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로세우두포르투

Coliseu do Porto
콜로세움
콜로세우두포르투
Santo Ildefonso-Coliseu do Porto.jpg
대체 이름콜로세우 포르토 에이지아스
일반 정보
유형극장
건축양식능률화 모더네
위치세도페이타, 산토 일데폰소, 세, 미라가야, 상니콜라우에 비토리아
주소.=
읍 또는 시포르투
나라 포르투갈
좌표41°8′48.4″N 8°36′19.84″w / 41.146778°N 8.6055111°W / 41.146778; -8.6055111좌표: 41°8′48.4″N 8°36′19.84″W / 41.146778°N 8.6055111°W / 41.146778; -8.6055111
열린1908년 3월 17일
소유자카마라 시립 도 포르투
기술적 세부사항
재료철근 콘크리트
설계 및 시공
건축가카시아노 브랑코
다른 정보
좌석능력4000
웹사이트
www.coliseudoporto.pt

포르투의 콜로세움(포르투갈어: 콜로세우두포르투)는 포르투갈 북부 포르투 시(Porto) 에 있는 포르투갈극장 겸 콘서트장으로, 스탠딩 관객 4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1] 바탈하 시네마와 함께 포르투에서 음악 및 문화 행사를 주도하고 있는 콜로세우는 포르투 도시의 포르투갈의 능률화 모더네와 아트 데코 스타일의 예다.

역사

콜로세움의 정면과 탑
포르투 시 협의회에서 관리하는 것으로 확인된 시인의 세부사항

1908년 3월 17일, 가든 홀 파소스 마누엘이 취임했다. 건축가 마리오 데 아브레우가 내부를 설계하고 창문으로 덮인 주관과 계단, 타워 전면부를 개조해 개관 당시 원구조에 수반된 네온 그린, 레드, 화이트 원형을 철거했다.[2] 가든홀 파소스 마누엘은 이 도시의 첫 번째 지역 공공 회관으로, "모든 종류의 오락에 비례하는 풍부한 정원과 광채의 분수들이 있는 우아한 지역인 포르투엔스 사회의 만남의 요지였다. 700명(콜리수 도 포르토, 60개 아노)의 수용능력을 갖추고 있었다."[2]

1911년, 이 홀은 정원과 에스플라네이드, 파티장, 정자 식당, 홀, 작은 극장을 포함한 개조되었다.[2]

그러나 1937년경에는 이미 수요가 건축물의 수용력을 초과한다는 소문이 돌았다; 웅장하고 현대적인 행사장을 건설하려는 최초의 계획은 건축가 호세 포르투에 의해 개발되었다.[2] 1938년, 가든홀 파소스 마누엘은 비활성화되어 철거되었다. 이듬해 카시아노 브랑코는 줄리오 데 브리토의 도움을 받아 새로운 프로젝트의 주 설계자 자리를 맡았다.[2] 콜로세움 건설은 호세 포르투(프로젝트를 포기한 자), 네덜란드 건축가 얀 윌스(극장 디자인을 한 자), 줄리오 데 브리토(포르투 코미상이스타티카) 등 다양한 건축가의 경력을 위태롭게 하는 난감한 과정이었다.[2] 그러나 그가 가든홀 파소스 마누엘(콜리세우보다 낮음)의 소유주인 세그로스 가렌티야(Companhia de Seguros Garantia)와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브리토는 이 프로젝트와 계속 연결되었다.[2] 파리 극장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저술한 찰스 치클리스는 카시아노 브랑코로부터 콜리세움 프로젝트 작업에 초대받았다.[2] 비록 디자이너가 보수를 받은 적은 없지만, 그의 인테리어 디자인 중, 칸델라브라와 문만이 디자인에 포함되었다. 새 건물은 1941년 12월 19일에 문을 열었다.[2]

변화하는 취향과 인기 영화의 등장으로 1971년 옛 공연장이 영화관/스튜디오로 탈바꿈했다.[2]

1981년까지 제2차 포르투갈 건축가협회 총회에서 이 건물을 분류하자는 제안이 있었다.[2] 그러나, 첫 번째 시책은 1987년 12월 11일 IPPC에 의해 공개되었고, 부통령의 12월 18일 파견에 의해 지원되었다.[2]

1995년 엠프레사 아르티스티카 SA/그루포 알리안사-UAP는 콜로세움을 신왕국 브라질 보편교회인 IURD에 매각(10월 5일)했다.[2] 이 소식은 포르투렌스 지역에서 전례 없는 분노와 반란을 일으켰다.[2] 시의회, 도지사, 국민 등 다양한 예술가와 기관들이 발표된 공동선언문 종결에 대해 만장일치로 반발했다.[2] 이 조치로 아소니아상 '아미고스 두 콜리세우 두 포르투'가 설립돼 매각 중단과 건물 보호에 힘을 보탰다.[2] 1996년 9월 28일, 시의회에 의한 콜로세움 구입을 위한 공공조서에는 영화관 파소스 마누엘, 가든 홀, 다락방, 68만 콘토에 대한 석판화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2] 행사 도중, 무대, 교장실, 분장실 등을 완전히 파괴하는 화재가 발생하였다.[2] 그 회복된 건물은 1996년 12월 17일에 다시 문을 열었다.[2]

1998년 9월 10일 당시 IPPAR 부사장은 1987년 IPPAR의 건물 분류 의도를 재확인했다.[2] 이 과정은 간헐적으로 진행되는 해에는 거의 진전되지 않았기 때문에 2005년 9월 12일까지 DRPorto의 제안으로 건물을 Imovel de Interesse Publico(공익의 속성)로 분류하자는 제안이 있었다.[2] 이는 이후 공공사업부 건물, 알마스 예배당, 카페 마제스틱스, 세인트 일데폰소 교회, 영화 바탈하 등이 포함된 훨씬 더 큰 특별보호구역에 포함되었고, 이후 IGESPAR의 협의회(11월 12일)가 승인했고, 2010년 9월 29일 컬투 국가평의회에서 이를 지원했다.문화부 장관은 공익 재산으로 분류되는 그것의 분류를 비준했다.[2][2]

2015년 9월, 전문 발레부대가 발레타트로 콜리세우의 상주 회사가 되었다.[2]

1997년과 2001년 사이에, 건물 내부에는 전기 시스템의 교체, 모든 층에 새로운 세면실의 건설, 상수도, 보안 및 방화 시스템의 교체, 지붕의 수리, 5층 탈의실의 회복, 그리고 정교함을 포함하는 체계적인 변화가 있었다.그 건물의 새로운 미관을 창조하다.[2] 이동 및 경관조명 장비 업그레이드, 난방 네트워크 복구 및 개선, 전자 자막 시스템(두 언어로 동시 번역 가능),[2] 전자 매표소 설치. 강당은 음향과 관중들의 시야를 향상시키기 위해 완전히 재건되었고, 강당 아래에는 창고가 세워졌다.[2] 13m(43ft) 유압 리프팅 플레이트에 두 번째 오케스트라 피트와 새로운 서커스 트랙이 설치됐다.[2]

건축

대강당에 있는 샹들리에의 경치
강당의 무대 및 일반 좌석

포르투 시에 위치한 이 건물은 다른 건물들과 나란히 있고, 동서로 악센트가 있는 경사가 있는 땅에 착상되어 있으며, 서쪽의 올림피아 시네마(서쪽)와 서쪽의 다양한 4층 주상복합 건물들에 부속되어 있다.[2] 콜로세움 맞은편에는 현대식 차고지가 있다.[2] 대강당에는 4,000명, 좌석이 3000명 규모로 1, 2차 관람석, 드레스 서클, 박스, 어퍼서클, 예약석, 일반 갤러리 등이 있다.[3] 소규모 공연, 회의, 심포지엄 등에 적합한 300명 규모의 작은 아티코룸도 있다.

참조

메모들

  1. ^ Renascença (2018-04-27). "Coliseu do Porto conta com mais 500 lugares - Renascença". Rádio Renascença (in Portuguese). Retrieved 2020-05-15.
  2.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Filipe, Ana (2008), SIPA (ed.), Coliseu do Porto (IPA.00005423/PT011312120161) (in Portuguese), Lisbon, Portugal: SIPA – Sistema de Informação para o Património Arquitectónico, retrieved 13 April 2017
  3. ^ "Technical Rider". Coliseu do Porto: Tech Are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3-09. Retrieved 2010-07-08.

원천

  • Arquitectura Portuguesa (in Portuguese), 1 July 1937
  • Arquitectura Portuguesa (in Portuguese), 1 March 1939
  • O Comércio do Porto (in Portuguese), 19 December 1941
  • O Comércio do Porto (in Portuguese), 21 December 1941
  • Jornal de Noticias (in Portuguese), 19 December 1941
  • Jornal de Noticias (in Portuguese), 20 December 1941
  • Jacinto, A. (1991), "Cassiano Branco na Concepção do Coliseu do Porto", Cassiano Branco uma obra para o futuro (in Portuguese), Porto, Portugal
  • Arquitectura del Movimiento Moderno. Registro Docomomo Ibérico. 1925-1965 (in Portuguese), 1996
  • Figueiredo, Rute Pinto (1997), "Coliseu do Porto", Portugal, Arquitectura do Séc. XX (in Portuguese)
  • Tostões, Ana (2001), "Coliseu do Porto", Porto 1901-2001: Guia da Arquitectura Moderna (in Portuguese), Porto, Portugal
  • Tostões, Ana (1997), Os verdes Anos na Arquitectura Portuguesa dos Anos 50 (in Portuguese), Porto, Portugal: FAUP
  • Melo, Ana Duarte; Cardoso, Teresa (2001), Amigos do Coliseu do Porto (ed.), Coliseu do Porto, 60 anos (in Portuguese)
  • Tostões, Ana; Lacerda, Manuel; Soromenho, Miguel, eds. (2004), Arquitectura Moderna Portuguesa 1920 - 1970. Um Património a Conhecer e Salvaguardar (in Portuguese), Lisbon, Portugal: IPPAR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