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론나 가문

Colonna family
콜론나
교황(흑인) 귀족 가문
Coat of arms of the House of Colonna.svg
부모가족투스쿨럼 백작
나라 이탈리아
바티칸 시
어원트라얀 기둥 또는 콜론나 시에서 가져온 "기둥"
원산지투스쿨럼, 알바니아 힐스
설립됨1101 (1101)[1]
창시자파트루스 데나[2]
현재 헤드페데리코 콜론나
(팔리아노 선)
미르타 바베리니콜로나
(카르보그나노 선)
제목
리스트
좌우명
몰수 수아 상태[3]

(그것은 그 자체의 높이에 따라 서 있다)
부동산콜로나 팔라초 (좌석)
오르시니콜로나 성(1546–1806)
웹사이트www.galleriacolonna.it/i-colonna/

콜론나(Colonna)는 시아릴로(Scarillo) 또는 시아라(Sciarra)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이탈리아의 귀족 가문으로서 교황 귀족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중세 로마와 르네상스 로마에서는 교황(마틴 5세) 한 명과 다른 많은 교회와 정치 지도자들을 공급하면서 강력했다. 이 가문은 로마에서의 영향력을 놓고 오르시니 가문과의 격렬한 불화로, 1511년 파팔 불에 의해 저지되기 전까지 눈에 띈다. 1571년 양가의 우두머리는 교황 식스토 5세의 조카들과 결혼했다. 그 후, 역사학자들은 "크리스텐돔의 왕자들 사이에 평화가 체결되지 않았고, 그 사이에 이름으로는 포함되지 않았다"[4]고 기록하였다.

역사

오리진스

전통에 따르면 콜론나 가문은 그레고리 3세의 아들 피터(1099년–1151년)가 자신의 소유지인 콜론나에 있는 콜론나 성에서 '데 콜럼나'라고 부른 투스쿨룸의 한 분파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그들은 롬바르드와 이탈로 로마 귀족, 상인, 성직자들을 거쳐 투스쿨룸 백작을 지나 중세 초기의 성직자들을 통해 그들의 혈통을 추적한다 - 궁극적으로 훌리오-클라우디 왕조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지만, 기원전 489년에 처음으로 약자들과 함께 연보에 진입했다.가이우스 율리우스 율리우스 율리우스

가문의 초대 추기경은 1206년 지오반니 콜론나 카르보그나노가 SS의 디콘 추기경이 되었을 때 임명되었다. 코스마 에 [5]다미아노 여러 해 동안 조반니 디 산 파올로 추기경(1193년 요절)이 콜론나 가문의 일원으로 확인되어 추기경회의 첫 대표자가 되었으나, 현대 학자들은 이것이 16세기 초부터 잘못된 정보에 근거한 것이라는 것을 규명하였다.[6]

지오반니 콜론나 디 카르보그나노 추기경의 조카 조반니 콜론나([7]c. 1206)는 1228년경 도미니카인으로서 엄숙한 서약을 하고 안젤리쿰 성 토마스 아퀴나스선구자인 산타 사비나로마학당에서 신학과 철학적 연수를 받았다. 도미니카 주(州)의 로마 도미니카 주(州)를 지냈으며, 1248년 도미니카 주(州)에서 도미니카 주(州)[8]를 이끌었다. 콜론나는 1255년 메시나의 대주교로 임명되었다.[9]

마르게리타 콜론나 (1248년 사망)는 프란시스칸 기사단의 일원이었다. 그녀는 1848년 교황 비오 9세에게 구혼당했다.

이때 겔프파의 지도자인 친파 오르시니 가문과의 경쟁이 시작되었다. 이는 교황청과 신성로마제국의 갈등 기간 내내 콜론나 일가가 따랐던 친제국 지벨린 노선을 강화시켰다.

콜론나 대 파파시

1297년 자코포 추기경(자코모 콜론나)은 형제인 오톤, 마테오, 란돌포의 땅을 상속받지 못하게 했다. 후자 세 사람은 자코포에게 땅을 돌려주라고 명령한 교황 보니파스 8세에게 호소했고, 나아가 콜론나, 팔레스트리나, 다른 성읍들의 본거지를 교황청에 넘겼다. Jacopo는 거절했다; 5월에 Boniface는 그를 카디널스 대학에서 제거하고 그와 그의 추종자들을 추방했다.

콜론나 가문(교황과 연합한 삼형제와는 별도로)은 교황 셀레스티네 5세의 전례 없는 퇴위 이후 보니파이스가 불법적으로 선출됐다고 선언했다. 이 분쟁은 공개전으로 이어졌고, 9월 보니파이스는 란돌포 자신의 콜론나 친척들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란돌포를 군 지휘부에 임명했다. 1298년 말까지 란돌포는 콜론나, 팔레스트리나, 그리고 다른 마을들을 점령하고 그들을 땅바닥에 쓰러뜨렸다. 그 가족의 땅은 랜돌포와 그의 충실한 형제들 사이에 분배되었다. 나머지 가족들은 이탈리아를 떠났다.

추방당한 콜론나스는 젊은 시절 에지다오 콜론나 추기경의 지도를 받은 프랑스의 필립 4세와 동맹을 맺었다. 1303년 9월, 시아라와 필립의 고문 기욤노가렛아나그니로 소군을 이끌고 들어가 보니파이스 8세를 체포하여 프랑스로 데려와 재판을 받게 되었다. 두 사람은 가까스로 교황을 체포했고, 이 과정에서 시아라는 교황의 뺨을 때린 것으로 전해져 '아나그니의 분노'로 불렸다. 이 시도는 결국 며칠 후 실패했는데, 그 때 현지인들이 교황을 석방했다. 그러나 보니파스 8세는 10월 11일 사망하여 아비뇽 교황 재임 기간 동안 프랑스가 그의 약한 후계자들을 지배할 수 있게 되었다.

중세 후기

그 가족은 중세 후기 내내 시민적, 종교적 삶의 중심에 있었다. 에지다오 콜론나 추기경은 1314년 아비뇽의 교황 궁정에서 세상을 떠났다. 아우구스티누스 출신인 그는 성 밑에서 파리에서 신학을 공부했었다. 아퀴나스의 토머스는 당대의 가장 권위 있는 사상가 중 한 명이 되었다.

14세기에, 그 가족은 산 조반니 교회의 장식을 후원했는데, 가장 두드러진 것은 바닥 모자이크였다.

1328년 독일의 루이 4세신성 로마 황제로서의 대관식을 위해 이탈리아로 진군했다. 교황 요한 XX로서2세는 아비뇽에 거주하고 있었고, 공개적으로 루이 왕관을 씌우지 않겠다고 선언했었는데, 왕은 시아라 콜론나를 제안한 로마 귀족계급에 의해 왕위에 오르기로 결정했다. 이 행사를 기념하여, 콜론나 가문은 황실의 뾰족한 왕관을 팔 상의 위에 사용할 수 있는 특권을 부여받았다.

저명한 시인 페트라르치는 집안의 좋은 친구로, 특히 조반니 콜론나의 경우로, 종종 그 가족의 손님으로 로마에서 살았다. 그는 콜론나 가문에서 "우리의 모든 희망이 깃든 위대한 라틴어 이름인 영광의 콜로나"를 포함한 많은 소네트들을 작곡했다. 이 시기에 콜론나는 그들이 훌리오-클라우드 왕조의 후손이라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로마에 있는 콜로나 궁전(교황 마르틴 5세, 오늘날까지 가족의 거주)

콘스탄스 평의회에서 콜론나는 1417년 11월 14일 오도네 콜론나가 선출되자 마침내 교황의 야망을 성공시켰다. 마르틴 5세로서 1431년 2월 20일 사망할 때까지 다스렸다.

근대 초기

비토리아 콜론나는 16세기에 시인과 문학계의 인물로 유명해졌다.

1627년 필리포 1세 콜론나의 딸 안나 콜론나는 교황 우르반 8세의 조카인 바르베리니 가문의 타데오 바르베리니와 결혼했다.

1728년 콜론나 가문의 카보그나노 지부(Colonna di Sciarra)는 줄리오 체사레 콜론나 디 시아라가 마지막 남성 바베리니(Taddeo Barberini)의 딸이자 마페오 바베리니(Taddeo Barberini의 아들)의 손녀인 코넬리아 바베레니(Cornelia Barberini)와 결혼하면서 바베리니)라는 이름을 가문에[10] 붙였다.

현재 상태

콜론나 가문은 1710년부터 교황[11] 보좌관으로 일해왔지만, 그들의 교황의 왕자는 1854년부터 시작되었다.

로마에 있는 가족 거주지인 콜로나 호는 매주 토요일 아침 일반에 공개된다.

The main 'Colonna di Paliano' line is represented today by Prince Marcantonio Colonna di Paliano, Prince and Duke of Paliano (b. 1948), whose heir is Don Giovanni Andrea Colonna di Paliano (b. 1975), and by Don Prospero Colonna di Paliano, Prince of Avella (b. 1956), whose heir is Don Filippo Colonna di Paliano (b. 1995).

'콜론나 디 스티글리아노' 라인은 돈 프로스페스토 콜론나 디 스티글리아노(b. 1938년)의 왕자로, 그의 후계자는 조카 돈 스테파노 콜론나 디 스티글리아노(b. 1975년)이다.[12][full citation needed]

저명인원

오도 콜론나(1368–1431), 교황 마르틴 5세 1417-1431
프로스페로 콜론나(1452–1523), 교황 콘도티레

참고 항목

참조

  1. ^ Duchesne, Louis (1887). Liber Pontificalis. p. 307.
  2. ^ Beolchini, Valeria (2006). L'Erma di Bretschneider (ed.). Tusculum II - Tuscolo: una roccaforte dinastica a controllo della valle latina. Fonti storiche e dati archeologici (in Italian). p. 81.
  3. ^ 버질아이네이드,
  4. ^ 교황의 역사; 레오폴트랑케교회와 국가 (3권) (웰슬리 대학 도서관, 재인쇄; 2009)
  5. ^ 베르너 말레체크, 파프스트 und Kardisskolleg von 1191 bis 1216, 비엔나 1984, 페이지 154-155
  6. ^ 헬레네 틸만, "Ricerche sul'origine dei membri del collegio cardinicizio 넬 XII secolo. II/2. Identificazione dei cardinici del secolo XII di provenienza Romana", Italia, 1975년, 페이지 401-402
  7. ^ Stefano, Antonio N. Di (1 January 1995). Fra Giovanni Colonna (in Italian). Edizioni Studio Domenicano. ISBN 9788870941920.
  8. ^ Monumenta et antiquitates veteris disciplinae Ordinis Praedicatorum ab anno 1216 ad 1348 praesertim in romana provincia praefectorumque qui eandem rexerunt biographica chronotaxis... opera et studio p. fr. Pii-Thomae Masetti... (in Latin). ex Typographia Rev. Cam. Apostolicae. 1 January 1864.
  9. ^ Antonio N. Di Stefano (1995). Fra Giovanni Colonna. pp. 30–31. ISBN 9788870941920. Retrieved 24 February 2013.
  10. ^ Worldroot - 2009년 10월 15일 웨이백 머신보관Barberini
  11. ^ 2007년 3월 13일 웨이백 기계보관교황청의 가이스테어 세인티 기고
  12. ^ 교황의 역사; 레오폴트랑케교회와 국가 (3권) (웰슬리 대학 도서관, 재인쇄; 2009)[dead link]

원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