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원가

Cost of equity

금융에서, 자본 비용은 기업이 자본을 투자함으로써 그들이 부담하는 위험을 보상하기 위해 이론적으로 자신의 지분 투자자에게 지불하는 수익(종종 수익률로 표현)이다. 기업들은 운영과 성장을 위해 다른 기업들로부터 자본을 획득할 필요가 있다. 기꺼이 자신의 자금을 다른 사람에게 제공하려는 개인과 단체들은 당연히 보상을 받고 싶어 한다. 집주인들이 그들의 재산에 대한 임대료를 구하는 것처럼, 자본 제공자들은 그들의 자금에 대한 수익률을 추구하는데, 이것은 실행된 위험에 상응하는 것이어야 한다.

기업들은 두 종류의 출처, 즉 대부업자와 주식투자자로부터 자본을 얻는다. 자본 제공자의 관점에서, 대부업자들은 이자로부터 보상을 받으려고 하고 주식 투자자들은 그들의 투자 가치(자본 이익)에 대한 배당 및/또는 이익을 추구한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타인으로부터 얻은 자본에 대해 지불해야 하는데, 이를 자본비용이라고 한다. 그러한 원가는 기업의 부채원가자본원가로 구분되며, 이러한 두 종류의 자본원가에 기인한다.

기업의 현재 부채원가는 자본시장의 이자율을 관측하여 비교적 쉽게 결정할 수 있는 반면, 현재의 자본원가는 관측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추정해야 한다. 재무이론과 실무는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CAPM)과 같은 특정 기업의 자본비용을 추정하기 위한 다양한 모델을 제공한다. 또 다른 방법은 고든 모델에서 파생되는데, 고든 모델은 배당 수익과 투자 매각으로 인한 최종 자본 수익에 기초한 할인된 현금 흐름 모델이다. 또 다른 간단한 방법은 BYPRP(Bond Evilitation Plus Risk Premium)로, 기업의 장기 채무 금리에 주관적인 위험 프리미엄이 추가된다. 또한, 자본비용은 (Gebhardt et.al에 의해 확인됨)로 계산할 수 있다. (2001) - 시장 내포적 자본비용 추정을 위해 할인된 잔여소득 모델을 사용하여 추가 판독 섹션 참조. 이 논문은 기업의 내재적 자본비용은 산업회원권, 기업신용비율, 장기성장률 전망, 분석수익예측분산의 함수임을 보여준다. 더욱이 두 가지 유형의 자본비용으로 구성된 기업의 전체 자본비용은 가중평균자본원가를 사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

금융 이론에 따르면, 기업의 위험이 증가/감소함에 따라, 자본 비용은 증가/감소한다. 이 이론은 인간의 행동과 논리의 관찰과 연관되어 있다: 자본 제공자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그들의 자금을 제공하는 것에 대해 보상을 기대한다. 그러한 제공자들은 일반적으로 위험보다 안전성을 선호한다. 그들은 더 안전한 투자 대신에 더 위험한 투자에 그들의 자본을 투입하기 위한 인센티브로 당연히 추가 보상을 요구한다. 투자위험이 증가하면 자본공급자는 더 높은 수익을 요구하거나 다른 곳에 자본을 배치할 것이다.

더 나은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자본 비용을 아는 것이 필요하다. 관리자들은 자본 예산 결정을 내리는 반면 자본 제공자들은 대출투자에 대한 결정을 내린다. 그러한 결정은 전형적으로 기업의 자본비용을 모델 입력으로 사용하는 정량적 분석 후에 내려질 수 있다.

참고 항목

추가 읽기

  • Fama, Eugene F.; French, Kenneth R. (1997). "Industry costs of equity".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43 (2): 158–193. doi:10.1016/S0304-405X(96)00896-3.
  • Francis, Jennifer; Lafond, Ryan; Olsson, Per M.; Schipper, Katherine (2004). "Costs of Equity and Earnings Attributes". The Accounting Review. 79 (4): 967–1010. doi:10.2308/accr.2004.79.4.967.
  • Gebhardt, William; Lee, Charles; Swaminathan, Bhaskaran (2001). "Toward an Implied Cost of Capital".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39 (1): 135–176. doi:10.1111/1475-679X.00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