection 1966–1975 – Raven RVCD-134(호주 출시) – 2003
  • Dennis Yost: Going Through The Motion – The Classic IV Label #101 – 2011 [2LP-on-1CD]
  • 트레이스, Song – The Classic IV 라벨 #102 – 2011 [2LP-on-1CD]
  • Spooky, Mamas Papas/Soul Train – The Classic IV Label #103 – 2011 [2LP-on-1CD]
  • 새로운 Horizon – The Classic IV Label/CD Baby – 2011년(CD/디지털 다운로드)
  • 폭풍우 치는 밤: The Classic IV Live at the Ritz – The Classic IV Label/CD Baby – 2015(CD/디지털 다운로드)
  • Dennis Yost: "Paint My Blues"(rec. 1991년); Voilety의 Voice for the Voices — 2015(디지털 다운로드)
  • Spooky, Mamas and Papas/Soul Train, Traces, Song – Beat Goes On/BGO 5017261213679 (영국 발매) – 2018[4LP-on-2CD 세트] (첫 4개 앨범 재발매/재발매)

싱글스

연도 싱글(A측, B측)
표시된 위치를 제외한 동일한 앨범의 양면
라벨 & 번호 차트 위치 앨범
미국[14] US AC
1966 "폴리아나"
b/w "Cry Baby"
"클래식"으로
캐피톨로5710번길 106 비앨범 트랙
1967 "리틀 달린"
b/w "Nothing to Lose"
의사당로5816번길
"스푸키"
b/w "가난한 사람들"
제국 66259 3 으스스한
1968 "소울 트레인"
b/w "이상한 변화"
제국 66293 90 마마스와 파파스/소울 트레인
"마마와 파파스"
b/w "웨이브"
제국 66304
"스톰"
b/w "24시간의 외로움"
제국 66328 5 26
1969 "트랙스"
b/w "Mary, Mary Row Your Boat"(스푸키에서)
제국 66352 2 2 트레이스
"Every Day with You Girl"
b/w "센티멘탈 레이디"
제국 66378 19 12
"마음의 변화"
b/w "Rainy Day"(추적에서)
제국 66393 49 25 골든 그레이츠 1권
"미드나잇"
b/w "The Comic"
제국 66424 58 23 노래
1970 "가장 웃긴 것"
b/w "나 말고는 아무도 널 사랑하지 않아"
제국 66439 59 11
"하나님은 내가 그녀를 사랑했다는 것을 아십니다"
b/w "We Miss You"
자유 56182 128
"좋은 시절은 다 어디로 갔을까"
b/w "An't It the Truth"
자유 56200 69 14
1971 "체리힐 파크"[15]
b/w "픽업 더피스"
유나이티드 아티스트 50805
1972 "사랑할 시간이야"
b/w "Most of All"(노래에서)
유나이티드 아티스트 50777 31 비앨범 트랙
"무엇 때문에 울고 있는가"
b/w "All in Your Mind"
MGM 사우스 7002 39 7 내가 무엇을 위해 울고 있는가
1973 "로사나"
b/w "One Man Show"
MGM 남부 7012 95 35
"Make Me Believe It"
b/w "Save the Sunshine"
MGM 남부 7016
"Love Me or Leave Me Alone"
b/w "그럴 줄 알았어"
MGM 사우스 7020 비앨범 트랙
"이제 겨울날이야"
b/w "Loss My Mind"
MGM 남부 7027
1975 "그녀가 없는 첫날"
b/w "연애" 서로"
MGM 14785 94

참조

  1. ^ "Lead singer of '60s group the Classics IV dies". Los Angeles Times. December 9, 2008. Retrieved January 26, 2017.
  2. ^ Colin Larkin, ed. (1997). The Virgin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Concise ed.). Virgin Books. p. 269. ISBN 1-85227-745-9.
  3. ^ Tamarkin, Jeff (January 2, 2018). "The Classics IV Trio: 'Spooky,' 'Stormy' & 'Traces'". Best Classic Bands. Retrieved September 2, 2020.
  4. ^ a b c d e Miller, Zell (1996). They Heard Georgia Singing. Mercer University Press. pp. 310–312. ISBN 9780865545045. Retrieved September 2, 2020 – via Google Books.
  5. ^ a b c Williams, John; White Jr., Andy (2019). Atlanta Pop in the 50s, 60s and 70s. Arcadia Publishing. pp. 95–99. ISBN 9781467138727. Retrieved September 2, 2020 – via Google Books.
  6. ^ "Classics IV - Biography & History". AllMusic. Retrieved 27 October 2017.
  7. ^ 클레이튼 킴벌 "킴" Venable 1944 - 2016년 부고 접속일 2018년 3월 4일
  8. ^ a b c Patton, Charlie (December 13, 2008). "Remembering the (real) Classics". The Florida Times-Union. Retrieved August 22, 2020.
  9. ^ Murrells, Joseph (1978). The Book of Golden Discs (2nd ed.). London: Barrie and Jenkins Ltd. pp. 218 & 256. ISBN 0-214-20512-6.
  10. ^ "Michael Huey - Credits". AllMusic. Retrieved 27 October 2017.
  11. ^ James, Gary (July 2, 2019). "Gary James' Interview With Tom Garrett Of The Classics IV". Classic Bands. Retrieved August 22, 2020.
  12. ^ AP통신, 2008년 12월 8일 클래식 IV 가수 데니스 요스트가 65세로 별세하다; www.msnbc.msn.com
  13. ^ Spotlight Central (July 2, 2019). "The 2019 Happy Together Tour: LIVE! at BergenPAC". New Jersey Stage. Retrieved August 22, 2020.
  14. ^ Whitburn, Joel (2011). Top Pop Singles 1955–2010. Record Research, Inc. p. 945. ISBN 978-0-89820-188-8.
  15. ^ "Music Archive: Dennis Yost & Classics Four ~ Song (1970)". Musicofsixties.blogspot.com. 15 February 2013. Retrieved 27 October 201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