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리지(렌즈)
Coverage (lens)렌즈의 적용 범위는 렌즈가 생성할 수 있는 이미지의 크기이며, 광학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원의 직경으로 측정됩니다.카메라 시스템에서는 커버리지가 사용된 센서 또는 필름을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커야 합니다.뷰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필름 평면을 렌즈 평면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렌즈는, 커버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 되는 동안, 필름을 커버할 수 있는 충분한 커버리지를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습니다.커버리지가 불충분하면 비그네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대 디지털 카메라의 센서는 몇 가지 크기로 제공됩니다.인기 있는 사이즈로는 풀프레임 또는 35mm, APS-C, 1인치 등이 있습니다.렌즈는 종종 이러한 센서 형식 중 하나로 작동하지만 경우에 따라 여러 [1]형식으로 렌즈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풀 프레임」타입의 렌즈는, 35 mm센서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큰 화상 원을 생성합니다.APS-C 센서는 35mm 센서보다 작기 때문에 풀프레임렌즈는 APS-C 센서와 호환성이 있어야 합니다.APS-C 타입의 렌즈는, 35 mm 센서 전체에 빛을 비추는 커버리지가 없기 때문에,[2] 이미지의 모서리가 어두워집니다.
렌즈에 대한 일반적인 오해 중 하나는 초점 거리가 렌즈의 시야각을 결정한다는 것인데, 실제로는 초점 거리, 렌즈 범위 및 센서 크기의 조합입니다.대형 센서에 특정 초점 거리를 둔 렌즈는 소형 [3]센서에 사용되는 동일한 렌즈보다 넓은 시야각을 산출합니다.
레퍼런스
- ^ "Sensors, Circles, and Lens Coverage AbelCine". www.abelcine.com. Retrieved 2018-04-18.
- ^ "Focal length and image circle". only images. Retrieved 2018-04-18.
- ^ "Focal length and image circle". only images. Retrieved 2018-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