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버리프 퀘이사
Cloverleaf quasar클로버리프, H1413+117, QSO 1415+1129 | |
---|---|
관측 데이터(Epoch J2000) | |
우측 상승 | 14 h 15 m 46.27 s |
탈위임 | +11° 29 ′ 43.4 ″ |
레드시프트 | 2.56 |
거리 | 11 글리 |
겉보기 크기 (V) | 17 |
주목할 만한 특징 | 4-이미지 렌즈, 밝은 CO 배출 |
기타 지정 | |
QSO J1415+1129, QSO B1413+1143, H 1413+117, Clover Leaf Quasar | |
참고 항목:콰사르, 콰사르 목록 |
클로버리프 퀘이사(H1413+117, QSO J1415+1129)는 밝은 중력 렌즈 퀘이사이다.
퀘이사르
퀘이사와 연관된 숙주 은하에서 검출된 분자 가스(유명하게 CO)는 알려진 가장 오래된 분자 물질로 초기 우주에서 대규모 항성 형성의 증거를 제공한다.클로버리프는 전경렌즈가 제공하는 강력한 확대 덕분에 높은 적색시프트에서[1] 가장 밝은 CO 배출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적색시프트 z = 2.56에서 HCN[2] 또는 HCO+ 방출로 검출된 최초의 배출원이기도 하다.[3]4개의 퀘이사 이미지는 원래 1984년에 발견되었다; 1988년에 그들은 4개의 퀘이사가 아닌 4개의 이미지로 분할된 하나의 퀘이사로 결정되었다.철 원자의 X선도 낮은 에너지의 X선에 비해 강화되었다.중력렌즈로 인한 브라이트닝의 양은 파장에 따라 달라지지 않기 때문에 추가 물체가 X선을 확대했다는 뜻이다.X선 광선의 확대는 중력 마이크로렌징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데, 이것은 우리 은하의 소형 별과 행성을 찾는 데 사용되어 왔다.마이크로렌징은 항성이나 복수의 항성계가 배경 물체로부터 빛 앞을 통과할 때 발생한다.만약 하나의 항성이나 전광 은하 중 하나의 항성계가 가장 밝은 이미지를 위해 빛 경로 앞을 통과한다면, 그 이미지는 선택적으로 확대될 것이다.[citation needed]
블랙홀
X선은 가시광선의 원점 영역보다 더 작은 렌즈 은하의 중심 초거대 블랙홀 주변 지역에서 나온 것이라면 가시광선보다 훨씬 더 확대된 것이다.철 이온에서 나오는 X선의 증가는 이와 같은 효과에 기인할 것이다.분석 결과 X선은 중앙 블랙홀 주변의 태양계 정도의 매우 작은 지역에서 나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시광선은 10배 혹은 그 이상의 지역에서 나오고 있다.110억 광년 거리에 있는 이들 지역의 각도 크기는 허블우주망원경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지역보다 수만 배 작다.이것은 초질량 블랙홀 주위의 기체의 흐름을 시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citation needed]
렌징 은하와 부분 아인슈타인 고리
NICMOS와 특수 알고리즘의 데이터를 통해 렌즈 은하와 부분적인 아인슈타인 링이 해결되었다.아인슈타인 링은 렌즈가 달린 퀘이사의 숙주 은하를 나타낸다.[4]
역사
클로버리프 퀘이사는 1988년에 발견되었다.2004년 찬드라 X선 관측소에 의해 수집된 클로버리프의 데이터는 광학 망원경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와 비교되었다.클로버리프의 X선 구성 요소(A) 중 하나는 광학 및 X선 광선 모두 다른 구성 요소보다 밝지만 광학 광선보다 X선에서 상대적으로 밝은 것으로 밝혀졌다.철 원자의 X선도 낮은 에너지의 X선에 비해 강화되었다.[citation needed]
참고 항목
참조
- ^ S. Venturini; P. M. Solomon (2003). "The Molecular Disk in the Cloverleaf Quasar". Astrophysical Journal. 590 (2): 740–745. arXiv:astro-ph/0210529. Bibcode:2003ApJ...590..740V. doi:10.1086/375050.
- ^ P. Solomon; P. Vanden Bout; C. Carilli; M. Guelin (2003). "The Essential Signature of a Massive Starburst in a Distant Quasar". Nature. 426 (6967): 636–638. arXiv:astro-ph/0312436. Bibcode:2003Natur.426..636S. doi:10.1038/nature02149. PMID 14668856.
- ^ D. A. Riechers; et al. (2006). "First Detection of HCO+ Emission at High Redshift".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645 (1): L13–L16. arXiv:astro-ph/0605437. Bibcode:2006ApJ...645L..13R. doi:10.1086/505908.
- ^ Chantry, Virginie; Magain, Pierre (August 2007). "Deconvolution of HST images of the Cloverleaf gravitational lens : detection of the lensing galaxy and a partial Einstein ring". Astronomy & Astrophysics. 470 (2): 467–473. arXiv:astro-ph/0612094. Bibcode:2007A&A...470..467C. doi:10.1051/0004-6361:20066839. ISSN 0004-6361.
추가 읽기
- R. Barvainis; L. Tacconi; R. Antonucci; D. Alloin; P. Coleman (2002). "Extremely strong carbon monoxide emission from the Cloverleaf quasar at a redshift of 2.5". Nature. 371 (6498): 586–588. Bibcode:1994Natur.371..586B. doi:10.1038/371586a0.
- C. M. Bradford; et al. (2009). "The Warm Molecular Gas Around the Cloverleaf Quasar". Astrophysical Journal. 705 (1): 112. arXiv:0908.1818. Bibcode:2009ApJ...705..112B. doi:10.1088/0004-637X/705/1/112.
외부 링크
- 하바드 CfA의 찬드라, "Cloverleaf Quasar: 우주 네 잎 클로버 위를 본 찬드라" 2009년 2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