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틀라스 FC
Atlas F.C.![]() | |||
전체이름 | 아틀라스 FC | ||
---|---|---|---|
닉네임 | 로스 로진그로스 (The Red and Blacks) "로스 조로스" (여우들 라 아카데미아 (The Academy) "라 푸리아" (분노) "Las Margaritas" (데이지 플라워) | ||
단명 | ATS | ||
설립된 | 1916년 8월 15일; | 전 (||
땅 | 에스타디오 할리스코 | ||
용량. | 56,713[1][2] | ||
주인 | 그루포올레기 | ||
회장님 | 호세 리에스트라 | ||
부장님 | 벤야민 모라 | ||
리그 | 리가 MX | ||
클라우수라 2023 | 정기기 : 9기 최종 단계:준준결승 | ||
웹사이트 | 동호회 홈페이지 | ||
| |||
아틀라스 FC 스페인어 발음:[ˈ틀라스 ˈ푸 ðβol ˈkluβ)는 멕시코 할리스코주 과달라하라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현재 리가 MX에 참가하고 있습니다.
1916년에 설립된 아틀라스는 3번의 리그 우승과 4번의 국내 컵 우승을 일궈냈습니다.로스 로지네그로스는 1950년대와 60년대에 전성기를 맞았지만, 최근에는 멕시코 축구계의 몇 안 되는 "비캄페온"(연속 챔피언)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3][4]
아틀라스는 "클라시코 타파티오"라고 불리는 도시 라이벌 시바스와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역사
아틀라스는 멕시코 과달라하라의 한 술집에서 설립되었는데, 몇몇 친구들이 영국 노스요크셔에 있는 앰플포스 대학에서 공부하면서 축구를 했던 경험을 회상했습니다.1916년 8월, 알폰소와 후안 호세 "리코" 코르티나, 페드로 "페리코" 그리고 카를로스 페르난데스 델 발레, 오렌다인 삼형제와 페데리코 콜리뇽 (베를린에서 공부했던)은 마침내 축구팀을 만들기로 결정했습니다.이들은 그리스 신화의 타이탄을 모티브로 삼아 '아틀라스'라는 이름을 선택했고, 클럽의 색깔은 빨간색과 검은색을 선택했습니다.
클럽의 첫 타이틀은 1945-46 시즌의 코파 MX로, 결승전에서 아틀란테를 꺾었습니다.같은 해 베라크루즈와의 슈퍼컵 경기에서 3-2로 이겼습니다.4년 후, 아틀라스는 1949-50 시즌에 두 번째 코파 MX 우승을 거두었습니다.이듬해인 1950-51 시즌, 아틀라스는 22경기에서 12승을 거두며 첫 리그 우승을 차지했습니다.그러나, 불과 2년 후, 아틀라스는 탐피코를 상대로 4-0으로 패하며 처음으로 강등당했습니다.그러나 그 다음 시즌, 아틀라스는 곧바로 1위로 복귀했습니다.
아틀라스는 1990년대 후반 라파엘 마르케스, 다니엘 오소르노, 후안 파블로 로드리게스, 파벨 파르도, 마리오 멘데스, 오마르 브리세뇨, 미겔 제페다 등 유망주들이 포진한 히카르두 라 볼페 감독 체제에서 황금기를 맞았지만, 엄청난 재능을 가진 팀이 있었고, 베라노 1999 결승까지 올랐지만,그들은 타이틀을 정복하지 못했고 데포르티보 톨루카를 상대로 합계 5-5로 비긴 후 연장전에서 승부차기로 패배했습니다.
2000년, 아틀라스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처음으로 참가했습니다.그들은 라운드 로빈 방식의 예선전에서 클럽 아메리카, 데포르티보 타치라, 그리고 데포르티보 이탈차카오와 경기를 치렀습니다.그들의 첫 경기는 미국에 2-0으로 패한 것이었고, 타치라와 이탈차카오에 비겼습니다.그러나 그들은 미국을 6-3으로 이긴 후 타치라를 이기고 이탈차카오를 상대로 비긴 후 회복하여 조 1위를 차지했습니다.그 결과 아틀라스는 리버 플레이트, U. 데 칠레, 아틀레티코 나시오날과 함께 4조에 편성되어 정상적인 대회에 진출하게 되었습니다.과달라하라를 연고로 하는 클럽의 첫 경기는 2월 23일, 1-1로 비긴 리버와의 경기였습니다.그 다음 경기는 메데인에서 열린 아틀레티코 나시오날과의 경기로 3-2 승리를 거두었습니다.이후, 클럽은 우데 칠레와의 경기에서 비겼고, 이후 콜롬비아 챔피언 나시오날과의 경기에서 5-1로 패했지만, 산티아고에서 열린 우데 칠레와의 최종전에서 패했습니다.비록 아틀라스는 승점에서 U. de Chile와 같은 수준으로 경기를 마쳤지만, 더 나은 골득실에서 그들이 통과할 것입니다.16강전에서, 멕시코는 콜롬비아의 아틀레티코 주니오르를 합계 5-1로 꺾고 8강에 진출하였으나, 준우승을 차지한 팔메이라스에게 2패를 당하며 합계 5-2로 탈락하였습니다.
2008년, 아틀라스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두 번째 출전을 했습니다.그들의 캠페인은 인터리가라고 불리는 예선 토너먼트로 시작되어 톨루카, 모렐리아, 그리고 아메리카를 상대했습니다.인터리그가 끝날 무렵, 그들은 톨루카와 승점과 골득실에서 동률을 이루었고, 따라서 동전 던지기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할 팀이 결정되었습니다.아틀라스는 동전 던지기에서 승리하여 1부 리그에 진출하였고, 볼리비아의 라파스를 합계 2-1로 이겼습니다.아틀라스는 보카 주니어스, 콜로-콜로, 마라카이보와의 조별리그에서 보카 주니어스, 콜로-콜로를 상대로 눈에 띄는 승리를 거두는 등 승점 11점으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16강전에서 라누스를 합계 3-2로 탈락시켰습니다.8강전에서 보카 주니어스와 다시 맞붙었습니다.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1차전에서 아틀라스는 2-2 무승부를 거두었지만, 과달라하라에서 열린 2차전에서 보카는 3-0 승리를 거두며 팀을 탈락시켰습니다.
아틀라스는 2014년 아페르투라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2015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권을 획득했습니다.토마스 보이가 이끄는 팀은 조별 리그에서 인데펜디엔테 산타페, 아틀레티코 미네이루, 콜로-콜로와 맞붙었습니다.첫 경기에서는 산타페에게 1-0으로 패했지만, 두 번째 경기에서는 아틀레티코 미네이루를 상대로 역사적인 1-0 승리를 거두었고, 이로써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37년 홈 무패 행진은 끝이 났습니다.아틀라스는 홈에서 아틀레티코를 다시 이겼지만, 보고타에서 산타페에게 패하며 조 최하위로 탈락했습니다.
2021년 12월 12일, 아틀라스는 에스타디오 할리스코에서 열린 클루브 레온과의 경기에서 승부차기 4-3으로 승리하며 70년간 지속된 우승 가뭄을 종식시켰고, 두 번째 리그 우승을 차지했습니다.[5]

2022년 3월 5일 케레타로의 경기장에서 열린 아틀라스와 케레타로의 경기에서, 경기에 참석한 팬들 사이에 폭동이 일어났습니다.[6]소셜 미디어에 올라온 동영상에는 남성들이 피해자들을 때리고 발로 차고 끌고 가는 모습이 담겨 있었습니다.[7]케레타로 주의 시민 보호 기관에 따르면, 적어도 22명의 남성들이 다쳤다고 합니다.[8]리가 MX는 이번 폭동에 대응해 아틀라스 소속 바라사들의 홈경기 참석을 최대 6개월간 금지하는 등 아틀라스를 제재했습니다.[9][10]
아틀라스는 2022년 5월 29일 파추카를 상대로 세 번째 리그 우승을 차지했습니다.5월 26일에 열린 1차전에서 아틀라스는 파추카를 에스타디오 할리스코에서 2-0으로 이겼고, 2차전에서 2-1로 패했지만 합계 3-2로 승리해 리그 역사상 3번째로 2연패를 달성한 팀이 되었습니다.
청소년 아카데미
아틀라스는 성공적인 청소년 아카데미 설립으로 유명합니다.지난 몇 십 년간 아틀라스는 국내외에서 프로 경력을 쌓은 많은 선수들을 발전시켰습니다.많은 유소년 선수들이 유소년 선수들에게 1군 승격의 기회를 허용한다는 구단 철학에 따라 1군과 함께 뛸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알고 아틀라스 유소년 아카데미에 입학합니다.아틀라스는 리그 우승이 단 3번에 불과하지만, 지난 수십 년간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자레드 보르게티, 다니엘 오소르노, 호세 데 헤수스 코로나, 파벨 파르도, 오스왈도 산체스, 라파엘 마르케스, 후안 카를로스 메디나, 호르헤 에르난데스, 마리오 멘데스, 미겔 제페다 등의 선수들을 키워낸 아카데미로 유명합니다., 후안 파블로 로드리게스, 후안 파블로 가르시아, 조엘 에레라, 호르헤 토레스 닐로, 에드가 이반 파체코, 안드레스 과르다도, 제레미 마르케스, 디에고 바르보사 등.그 클럽의 하위 유소년부는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많은 타이틀을 획득했습니다.
에스타디오 할리스코

아틀라스는 현재 멕시코에서 세 번째로 큰 경기장으로 1960년 1월 31일에 건설된 에스타디오 할리스코에서 뛰고 있습니다.1970년 펠레의 브라질을 비롯한 역사적인 경기와 팀들이 열린 경기장입니다.1970년 FIFA 월드컵에서는 총 8경기가 개최되었으며, 그 중 6경기는 조별 리그 경기였고, 2경기는 8강과 4강 경기였습니다.이후 1986년 FIFA 월드컵에서는 9경기를 치렀는데, 이 중 6경기는 조별 리그 경기였고, 1경기는 16강, 2경기는 8강과 4강 경기였습니다.
지지자와 경쟁자
아틀라스 팬들은 전체적으로 La Fiel (The Faithel)로 알려진 반면, La Barra 51은 주요 조직적인 서포터 그룹입니다.라바라 51의 이름은 1951년 멕시코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아틀라스의 첫 우승을 상기시켜 줍니다.라피엘은 팀의 고전적인 활약을 통해 70년 동안 큰 성과 없이 팀을 지탱하며 이름을 날렸습니다.
고전파 타파티오
아틀라스의 강력한 라이벌은 과달라하라 시의 라이벌인 CD입니다. 치바스로 알려진 과달라하라.이 더비는 Classico Tapatio로 알려져 있으며 1916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멕시코에서 가장 오래된 축구 더비라고 알려져 있습니다.양 팀의 첫 번째 경기는 아틀라스가 창단된 직후에 열린 친선 경기로, 경기는 0-0으로 종료되었습니다.양팀의 첫 경기는 1917년 영어로 번역된 "봄의 토너먼트"인 "Torneno de Primavera"에서 나왔습니다.아틀라스는 이번 라운드에서 2-1로 승리했습니다.그러나, 이 경기는 시바스에 의해 심판 판정의 부진에 대한 불만이 제기되면서 논란을 일으켰습니다.시바스는 이 결과에 매우 화가 나서 1917-18 시즌의 다음 "할리스코 아마추어" 대회에 출전하기를 거부했는데, 주심 회장인 유스토 가르시아 고도이가 사임하지 않는 한 그는 출전을 거부했습니다.
그러나 시바스는 과달라하라 더비에서 가장 많은 승리를 거두며 양 팀이 치른 35개의 경기 중 16개를 이겼습니다.아틀라스는 겨우 9번 이겼고, 양팀은 8번 비겼습니다.
인사
관리
위치 | 직원 |
---|---|
회장님 | ![]() |
축구감독 | ![]() |
전무이사 | ![]() |
학원장 | ![]() |
출처 : 리가 MX
코칭스태프
위치 | 직원 |
---|---|
부장님 | ![]() |
대리인 | ![]() |
![]() | |
피트니스 코치 | ![]() |
골키퍼 코치 | ![]() |
팀닥터 | ![]() |
물리치료사 | ![]() |
플레이어
1군 선수단
- 2023년 7월 2일 기준
참고: 국기는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정의된 국가대표팀을 나타냅니다.참가자는 두 개 이상의 비 FIFA 국적을 보유할 수 있습니다.
|
|
대출외출
참고: 국기는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정의된 국가대표팀을 나타냅니다.참가자는 두 개 이상의 비 FIFA 국적을 보유할 수 있습니다.
|
|
예비팀
전직선수
셔츠 스폰서 및 제조업체
기간 | 키트제조사 | 셔츠파트너 |
---|---|---|
1989–90 | 파자리토 스포르트 | 빙 |
1990–91 | 비크마르 | 페냐피엘 |
1991–92 | 파자리토 스포르트 | 페냐피엘 |
1992–93 | 비크마르 | 페냐피엘 |
1993–94 | 움브로 | 테카테 |
1994–95 | ABA 스포츠 | 테카테 |
1995–96 | ABA 스포츠 | 후원자 없음 |
1996–99 | 아틀레티카 | 코로나/에스트라 |
1999–00 | 아틀레티카 | 코로나/코카콜라/에스트라 |
2000–01 | 아틀레티카 | 코카콜라/옴니라이프/코로나 |
2001–02 | 나이키 | 코카콜라/옴니라이프/코로나 |
2002–03 | 나이키 | 코카콜라/코로나 |
2003–04 | 나이키 | 코카콜라/코로나/텔셀 |
2004–05 | 카파 | 코카콜라/베도이엑타/ |
2005–06 | 카파 | 코카콜라/스카이/코로나 |
2006–07 | 카파 | 베도이엑타/코카콜라/코로나 |
2007–08 | 아틀레티카 | 베도이엑타/코카콜라/코로나/하늘/메가케이블 |
2008–09 | 아틀레티카 | 다이버시티 캐피탈/코카콜라/코로나/스카이/메가케이블 |
2009–10 | 아틀레티카 | 할리스코/코카콜라/코로나 |
2010–11 | 아틀레티카 | 코카콜라/루브리칸테스 아크론/코로나 |
2011–12 | 아틀레티카 | 코카콜라/과달라하라 2011/루브리칸테스 아크론/코로나 |
2012년 아페르투라 | 아틀레티카 | 코카콜라/루브리칸테스 아크론/코로나 |
2013–14 | 나이키 | 코카콜라/카사스자버/코로나/볼라리스/스카이 |
2014–17 | 퓨마 | 브리지스톤/코카콜라/스카이스포츠/아즈테카(멀티미디어 대기업)/코로나/방코아즈테카/볼라리스 |
2017–18 | 아디다스 | 코로나/코카콜라/스카이스포츠/아즈테카(멀티미디어 대기업)/방코아즈테카/볼라리스 |
2018–19 | 아디다스 | 에스트렐라 할리스코/코카콜라/토탈플레이/리니오/방코 아즈테카/가나벳/모빌슈퍼 |
2019–2020 | 아디다스 | 모플레이/우레아/옥소가스/방코 아즈테카/버드라이트/INTER프로텍시온/유니핀 |
2020– | 찰리 | 방코 아즈테카/우레아/페르두라/칼리엔테/INTER프로텍시온/옥소가스/베렐/볼라리스 |
관리자
하비에르 발디비에소 (1943–44)
에두아르도 발다티 (1944–54)
라울 레귀자몬 (1954–56)
펠리페 제터 (1956–58)
호르헤 마릭 (1958–60)
에두아르도 발다티 (1960–61)
바우어 (1961–63)
엔리케 알바레스 베가 (1963–64)
하비에르 노벨로 (1964–66)
아르파드 페케테 (1966–67)
하비에르 노벨로 (1967)
호세 고메스 (1968)
네이 블랑코 데 올리베이라 (1968–69)
엔리케 알바레스 베가 (1969–70)
아르파드 페케테 (1970–71)
알프레도 토레스 (1971–74)
밀로시 밀루티노비치 (1975–76)
알프레도 토레스 (1976–77)
오딜론 미렐레스 (1977)
클라우디오 로스타소 (1978)
알프레도 토레스 (1978–80)
알폰소 포르투갈 (1980-81)
호세 안토니오 로카(José Antonio Roca, 1981년 7월 1일 ~ 1982년 6월 30일)
아르파드 페케테 (1982–83)
에르네스토 시스네로스 (1983–84)
알프레도 토레스 (1984–86)
발데마르 와실레프스키(1986~87)
카를로스 라이노소 (1987–88)
호세 루이스 레알 (1988-89)
루이스 가리스토 (1989-92)
페드로 가르시아 바로스 (1992)
마리오 자나브리아 (1992년 7월 1일 ~ 1993년 6월 30일)
마르셀로 비엘사 (1993년 7월 1일 ~ 1995년 1월 29일)
하비에르 토렌테 (1995년 1월 29일 ~ 1995년 2월 3일)
에프라인 플로레스 (중간) (1995년 2월 3일 ~ 1995년 6월 30일)
Eduardo Solari (1995년 7월 1일 ~ 1996년 6월 28일)
에프라인 플로레스 (1996년 7월 1일 ~ 1997년 3월 9일)
리카르도 라 볼페 (1997년 7월 1일 ~ 2001년 6월 30일)
에프라인 플로레스 (2001년 9월 22일 ~ 2001년 12월 31일)
엔리케 메자 (2002년 1월 1일 ~ 2002년 9월 29일)
페르난도 퀴라르테 (2002년 10월 3일 ~ 2003년 9월 16일)
세르히오 부에노 (2003년 9월 19일 ~ 2005년 4월 17일)
다니엘 구즈만(Daniel Guzmann, 2005년 7월 1일 ~ 2006년 4월 30일)
루벤 로마노 (2006년 7월 1일 ~ 2007년 9월 18일)
호르헤 카스타네다 (임시) (2007년 9월 21일 ~ 2007년 9월 23일)
토마스 보이 (2007년 9월 28일 ~ 2007년 12월 31일)
미겔 앙헬 브린디시 (Miguel Angel Brindisi, 2008년 1월 6일 ~ 2008년 9월 4일)
다리오 프랑코(Dario Franco, 2008년 9월 5일 ~ 2009년 1월 26일)
리카르도 라 볼페 (2009년 1월 28일 ~ 2010년 1월 1일)
카를로스 이스키아 (2010년 1월 1일 ~ 2010년 8월 23일)
호세 루이스 마타 (중간) (2010년 8월 24일 ~ 2010년 10월 17일)
벤자민 갈린도 (2010년 8월 24일 ~ 2011년 6월 30일)
루벤 로마노 (2011년 7월 1일 ~ 9월 22일)
후안 카를로스 차베스 (2011년 9월 22일 ~ 2012년 8월 27일)
토마스 보이 (2012년 8월 29일 ~ 2013년 6월 30일)
오마르 아사드 (2013년 7월 1일 ~ 2013년 10월 16일)
호세 루이스 마타 (2013년 10월 17일 ~ 11월 10일)
토마스 보이 (2013년 12월 6일 ~ 2015년 5월 17일)
구스타보 마토사스 (2015년 5월 30일 ~ 2015년 12월 3일)
구스타보 코스타스 (2015년 12월 10일 ~ 2016년 5월 21일)
호세 과달루페 크루즈 (2016년 6월 17일 ~ 2018년 1월 15일)
헤라르도 에스피노자 (2018년 1월 15일 ~ 2018년 1월 25일)
루벤 로마노 (2018년 1월 25일 ~ 2018년 3월 19일)
헤라르도 에스피노자 (2018년 3월 19일 ~ 9월 3일)
앙헬 기예르모 호요스 (2018년 9월 11일 ~ 2019년 3월 9일)
레안드로 쿠프레 (2019년 3월 11일 ~ 2020년 1월 29일)
라파엘 푸엔테 주니어 (2020년 1월 30일 ~ 2020년 8월 10일)
디에고 코카 (2020년 8월 11일 ~ 2022년 10월 1일)
벤자민 모라 (2022년 10월 6일 ~ 현재)
명예
- 리가 MX
- 우승팀 (3): 1950–51, 아페르투라 2021, 클라우수라 2022
- 준우승 (3): 1948-49, 1965-66, 베라노 1999
- 캄페온 데 캄페오네스
- 우승자(5): 1946, 1950, 1951, 1962, 2022
- 준우승 (1): 1968
- 세군다 디비시온 데 멕시코
- 우승팀 (3): 1954-55, 1971-72, 1978-79
참고문헌
- ^ "Football stadiums of the world – Stadiums in Mexico Football stadiums of the world".
- ^ "Mexico – CSyD Atlas de Guadalajara". Soccerway. Retrieved 4 January 2017.
- ^ "¿Qué equipos han sido Bicampeones en México?". Goal.com. 29 September 2022. Retrieved 27 November 2022.
- ^ "En la élite". Oncediario.com (in European Spanish). 30 May 2022. Retrieved 27 November 2022.
- ^ "Atlas logra su segunda estrella de la Liga MX". MARCA (in Mexican Spanish). 13 December 2021.
- ^ Baer, Jack (6 March 2022). "Mexican soccer league suspends all Sunday matches after fan riot". Yahoo Sports. Retrieved 6 March 2022.
- ^ Lopez, Oscar (6 March 2022). "Mexico Soccer Riot Leaves 22 Injured, Officials Say".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March 2022. Retrieved 6 March 2022.
- ^ Rodriguez, Carlos (6 March 2022). "At least 22 injured in brawl at Mexican soccer match". Associated Press. Retrieved 6 March 2022.
- ^ Hernandez, Ceasar (8 March 2022). "Liga MX: Queretaro home fans banned for 1 year, 'barras' get 3-year ban; owners must sell club". ESPN. Retrieved 8 March 2022.
- ^ "Aplican Ejemplares Sanciones al Club Querétaro y Toman Medidas de Control" (in Spanish). Liga MX. 8 March 2022.
외부 링크

- 공식 홈페이지
- (스페인어) 아틀라스 토론 포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