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비아의 크로아티아인
Croats of Serbia흐르바티우 스르비지 Хрвати у Србији | |
---|---|
![]()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소수민족 평의회의 국기 | |
총인구 | |
57,900 (2011년)[1] | |
인구가 많은 지역 | |
![]() | 47,033[1] |
![]() | 7,752[1] |
언어들 | |
크로아티아어 및 세르비아어(둘 다 표준화된 세르보-크로아티아어) | |
종교 | |
로마 가톨릭 | |
관련 민족 | |
분예브치, 쇼키 |
시리즈의 일부 |
크로아츠 |
---|
![]() |
크로아티아인들은 세르비아에서 인정받는 소수민족으로 2002년에 [2]그 지위를 받았다.분예브치와 쇼키 커뮤니티의 대다수는 전통적으로 크로아티아 소수민족의 일부이기도 하다.[3]2011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세르비아에는 57,900명의 크로아티아인이 있으며 이는 세르비아 인구의 [1]0.8%이다.이들 중 47,033명이 보이보디나에서 거주했으며, 그들은 인구의 2.8%를 차지하며 네 번째로 큰 민족 집단을 형성했다.또 다른 7,752명은 수도 베오그라드에 살고 나머지 3,115명은 베오그라드에 살고 있다.
역사
15세기 동안 크로아티아인들은 대부분 시리아 지역에 살았다.그들은 현재의 보이보디나 [4]영토에 존재했던 801개의 마을 중 76개의 마을에서 다수를 차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1851년 자료에 따르면 세르비아의 Voivodeship과 오늘날의 Vojvidina의 전신이었던 역사적 지방인 Temeschwar의 Banat의 인구는 다른 민족 집단들 중에서 62,936명의 Bunjevci와 Shokci와 2,860명의 [5][page needed]크로아티아인을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된다.이후 19세기 후반(오스트리아-헝가리 기간)의 통계적 추정에 따라 분예브치와 쇼키는 "기타"로 계산되어 크로아티아인과 별도로 제시되었다(1910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인구조사에서 70,000명의 분예브치는 "기타"[6]로 분류되었다).
1910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인구 조사에서도 스스로를 분예브치, 쇼크치라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크로아티아인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의 수가 큰 차이를 보였다.인구 조사에 따르면, 수보티카 시에서는 크로아티아어를 모국어로 선언한 39명의 시민만이 있었고 33,390명의 시민은 "기타 언어"[7]를 구사하는 것으로 기록되었다(대부분의 시민은 분예바크를 모국어로 선언하였다.솜보르에서는 83명의 시민이 크로아티아어를 선언했고 6,289명의 시민이 "기타 언어"[8]를 구사하는 것으로 기록되었다.아파틴 시에서는 44명의 시민이 크로아티아어를, 7,191명이 "기타 언어"를 선언했다(대부분 분예바치, 쇼카치, 집시).[7][dead link]
시르 미아 왕국 Croatia-Slavonia의 이는 당시 부분에서 1910년 인구 조사 results[9]Croats에 Gibarac(전체 인구에서 843년 Croats 또는 86.46%), Kukujevci(천 칠백 칠십오 또는 77.61%), Novi Slankamen(2,450 또는 59.22%), 페트로 바라딘(3,266 또는 570%), Stari Slankamen(466명 또는 48.19%), Hrtkovci(1,에서 상대 또는 절대 다수가 따라.144(45.43%), 모로비치(966(41.67%)).그 밖에 크로아티아인이 많은 곳은 노비 바노브치(37.70%), 골루빈치(36.86%), 스렘스카 카메니카(36.41%), 소트(33.01%), 스렘스카 미트로비차(30.32%), 스렘스키 카를로브치(2994%), 류바(29%) 등이다.
1925년, 분예바크 쇼카 당과 푸치카 카시나는 수보티카에서 크로아티아 왕국 설립 1000주년 기념행사를 조직했고, 925년 크로아티아의 토미슬라브가 크로아티아 왕국의 첫 왕이 되었다.수보티카의 토미슬라브 왕 광장에는 "크로아티아 왕국의 천년 기념 명판 925-1925"라는 글귀가 새겨진 기념 명판이 공개되었다.Bunjevci Croats 설정"[10]수보티카 외에도 스렘스키 카를로브치와 페트로바라딘에서도 토미슬라브 왕의 기념패가 드러났다.
1990년대 크로아티아 전쟁 당시 유고슬라비아 전쟁 중 세르비아에서 크로아티아인을 박해하던 세르비아 급진당원들이 보이보디나 [11][12][13]일부 지역에서 크로아티아인을 추방하는 데 조직돼 참여했다.세르비아 급진당의 Vojislav Sheselj 대통령은 이러한 [14]행사에 참여한 혐의로 기소되었다.일부 추정에 따르면 밀로셰비치 정권의 정치적 압력으로 세르비아를 떠난 크로아티아인의 수는 2만 명에서 4만 [15]명 사이일 수 있다.
2020년 18세기에 지어진 반 요시프 옐라치치의 생가는 세르비아 공화국에 의해 개인 소유주들로부터 매입되었다.그것은 나중에 재건되었고 크로아티아 [16]사회에 선물로 주어졌다.
문장
세르비아의 크로아티아 국기와 국장은 2005년 6월 11일 수보티차에서 [17]열린 크로아티아 국가 평의회에서 채택되었다.
정치
크로아티아 국가평의회는 법령에 따르면 세르비아 내 크로아티아 소수민족의 자치단체이다.2005년 6월 11일, 평의회는 크로아티아의 역사적인 문장인 13개의 빨간색 필드와 12개의 흰색 필드로 구성된 체커보드를 채택하였다(크로아티아 문장이 [17]위에 있는 것과 다름).
인구 통계
인구조사 결과에서 실제 민족성과 선언된 [18]민족성 사이의 불일치가 나타난다.자신이 특정 인종/소수 집단에 속한다고 선언하는 대부분의 시민들은 이미 혼혈 가정 출신이다(예: 다른 국적/민족 간의 혼혈, 종교 간 결혼).세르비아 공화국은 보이보디나에서 "다문화의 분리 모델"[19]을 사용하고 있다.국가 평의회는 주정부와 지방정부로부터 자금을 받아 자신의 통치기구,[20] 문화 및 교육기관에 자금을 조달한다.국가 평의회를 위한 돈의 액수는 세르비아 인구가 전국적으로 인정된 [21][22]소수민족의 일원으로 등록할 수 있는 인구 조사 결과에 따라 달라집니다.오늘날 쇼크치 공동체의 대부분의 구성원들은 스스로를 크로아티아인으로 여긴다.세르비아 바치카 지역과 헝가리 남부의 분예브치는 그들만의 언어를 가진 별개의 민족 집단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과 크로아티아 하위 민족 [23]집단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로 나뉘어져 있다.세르비아에서는 크로아티아 국가평의회가,[24][25] 세르비아에서는 분예바크 [26][27]국가평의회가 대표하고 있다.세르비아의 알 크로아티아인은 분예바크나 소카크 출신이 아니다.
세르비아의 크로아티아인 수는 1948년에서 1991년 사이에 실시된 이전의 인구 조사에서 다소 더 많았다.하지만, 이러한 조사가 실시되었을 당시 크로아티아인의 실제 숫자는 공산주의 당국이 자신들을 분예브치 또는 쇼키라고 선언한 시민들을 크로아티아인으로 세었기 때문에 더 적었을 수도 있다.인구조사에서 크로아티아인이 가장 많았던 것은 1961년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당시 세르비아 전체 인구의 2.57%)에 크로아티아인이 196,409명(분예브치, 쇼키 포함)이었다.1961년 인구 조사 이후 세르비아의 크로아티아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이것은 경제적 이민과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전쟁, 더 구체적으로 [28]크로아티아에서의 1991-1995년 전쟁을 포함한 다양한 이유로 인해 야기된다.이 전쟁 기간 동안 세르비아의 크로아티아인들은 세르비아 급진당과[29][30]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온 세르비아 난민들로부터 크로아티아로 이주하라는 압력을 받았다.당시 세르비아계 크로아티아인과 [31][32]크로아티아계 세르비아인 사이에 인구 이동이 일어났다.1992년 6, 7, 8월에 베오그라드에서 인도주의법률기금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보이보디나에서 온 크로아티아인 1만 명 이상이 크로아티아에서 온 세르비아인의 재산으로 재산을 교환했고, 총 약 2만 명의 크로아티아인이 세르비아를 [33]떠났다.다른 추정에 따르면 밀로셰비치 정권의 정치적 압력으로 세르비아를 떠난 크로아티아인의 수는 2만 명에서 4만 [15]명 사이일 수 있다.보이보디나에 있는 크로아티아 민주 동맹의 페타르 쿤티치에 따르면, 유고슬라비아 [34][35]전쟁 동안 5만 명의 크로아티아인들이 세르비아에서 이주하도록 압력을 받았다고 한다.

연도 | 크로아츠 | % |
---|---|---|
1948 | 169,894[36] | 2.6% |
1953 | 162,170[36] | 2.3% |
1961 | 196,411[36] | 2.6% |
1971 | 184,913[36] | 2.2% |
1981 | 149,368[36] | 1.6% |
1991 | 105,406[36] | 1.1% |
1991* | 97,344 | 1.2% |
2002* | 70,602[37] | 0.9% |
2011* | 57,900[38] | 0.8% |
* - 코소보 제외[a]
보이보디나의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인들은 보이보디나 주에서 네 번째로 큰 민족 집단이다.2011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보이보디나에는 [39]47,033명의 크로아티아인이 살고 있다.
1990년대 밀로셰비치 정권(1989~1997년)[40] 동안 세르비아에서 분예바크 크로아티아인이라는 오명을 쓰지 않기 위해 분예바크라고 선언하는 것은 생명을 위협하는 일이었다.
3개 마을에서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쇼키족 출신 크로아트족:손타(아파틴 시), 바치키 브레그와 바치키 모노슈토르(둘 다 솜보르 [41][page needed]시)입니다.
연도 | 크로아츠 | % |
---|---|---|
1495 | 7,500 | 3.9% |
1787 | 38,161 | 8.0% |
1828 | 67,692 | 7.8% |
1840 | 66,362 | 7.3% |
1857 | 60,690 | 5.9% |
1880 | 72,298 | 6.1% |
1890 | 80,404 | 6.0% |
1900 | 81,198 | 5.7% |
1910 | 91,366 | 6.0% |
1921 | 129,788 | 8.5% |
1931 | 132,517 | 8.2% |
1940 | 101,035 | 6.1% |
1948 | 134,232 | 8.1% |
1953 | 128,054 | 7.5% |
1961 | 145,341 | 7.8% |
1971 | 138,561 | 7.1% |
1981 | 109,203 | 5.4% |
1991 | 74,226 | 3.7% |
2002 | 56,546 | 2.7% |
2011 | 47,033 | 2.4% |
출처:[42]
비고 1: 숫자는 현재의 보이보디나 경계에 맞게 조정되었다.
참고 2: 크로아티아어는 1991년 이전의 데이터에 대해 분예브치, 쇼키치와 함께 계산된다.
언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표준 품종인 크로아티아어는 전통적으로 다국어, 다문화주의,[43] 다원주의를 장려하는 북부 지역에 위치한 자치주 보이보디나의 6개 공용어 중 하나로 등록되어 있다.
분제바크어
세르비아의 분예바크 공동체 구성원들은 슈토카비안의 다누비아 지부를 보존했다.세르보크로아티아어 다원어의 젊은 이카비아어 방언.그들의 악센트는 순전히 이카비안어로, 일반적인 슬라브어 모음 [44]yat에 /i/가 붙는다.스토카비안 소이카비안 방언에는 다누비아어, 리토랄리카어, [45]달마티아어의 세 갈래가 있다.그 화자는 주로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일부, 크로아티아 남부, 헝가리 남부,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자치주에 살고 있다.분예바치 방언(분예바치키 디잘렉트)은 분예바치 스피치(분예바치키 주지사)[46]로도 알려져 있다.
분제바크 사투리를 두 개의 다른 사전에 보존한 공로가 있는 세 사람이 있다: "리치니크 바치키[47] 분제바카[48]"([49]1990, 2018년판), "르치니크 고보라 바치 흐르바타"(2005)의 안테 세쿨리치[50].
다누비어 분예브치가 거주하는 세르비아에서 사용되는 이 언어는 2018년 세르비아 공화국에서 표준화되었으며 교육부에 의해 [51][52][full citation needed][53]학교에서의 학습에 대한 표준 사투리로 공식 승인되었다.화자는 일반적으로 격식을 차린 [54]상황에서 쓰기와 대화를 위해 표준화된 사투리를 사용한다.테오도라 부코비치는 2009년에 세르비아에서 [55][56]분예바크 방언 말뭉치의 표준화 과정을 완성하기 위한 과학적 방법론을 제공했는데, 이는 슈토카비안의 다누비아 지부의 세르비아 분예바크 방언 변종으로 분류된다.젊은 이카비아 방언.
2021년 3월 4일, 수보티차 시의회는 세르비아어, 헝가리어,[57] 크로아티아어 외에 분예바치어를 시의 공식 언어 목록에 추가하는 시 법령 개정안에 찬성표를 던졌다.이는 분예바치어를 방언으로 [58]분류한 세르비아 정부와 마티카 스르프스카 정부의 공식 입장과 배치되는 특별한 상황을 만들어냈다.
일반적으로, 분제바크 방언은 종종 "분제바크 언어"[59] 또는 분제바크 모국어로 언급됩니다.정치적 차원에서는 정치 로비의 목적과 내용에 따라 언어, 방언, 언어, 모국어의 정의에 관한 일반적인 혼란이 교묘하게 이용되어 일관성이 없는 [60][61][62]용어의 사용을 초래한다.
크로아티아 언어언어연구소는 2021년 3월 크로아티아 문화부에 크로아티아 보호무형문화유산[63] 목록에 분예바치 사투리를 추가하자는 제안을 시작했고 2021년 [64]10월 8일 승인되었다.
단체들
- (Zavod za kulturu vojvojanskih Hrvata)보이보디나 크로아티아 문화 연구소
- 베오그라드 크로아티아 공동체 "틴 우예비치"
주목받는 사람들
- 요시프 옐라치치
- 일리아 오크루기치, 시인 겸 극작가
- Stjepan Horvat, 측지학자 겸 교수
- 베오그라드에서 크로아티아인 아버지와 세르비아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전 권투 선수 마리얀 베네시
- 라트코 루디치, 수구 코치이자 전 수구 선수
- 유고슬라비아 인민영웅 제판 필리포비치
- 프란조 미할리치, 장거리 주자,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크로아티아 국회의장을 지낸 정치인 요시프 레코
- 요반 미키치 선수
- 레슬링 선수이자 전 세계 챔피언인 다보르 슈테파네크
- 반야 우도비치치, 정치인, 전직 프로 수구, 세르비아인 어머니, 크로아티아인 아버지
- 이비카 브르돌자크, 축구 선수
- 이반 사리치, 스포츠맨
- 토미슬라브 지그마노프, 세르비아계 크로아티아인 정치인, 작가, 출판인, 학술인.
- 슬라볼주브 모슬린, 유명한 축구선수.
- 세르비아와 유고슬라비아의 여배우, 세르비아계 어머니, 크로아티아인 아버지인 네다 아르네리치는 유고슬라비아 영화의 섹스 심벌로 여겨졌다.
- 세르비아 배우 알호사 부치코비치.
- 타마라 보로시, 탁구 선수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a. | ^ 코소보의 정치적 지위는 논란이 되고 있다.코소보는 2008년 세르비아로부터 일방적으로 독립을 선언한 이후 97개 유엔 회원국과 96개 국가가 코소보를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세르비아는 코소보를 자국 주권 영토의 일부라고 주장하고 있다. |
레퍼런스
- ^ a b c d "Official Census 2011 Results". Republički zavod za statistik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April 2013. Retrieved 3 February 2013.
- ^ "Hrvatska manjina u Republici Srbiji". rs.mvp.hr (in Croatian). Ministry of Foreign and European Affairs of the Republic of Croatia. Retrieved 1 April 2012.
- ^ "Croatian Minority in Republic of Serbia".
- ^ 카롤리 코시스, 사샤 키코셰프: 현재의 보이보디나 영토의 민족적 패턴 변화
- ^ Dr. Dushan J. Popoviz, Srbi u Vojvodini, knjiga 3, Novi Sad, 1990.
- ^ 쥐라즈 론차레비치:Hrvati u Mazarskoji Trianonski ugovor, Scholske novine, 자그레브, 1993, ISBN 953-160-004-X
- ^ a b "Archived copy". www.talmamedia.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December 2012. Retrieved 27 January 2022.
{{cite web}}
: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12-16. Retrieved 2014-02-20.
{{cite web}}
: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 ^ 매지야르 스젠트 코로나 오르샤가낙 1910년.에비 네프살랄라사; 1912년 부다페스트
- ^ 마리오 바라: 흐르바츠카 셀랴치카 스트랑카 우 나로드놈 프리포로두 바치키흐 흐르바타(바치카 크로아티아 국민운동의 크로아티아 페산트당), 페이지 63
- ^ "The Prosecutor against Vojislav Seselj - Third Amended Indictment" (PDF). ICTY. December 2007. Retrieved January 19, 2011.
- ^ Marcus Tanner (August 1992). "'Cleansing' row prompts crisis in Vojvodina". The Independent. Retrieved January 19, 2011.
- ^ Chuck Sudetic (July 26, 1992). "Serbs Force An Exodus From Plain". New York Times. Retrieved January 19, 2011.
- ^ 보이슬라브 세셀지 기소
- ^ a b Hrvatska nacionalna manjina u Srbiji 2009년 3월 11일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 완료
- ^ Serbia, RTS, Radio televizija Srbije, Radio Television of. "Rodna kuća bana Josipa Jelačića vraćena Hrvatskoj nacionalnoj zajednici". www.rts.rs. Retrieved 2020-07-20.
- ^ a b http://www.hnv.org.rs/obiljezja.php Wayback Machine에서 2018-10-17 아카이브 완료(크로아티아어)
- ^ Helsinki Committee for Human Rights in Serbia (2015). "SELF-EVALUATION SERBIAN OSCE CHAIRMANSHIP" (PDF). p. 78.
... there are problems with "faking" a particular national minority background in order to benefit from affirmative action measures. In this context, the question can be raised whether there are limits to self-identification, i.e. whether belonging to a particular ethnic group can be based solely on one's sentiments or is self-identification limited by objective criteria.
- ^ Sara Zarkovic. "The Politics of Multiculturalism in the Northern Autonomous Province of Vojvodina: (Serbian) Youth Discourse on Multiculturalism in Novi Sad". p. 120.
- ^ Stjepanović, Dejan (2015). "The Claimed Co-ethnics and Kin-State Citizenship in Southeastern Europe". Ethnopolitics. 14 (2): 152. doi:10.1080/17449057.2014.991151. S2CID 146354988.
- ^ Knežević, Aleksandar. "From ethno-statistics to ethno-politics. Is the population census a reliable source of data for ethno-demographic research?" (PDF).
- ^ Mina Djurić Nikolić and Laura Trimajova (2015). "A Tale of Two Serbias? Census-taking in 2002 and 2011" (PDF).
Census-taking in Serbia is particularly important as the results dictate budgetary fund allocations for each respective ministry; as such, the need for accuracy cannot be overstated
- ^ Vukovique 2017, 페이지 198. 오류: : 2017
- ^ "Hrvatska manjina u Republici Srbiji". hrvatiizvanrh.gov.hr. Središnji državni ured za Hrvate izvan Republike Hrvatske (Central State Office for Croats Outside the Republic of Croatia).
- ^ "Statement by the Presidency of the Croat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regarding the Bunjevci Croats" (PDF). www.info.hazu.hr. Glasnik HAZU. 2014. p. 53.
The Presidency of the Croat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in a session held on 12 September 2014, made the following statement explaining that the Bunjevci Croats form an integral part of the Croatian national corpus. The Presidency of the Croat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one of the fundamental institutions of the Croatian nation and of all the citizens of the Republic of Croatia, among the roles of which belongs the preservation of national identity, made the following statement in a session held on 12 September 2014: The Bunjevci, a Croatian ethnic group, are made up of three branches: the Dalmatian-Herzegovinian branch; the Primorje-Lika branch; and the Danube Region branch. Not encroaching on the right of any individual to express their national affiliation based on their origin, history, traditional culture, customs and language – the western new-Štokavian and Ikavian – the Bunjevci Croats form an integral part of the Croatian national corpus.
- ^ "O Bunjevcima (About the Bunjevci)". bunjevci.net. Bunjevačkog informativnog centra (Bunjevac Information Center of the Bunjevac National Council).
- ^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Serbia National Assembly activities". www.parlament.gov.rs.
- ^ (크로아티아어) 피스모 프로그나니흐르바타 요시포비치
- ^ 1992년 7월 13일 Vreme News Digest Agency No. 42, Hrtkovci, The Moving Out Continues, Jasmina Teodosijevic 지음
- ^ 세르비아, 다시 쇼비니즘에 직면, 쥐의 각성
- ^ (크로아티아어)Oko stotinu protjeranih Hrvata iz Vojvodine stiglo u[permanent dead link] Hrvatsku 1995년 8월 10일
- ^ (크로아티아어) 도미 svijet - Broj 220, Kako su Hrvati protjerani iz Vojvodine bolji vivot pronasli u Hrvatskoj, Hrtkovci u Slavoniji
- ^ 크로아티아와 전쟁하지 않는 세르비아의 크로아티아인들은 머리가 모래에 박혀있다.
- ^ (세르비아어) Sedamnaest godina od proterivanja Hrvata iz Hrtkovaca, Zoran Glavonjich
- ^ "Anniversary of SRS rally in Vojvodina tow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5-10. Retrieved 2011-05-01.
- ^ a b c d e f Damir Magaš (2015). "Population and Settlements of Croatia". The Geography of Croatia. University of Zadar. p. 321.
- ^ "Ethnic Minorities in Serbia: An Overview" (PDF). OSCE. February 2008. p. 12.
- ^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PDF).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9 November 2012. p. 8.
- ^ 르푸블리치키 자보드자 통계쿠 스르비예
- ^ 불균일한 시민권:유고슬라비아 이후 공간의 소수민족과 이민자크라스니키, 게짐, 스테파노비치, 데얀정치학 (2017)
- ^ Popis stanovnishtva, domaicinstva i stanova u 2002, Stanovnishtvo - nacionna ili etnichka pripadnost, podaci po naseljima, kniga 1, Republichizki zavod za statisticu, Beograd, 2003.
- ^ 토스 안탈:Magyarorszag é는 Karrpatt-medence 지역 Allis tarsadalomföldrajza, 2011, 페이지 67-68
- ^ "Government of Vojvodina". vojvodina.gov.rs.
- ^ "Masumi Kameda. Language Ideologies of the Bunjevac Minority in Vojvodina: Historical Backgrounds and the Post-1991 Situation" (PDF). 2014. pp. 95–119.
- ^ "Bunjevački govori".
Razlikuju se tri ogranka Bunjevačkih govora – podunavski, primorsko-lički i dalmatinski, a svi su kulturno bliski prema povijesnim, etnološkim i lingvističkim istraživanjima.
- ^ "Grgo Bačlija: Bunjevački je govor, a ne jezik". Hrvatska Riječ (in Croatian). 2021-03-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7-31.
- ^ "In memoriam: Grgo Bačlija (1939. – 2021.)". Hrvatska Riječ. 02-12-2021. p. Hitovi:74.
- ^ "Masumi Kameda. Language Ideologies of the Bunjevac Minority in Vojvodina: Historical Backgrounds and the Post-1991 Situation" (PDF). 2014. p. 113 (95–119).
- ^ "REČNIK BAČKIH BUNJEVACA".
- ^ "Sombor: Predstavljen "Rječnik govora bačkih Hrvata" akademika dr. Ante Sekulića/". February 2008.
- ^ "Odluka o utvrđivanju standarda bunjevačkog jezika: 18/2018-192" Одлука о утврђивању стандарда буњевачког језика: 18/2018-192 [Decision of the National Council of Bunjevci no. 18/2018-192] (in Serb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9-02. Retrieved 2020-07-30 – via Pravno-informacioni sistem RS.
- ^ (in Serbian) https://web.archive.org/web/20200609204421/http://www.pravno-informacioni-sistem.rs/SlGlasnikPortal/viewdoc?regactid=430473&doctype=reg&findpdfurl=tru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0-06-09. Retrieved 2020-07-30 – via Pravno-informacioni sistem RS.
{{cite web}}
:누락 또는 비어 있음title=
(도움말) - ^ Šolaja, Dragan (2007-10-25). "Bunjevački jezik u školskom programu". Blic (in Serb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10-08. Retrieved 2011-05-25.
- ^ Mark E. Karan and Kerry M. Corbett (2014). Dialogue on Dialect Standardization. Dialogue on Dialect Standardization (PDF).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p. 55-61. ISBN 978-1-4438-6661-3. Retrieved 2022-01-16.
In every region there is a linguistic variation. This linguistic variation has to be respected, because it is the identity of people. That is where differentiation between the culture is. Dialect standardization only happens when the people involved have enough or modify their identity to that or affiliation associated with a larger group, standardization is possible and often occurs. Before a standardization process, speaker use their dialects for all of their speech functions. After a standardization process, speaker use the standardized variety for at least some of their speech functions. For example, reading and writing and conversation in formality situations often call for use of standardized dialect variety. Thus, the standardization process is fundamentally a shift in language use patterns.
- ^ Vuković, Teodora (January 2015). "Vuković,Theodora. Izrada modela dijalekatskog korpusa bunjevačkog govora".
- ^ "ONLINE REČNIK BUNJEVAČKOG GOVORA".
Bunjevački rečnik je audio-rečnik koji za cilj ima da predstavi realnu, svakodnevnu i spontanu upotrebu bunjevačkog govora. Zamišljen je kao baza koja će moći da se dopunjuje i proširuje. Kao osnova rečnika korišćeni su audio snimci prikupljani tokom istraživanja bunjevačkih običaja i govora od strane Balkanoločkog instituta Srpske akademije nauka i umetnosti tokom 2009. godine. Rezultati tog istraživanja objavljeni su monografiji ,,Bunjevci - Etnodijalektološka istraživanja 2009”1. Iz tog korpusa uzete su reči i primeri njihove upotrebe, a značenja reči su preuzete iz ,,Rečnika bačkih Bunjevaca”2. Za svaku reč, kao i za primere postoji zvučni zapis, kako bi bilo moguće čuti njihov autentičan izgovor. Bunjevački govor pripada mlađim štokavskim dijalektima ikavskog narečja. Bunjevci naseljavaju oblast Bačke, i to pretežno mesta u okolini Subotice i Sombora. Pomenuta istraživanja Balkanološkog instituta, obuhvataju govore iz okoline Subotice, tačnije ruralne zajednice Bikovo, Klisa, Đurđin, Mala Bosna, Stari Žednik i Tavankut. Izostavljene su zajednice iz Sombora i Bunjevci iz Mađarske. Bunjevački rečnik je 2013. godine započela Teodora Vuković, studentkinja master studija na Filološkom fakultetu u Beogradu, uz podršku prof. dr Biljane Sikimić sa Balkanološkog instituta Srpske akademije nauka i umetnosti. Projekat podržavaju Balkanološki institut i Nacionalni savet bunjevačke nacionalne manjine. SANU, 2012
- ^ Tumbas, Nikola (2021-03-04). "Podržan predlog gradonačelnika Bakića da i bunjevački postane službeni jezik u Subotici". Subotica.info (in Serb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3-09. Retrieved 2021-03-04.
- ^ Bošnjaković, Žarko; Sikimić, Biljana (2013). Bunjevci: Etnodijalektološka istraživanja 2009 (in Serbian). Subotica and Novi Sad: Nacionalni savet bunjevačke nacionalne manjine and Matica srpsk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09-02. Retrieved 2021-07-26.
- ^ Aleksandar Raič and Suzana Kujundžić Ostojić (2014). Bunjevci izmed asimilacije i nacionalne zajednice. p. 144.
Bunjevački jezik u javnoj upotribi. Dakle, za onaj jezik za koji mi kažemo jezik, a zvanično je priznat ko dijalekat.
- ^ "предлагач: градско веће - SUBOTICA.com. 21 April 2021" (PDF). p. 26. Retrieved 2022-03-13.
Od 2007. godine u škole se uvodi izborni predmet Bunjevački govor sa elementima nacionalne kulture, a predmet nakon standardizacije jezika menja svoj naziv u Bunjevački jezik sa elementima nacionalne kulture.
- ^ Provincial Secretariat for Education, Regulations, Administration and National Minorities – National Communities. "Osnovne škole u AP Vojvodini". Retrieved 2022-03-13.
U osnovnim školama na teritoriji AP Vojvodine, pored nastave na srpskom jeziku, nastava se ostvaruje i na još pet jezika (mađarski, slovački, rumunski, rusinski i hrvatski). Pored redovne nastave na navedenim jezicima, učenicima je omogućeno i izučavanje mađarskog, slovačkog, rumunskog, rusinskog i hrvatskog jezika, kao i još šest jezika (ukrajinski, bunjevački, romski, bugarski, makedonski i češki), što je ukupno jedanaest jezika u okviru izborne nastave – Maternji jezik / govor sa elementima nacionalne kulture. 11.05.2021
{{cite web}}
: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Одлука о утврђивању стандарда буњевачког језика: 18/2018-192". 2018.
DECISION."Official Gazette of RS", No. 18 of March 9, 2018. The standard of the Bunjevac language is determined:- the established standard must be applied in textbooks and teaching of the Bunjevac language / speech;- the established standard must be applied in the media registered in order to achieve the public interest of information in the Bunjevac language;- The National Council of the Bunjevac National Minority may support in co-financing only those publications in the Bunjevac language that are in accordance with the established standard of the Bunjevac language;
- ^ Institut za hrvatski jezik i jezikoslovlje. "Prijedlog za proglašenje bunjevačkoga govora nematerijalnom kulturnom baštinom". Retrieved 3 March 2022.
Institut za hrvatski jezik i jezikoslovlje uputio je Ministarstvu kulture RH prijedlog da se bunjevački govor proglasi hrvatskom nematerijalnom kulturnom baštinom, kao važan čin pomoći bunjevačkomu govoru i svim Bunjevcima u Hrvatskoj i inozemstvu.
- ^ Fajin Deran, Ministry of Culture and Media of the Republic of Croatia (8 October 2022). "Bunjevački govori upisani u Registar kulturnih dobara Republike Hrvatske kao nematerijalno kulturno dobro". Retrieved 26 July 2022.
- ^ 반자, 코지 제 로제니 베오그라자닌, 디제테 이즈 미제쇼비토가 브라카, odmajke Srpkinje i oca Hrvata Istre.Krsno ime mu je Franjo, krshten je u katolichkoj crkvi u Beogradu.베오그라드에서 세르비아계 어머니와 이스트리아 출신의 크로아티아계 아버지 사이에서 혼혈아로 태어난 반자.그의 세례명은 프란조이고 베오그라드에 있는 가톨릭 교회에서 세례를 받았다.2010년, https://www.jutarnji.hr/sport/vanja-udovicic-ima-tri-drzavljanstva-a-krsno-ime-mu-je-franjo/2129490/
외부 링크
- 세르비아 분예바크 크로아티아 문화 교육 협회, 마티자 구베치 타반쿠트, matijagubec.rs
- (크로아티아어) 흐르바츠카 리예치 위클리
- (크로아티아어) 자예드니차 프로제라니히 흐르바타 이즈 스리제마 바치케 이 바나타
- (크로아티아어) Hrvati Vojvodine: Josipoviqui i Tadichu, zashtitite nas! 오트보레노 피스모2011년 2월 17일 Vechernji list에 의해 발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