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도르케트 효율

Condorcet efficiency
201명의 유권자와[1] 유사하게 분포된 후보 및 공간 모델을 가진 여러 투표 시스템의 효율성
후보들이 유권자 분포에 비해 이념적으로 더 군집화되면서 일부 투표 방식은 콘도르셋 당첨자를 찾는 데 더 저조한 성과를 낸다.[1]

콘도르케트 효율성투표 방법의 성과를 측정하는 것이다.콘도르셋 당선자(대면경선에서 다른 모든 후보보다 선호되는 후보)가 선출되는 비율(단, 단 1개만 있는 경우)으로 정의된다.[2][3][4]

100% 효율성을 가진 투표 방법은 항상 콘도르셋 당첨자를 선택할 것이며, 콘도르셋 당첨자를 선택하지 않은 방법은 0%의 효율성을 갖는다.효율적인 유권자 통치의 조건이 충족되면 정책에 대한 국민투표 결과가 효율적일 수 있다.[5]

효율성은 투표 방식에만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유권자 수, 후보 수, 유권자가 사용하는 어떤 전략의 함수다.[1]

그것은 사회 공익적 효율성과 함께 사무엘 메릴 3세에 의해 1984년에 처음 개발되었다.[1]

관련되고 일반화된 척도는 Smith 효율성으로, Smith 집합에서 투표방법이 후보자를 얼마나 자주 선출하는지를 측정한다.스미스 세트가 모든 후보를 포함하는 선거를 제외하고 스미스 효율성은 CW와 달리 스미스 세트가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모든 선거에서 투표 방식을 차별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척도다.100% 스미스 효율적 방법은 100% 콘도르셋 효율적이며 마찬가지로 0%가 보장된다.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Merrill, Samuel (1984). "A Comparison of Efficiency of Multicandidate Electoral Systems".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28 (1): 23–48. doi:10.2307/2110786. ISSN 0092-5853. JSTOR 2110786.
  2. ^ Gehrlein, William V.; Valognes, Fabrice (2001-01-01). "Condorcet efficiency: A preference for indifference". Social Choice and Welfare. 18 (1): 193–205. doi:10.1007/s003550000071. ISSN 1432-217X. S2CID 10493112.
  3. ^ Merrill, Samuel (1985). "A statistical model for Condorcet efficiency based on simulation under spatial model assumptions". Public Choice. 47 (2): 389–403. doi:10.1007/BF00127534. ISSN 0048-5829. S2CID 153922166.
  4. ^ Gehrlein, William V. (2011). Voting paradoxes and group coherence : the condorcet efficiency of voting rules. Lepelley, Dominique. Berlin: Springer. ISBN 978-3-642-03107-6. OCLC 695387286.
  5. ^ Anderson, David A. (2020). "Environmental Exigencies and the Efficient Voter Rule". Economies. 8 (4): 7. doi:10.3390/economies804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