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영상
Cy Young Award![]() | |
스포츠 | 야구 |
---|---|
리그 | 메이저리그 |
수상자: | 아메리칸리그와 내셔널리그에서 최고의 정규시즌 투수 |
나라 | 미국, 캐나다 |
제시자 | 미국 야구 작가 협회 |
역사 | |
1등상 | 1956년 (돈 뉴컴) |
가장 최근 | 블레이크 스넬(NL) 게릿 콜(AL) |
사이영상은 매년 메이저리그(MLB)에서 아메리칸리그(AL)와 내셔널리그(NL)에서 각각 한 명씩 최고의 투수들에게 주어집니다.이 상은 1955년 사망한 명예의 전당 투수 사이 영을 기리기 위해 1956년 야구 위원 포드 프릭이 도입했습니다.이 상은 원래 메이저리그 최고의 투수 한 명에게 주어졌지만, 프릭 감독이 은퇴한 뒤인 1967년에는 각 리그에서 한 명의 투수에게 상이 주어졌습니다.[1][2]
각 리그의 상은 각 팀의 대표 한 명과 함께 미국 야구 작가 협회 회원들이 투표합니다.2010시즌 현재 각 투표자는 각 리그 투수 중 1, 2, 3, 4, 5위에 투표합니다.최종 점수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공식은 투표의 가중합입니다.[A]각 리그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투수가 상을 받습니다.[1]두 투수가 같은 득표수를 받으면 상을 나눠 받습니다.[3]1970년부터 2009년까지 작가들은 3명의 투수를 투표했는데, 공식은 1등 투표에 5점, 2등 투표에 3점, 3등 투표에 1점이었습니다.1970년 이전에 작가들은 최고의 투수에게만 투표를 했고 투표당 1점의 공식을 사용했습니다.[1]
역사

사이 영 상은 1956년 야구 위원 포드 C에 의해 도입되었습니다. 1955년 사망한 명예의 전당 투수 사이영을 기리는 프릭.[1]원래 메이저 리그에서 최고의 투수 한 명에게 주어졌던 그 상은 시간이 지나면서 그것의 형식을 바꾸었습니다.1956년부터 1966년까지 이 상은 메이저리그에서 한 명의 투수에게 주어졌습니다.1967년 프릭이 은퇴한 후, 윌리엄 에커트가 새로운 야구 위원이 되었습니다.팬들의 요청으로 인하여, 에커트는 사이영상이 아메리칸 리그와 내셔널 리그에서 모두 수여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1]1956년부터 1958년까지 투수는 한 번 이상 상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 이 규칙은 1959년에 사라졌습니다.1969년 사이영상 투표에서 동률을 이룬 후, 각 작가가 3명의 투수에게 투표하는 절차가 변경되었습니다: 1등 투표는 5점, 2등 투표는 3점, 3등 투표는 1점.[1]
사이영상의 첫 번째 수상자는 다저스의 돈 뉴컴이었습니다.다저스는 가장 많은 사이영상을 받은 프랜차이즈입니다.1957년, 워렌 스판은 이 상을 수상한 최초의 왼손 투수가 되었습니다.1963년 샌디 쿠팩스는 만장일치로 이 상을 수상한 최초의 투수가 되었고, 2년 후 그는 최초의 다승 투수가 되었습니다.1978년 게이로드 페리(40세)가 이 상을 받은 최고령 투수가 되었는데, 이 기록은 2004년 로저 클레멘스(42세)에 의해 깨질 때까지 세워졌습니다.[1]최연소 수상자는 드와이트 구든(1985년 20세)이었습니다.2012년, R. A. Dickey는 최초로 너클볼 투수가 되었습니다.[4]
1974년, 마이크 마샬은 이 상을 수상한 최초의 구원투수가 되었습니다.[1]1992년, 데니스 에커슬리는 현대의 마무리 투수로는 처음으로 9이닝 동안 거의 독점적으로 기용되었고,[5][6][7] 이후 2003년에는 에릭 가녜(Eric Gagné, 마무리 투수)만이 이 상을 수상했습니다.양 리그를 통틀어 총 9명의 구원투수가 사이영상을 수상했습니다.[8]
1982년 스티브 칼튼은 사이영상을 3회 이상 수상한 최초의 투수가 되었고, 1994년 그레그 매덕스는 3회 이상 연속 수상한 최초의 투수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다음 해에 4회 연속 수상) 이 위업은 후에 랜디 존슨에 의해 반복되었습니다.[9]
수상자
연도 | 매년 그 메이저리그 시즌에 관한 기사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
평균자책점 | 평균 자책점 |
(#) | 여러 번 수상한 투수의 승수 |
---|---|
* | 최우수선수(2023년 기준 11회 발생)에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
** | 신인왕(2023년 기준 1회, 페르난도 발렌주엘라) 선정 |
† |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및 박물관 회원(2023년 기준 21명) |
메이저 리그 통합 (1956-1966)

연도 | 물주전자 | 팀. | 기록[B] | 저장[C] | 평균자책점 | 케이즈 |
---|---|---|---|---|---|---|
1956 | 돈 뉴컴* | 브루클린 다저스 (NL) | 27–7 | 0 | 3.06 | 139 |
1957 | 워렌 스판† | 밀워키 브레이브스 (NL) | 21–11 | 3 | 2.69 | 111 |
1958 | 밥 터리 | 뉴욕 양키즈 (AL) | 21–7 | 1 | 2.97 | 168 |
1959 | 초기 윈† | 시카고 화이트삭스 (AL) | 22–10 | 0 | 3.17 | 179 |
1960 | 베른 법칙 | 피츠버그 파이어리츠 (NL) | 20–9 | 0 | 3.08 | 120 |
1961 | 화이티 포드† | 뉴욕 양키즈 (AL) | 25–4 | 0 | 3.21 | 209 |
1962 | 돈 드라이스데일†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NL) | 25–9 | 1 | 2.84 | 232 |
1963 | 샌디 쿠팩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NL) | 25–5 | 0 | 1.88 | 306 |
1964 | 딘 챈스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AL) | 20–9 | 4 | 1.65 | 207 |
1965 | 샌디 쿠팩스† (2)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NL) | 26–8 | 2 | 2.04 | 382 |
1966 | 샌디 쿠팩스† (3)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NL) | 27–9 | 0 | 1.73 | 317 |
아메리칸 리그 (1967–현재)

연도 | 물주전자 | 팀. | 기록[B] | 저장[C] | 평균자책점 | 케이즈 |
---|---|---|---|---|---|---|
1967 | 짐 론보그 | 보스턴 레드삭스 | 22–9 | 0 | 3.16 | 246 |
1968 | 데니 맥레인*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31–6 | 0 | 1.96 | 280 |
1969 | 마이크 쿠엘라르 | 볼티모어 오리올스 | 23–11 | 0 | 2.38 | 182 |
1969 | 데니 맥레인 (2)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24–9 | 0 | 2.80 | 181 |
1970 | 짐 페리 | 미네소타 트윈스 | 24–12 | 0 | 3.04 | 168 |
1971 | 비다블루*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24–8 | 0 | 1.82 | 301 |
1972 | 게이로드 페리†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24–16 | 1 | 1.92 | 234 |
1973 | 짐 파머† | 볼티모어 오리올스 | 22–9 | 1 | 2.40 | 168 |
1974 | 메기 사냥꾼†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25–12 | 0 | 2.49 | 143 |
1975 | 짐 파머† (2) | 볼티모어 오리올스 | 23–11 | 1 | 2.09 | 193 |
1976 | 짐 파머† (3) | 볼티모어 오리올스 | 22–13 | 0 | 2.51 | 159 |
1977 | 스파키 라일 | 뉴욕 양키즈 | 13–5 | 26 | 2.17 | 68 |
1978 | 론 귀드리 | 뉴욕 양키즈 | 25–3 | 0 | 1.74 | 248 |
1979 | 마이크 플래너건 | 볼티모어 오리올스 | 23–9 | 0 | 3.08 | 190 |
1980 | 스티브 스톤 | 볼티모어 오리올스 | 25–7 | 0 | 3.23 | 149 |
1981 | 롤리 핑거*† | 밀워키 브루어스 | 6–3 | 28 | 1.04 | 61 |
1982 | 피트 부코비치 | 밀워키 브루어스 | 18–6 | 0 | 3.34 | 105 |
1983 | LaMarr Hoyt | 시카고 화이트삭스 | 24–10 | 0 | 3.66 | 148 |
1984 | 윌리 에르난데스*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9–3 | 32 | 1.92 | 112 |
1985 | 브레트 사베르하겐 | 캔자스시티 로열스 | 20–6 | 0 | 2.87 | 158 |
1986 | 로저 클레멘스* | 보스턴 레드삭스 | 24–4 | 0 | 2.48 | 238 |
1987 | 로저 클레멘스 (2) | 보스턴 레드삭스 | 20–9 | 0 | 2.97 | 256 |
1988 | 프랑크 비올라 | 미네소타 트윈스 | 24–7 | 0 | 2.64 | 193 |
1989 | 브레트 사베르하겐 (2) | 캔자스시티 로열스 | 23–6 | 0 | 2.16 | 193 |
1990 | 밥 웰치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27–6 | 0 | 2.95 | 127 |
1991 | 로저 클레멘스 (3) | 보스턴 레드삭스 | 18–10 | 0 | 2.62 | 241 |
1992 | 데니스 에커슬리*†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7–1 | 51 | 1.91 | 93 |
1993 | 잭 맥도웰 | 시카고 화이트삭스 | 22–10 | 0 | 3.37 | 158 |
1994 | 데이비드 콘 | 캔자스시티 로열스 | 16–5 | 0 | 2.94 | 132 |
1995 | 랜디 존슨† | 시애틀 매리너스 | 18–2 | 0 | 2.48 | 294 |
1996 | 팻 헨트겐 | 토론토 블루제이스 | 20–10 | 0 | 3.22 | 177 |
1997 | 로저 클레멘스 (4) | 토론토 블루제이스 | 21–7 | 0 | 2.05 | 292 |
1998 | 로저 클레멘스 (5) | 토론토 블루제이스 | 20–6 | 0 | 2.65 | 271 |
1999 | 페드로 마르티네스† (2) | 보스턴 레드삭스 | 23–4 | 0 | 2.07 | 313 |
2000 | 페드로 마르티네스† (3) | 보스턴 레드삭스 | 18–6 | 0 | 1.74 | 284 |
2001 | 로저 클레멘스 (6) | 뉴욕 양키즈 | 20–3 | 0 | 3.51 | 213 |
2002 | 배리 지토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23–5 | 0 | 2.75 | 182 |
2003 | 로이 할러데이† | 토론토 블루제이스 | 22–7 | 0 | 3.25 | 204 |
2004 | 요한 산타나 | 미네소타 트윈스 | 20–6 | 0 | 2.61 | 265 |
2005 | 바르톨로 콜론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 | 21–8 | 0 | 3.48 | 157 |
2006 | 요한 산타나 (2) | 미네소타 트윈스 | 19–6 | 0 | 2.77 | 265 |
2007 | CC 사바티아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19–7 | 0 | 3.21 | 209 |
2008 | 클리프 리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22–3 | 0 | 2.54 | 170 |
2009 | Zack Greinke | 캔자스시티 로열스 | 16–8 | 0 | 2.16 | 242 |
2010 | 펠릭스 에르난데스 | 시애틀 매리너스 | 13–12 | 0 | 2.27 | 232 |
2011 | 저스틴 벌랜더*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24–5 | 0 | 2.40 | 250 |
2012 | 데이비드 프라이스 | 탬파베이 레이스 | 20–5 | 0 | 2.56 | 205 |
2013 | 맥스 슈어저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21–3 | 0 | 2.90 | 240 |
2014 | Corey Kluber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18–9 | 0 | 2.44 | 269 |
2015 | 댈러스 카이클 | 휴스턴 애스트로스 | 20–8 | 0 | 2.48 | 216 |
2016 | 릭 포르첼로 | 보스턴 레드삭스 | 22–4 | 0 | 3.15 | 189 |
2017 | Corey Kluber (2)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18–4 | 0 | 2.25 | 265 |
2018 | 블레이크 스넬 | 탬파베이 레이스 | 21–5 | 0 | 1.89 | 221 |
2019 | 저스틴 벌랜더 (2) | 휴스턴 애스트로스 | 21–6 | 0 | 2.58 | 300 |
2020 | 셰인 비버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8–1 | 0 | 1.63 | 122 |
2021 | 로비 레이 | 토론토 블루제이스 | 13–7 | 0 | 2.84 | 248 |
2022 | 저스틴 벌랜더 (3) | 휴스턴 애스트로스 | 18–4 | 0 | 1.75 | 185 |
2023 | 게릿 콜 | 뉴욕 양키즈 | 15–4 | 0 | 2.63 | 222 |
내셔널 리그 (1967–현재)

연도 | 물주전자 | 팀. | 기록[B] | 저장[C] | 평균자책점 | 케이즈 |
---|---|---|---|---|---|---|
1967 | 마이크 매코믹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22–10 | 0 | 2.85 | 150 |
1968 | 밥 깁슨*†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22–9 | 0 | 1.12 | 268 |
1969 | 톰 시버† | 뉴욕 메츠 | 25–7 | 0 | 2.21 | 208 |
1970 | 밥 깁슨† (2)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23–7 | 0 | 3.12 | 274 |
1971 | 퍼거슨 젠킨스† | 시카고 컵스 | 24–13 | 0 | 2.77 | 263 |
1972 | 스티브 칼튼† | 필라델피아 필리스 | 27–10 | 0 | 1.98 | 310 |
1973 | 톰 시버† (2) | 뉴욕 메츠 | 19–10 | 0 | 2.08 | 251 |
1974 | 마이크 마샬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15–12 | 21 | 2.42 | 143 |
1975 | 톰 시버† (3) | 뉴욕 메츠 | 22–9 | 0 | 2.38 | 243 |
1976 | 랜디 존스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22–14 | 0 | 2.74 | 93 |
1977 | 스티브 칼튼† (2) | 필라델피아 필리스 | 23–10 | 0 | 2.64 | 198 |
1978 | 게이로드 페리† (2)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21–6 | 0 | 2.73 | 154 |
1979 | 브루스 서터† | 시카고 컵스 | 6–6 | 37 | 2.22 | 110 |
1980 | 스티브 칼튼† (3) | 필라델피아 필리스 | 24–9 | 0 | 2.34 | 286 |
1981 | 페르난도 발렌수엘라**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13–7 | 0 | 2.48 | 180 |
1982 | 스티브 칼튼† (4) | 필라델피아 필리스 | 23–11 | 0 | 3.11 | 286 |
1983 | 존 데니 | 필라델피아 필리스 | 19–6 | 0 | 2.37 | 139 |
1984 | 릭 서트클리프 | 시카고 컵스 | 16–1 | 0 | 2.69 | 155 |
1985 | 드와이트 구든 | 뉴욕 메츠 | 24–4 | 0 | 1.53 | 268 |
1986 | 마이크 스콧 | 휴스턴 애스트로스 | 18–10 | 0 | 2.22 | 306 |
1987 | 스티브 베드로시안 | 필라델피아 필리스 | 5–3 | 40 | 2.83 | 74 |
1988 | 오렐 허샤이저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23–8 | 1 | 2.26 | 178 |
1989 | 마크 데이비스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4–3 | 44 | 1.85 | 92 |
1990 | 더그 드라벡 | 피츠버그 파이리츠 | 22–6 | 0 | 2.76 | 131 |
1991 | 톰 글래빈†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20–11 | 0 | 2.55 | 192 |
1992 | 그레그 매덕스† | 시카고 컵스 | 20–11 | 0 | 2.18 | 199 |
1993 | 그레그 매덕스† (2)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20–10 | 0 | 2.36 | 197 |
1994 | 그레그 매덕스† (3)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16–6 | 0 | 1.56 | 156 |
1995 | 그레그 매덕스† (4)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19–2 | 0 | 1.63 | 181 |
1996 | 존 스몰츠†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24–8 | 0 | 2.94 | 276 |
1997 | 페드로 마르티네스† | 몬트리올 엑스포스 | 17–8 | 0 | 1.90 | 305 |
1998 | 톰 글래빈† (2)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20–6 | 0 | 2.47 | 157 |
1999 | 랜디 존슨† (2)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 17–9 | 0 | 2.49 | 364 |
2000 | 랜디 존슨† (3)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 19–7 | 0 | 2.64 | 347 |
2001 | 랜디 존슨† (4)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 21–6 | 0 | 2.49 | 372 |
2002 | 랜디 존슨† (5)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 24–5 | 0 | 2.32 | 334 |
2003 | 에리히 가녜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2–3 | 55 | 1.20 | 137 |
2004 | 로저 클레멘스 (7) | 휴스턴 애스트로스 | 18–4 | 0 | 2.98 | 218 |
2005 | 크리스 카펜터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21–5 | 0 | 2.83 | 213 |
2006 | 브랜든 웹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 16–8 | 0 | 3.10 | 178 |
2007 | 제이크 피비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19–6 | 0 | 2.54 | 240 |
2008 | Tim Lincecum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18–5 | 0 | 2.62 | 265 |
2009 | Tim Lincecum (2)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15–7 | 0 | 2.48 | 261 |
2010 | 로이 할러데이† (2) | 필라델피아 필리스 | 21–10 | 0 | 2.44 | 219 |
2011 | 클레이튼 커쇼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21–5 | 0 | 2.28 | 248 |
2012 | R. A. 디키 | 뉴욕 메츠 | 20–6 | 0 | 2.73 | 230 |
2013 | 클레이튼 커쇼 (2)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16–9 | 0 | 1.83 | 232 |
2014 | 클레이튼 커쇼* (3)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21–3 | 0 | 1.77 | 239 |
2015 | 제이크 아리에타 | 시카고 컵스 | 22–6 | 0 | 1.77 | 236 |
2016 | 맥스 슈어저 (2) | 워싱턴 내셔널스 | 20–7 | 0 | 2.96 | 284 |
2017 | 맥스 슈어저 (3) | 워싱턴 내셔널스 | 16–6 | 0 | 2.51 | 268 |
2018 | 제이콥 디그롬 | 뉴욕 메츠 | 10–9 | 0 | 1.70 | 269 |
2019 | 제이콥 디그롬 (2) | 뉴욕 메츠 | 11–8 | 0 | 2.43 | 255 |
2020 | 트레버 바우어 | 신시내티 레즈 | 5–4 | 0 | 1.73 | 100 |
2021 | 코빈 번즈 | 밀워키 브루어스 | 11–5 | 0 | 2.43 | 234 |
2022 | 샌디 알칸타라 | 마이애미 말린스 | 14–9 | 0 | 2.28 | 207 |
2023 | 블레이크 스넬 (2)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14–9 | 0 | 2.25 | 234 |
다승자


22명(22명)의 투수가 여러 번 수상했습니다.로저 클레멘스(Roger Clemens)는 현재 가장 많은 상을 수상한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7개의 상을 수상했습니다 – 그의 처음과 마지막 수상은 18년으로 나뉘었습니다.그레그 매덕스(1992-1995)와 랜디 존슨(1999-2002)은 4개로 최다 연속 수상 기록을 공유하고 있습니다.클레멘스, 존슨, 페드로 마르티네스, 게이로드 페리, 로이 할러데이, 맥스 슈어저, 블레이크 스넬이 아메리칸리그와 내셔널리그에서 모두 상을 수상한 유일한 투수입니다. 샌디 쿠팩스는 메이저리그 전체에서 단 한 개의 상만 수여되었던 기간 동안 여러 개의 상을 수상한 유일한 투수입니다.로저 클레멘스는 두 번째 사이영상을 수상한 최연소 투수였고, 팀 린스컴은 내셔널 리그에서 수상한 최연소 투수였고 클레이튼 커쇼는 최연소 좌완 투수였습니다.클레이튼 커쇼는 세 번째 사이영상을 수상한 최연소 투수입니다.클레멘스는 또한 4개의 다른 팀들과 함께 사이영상을 수상한 유일한 투수입니다; 다른 누구도 2개 이상의 다른 팀들과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저스틴 벌랜더는 첫 번째(2011년)와 두 번째(2019년) 사이영상을 분리해 가장 많은 시즌을 보내고 있습니다.
물주전자 | # 상중의 | 몇 해 |
---|---|---|
로저 클레멘스 | 7 | 1986, 1987, 1991, 1997, 1998, 2001, 2004 |
랜디 존슨 † | 5 | 1995, 1999, 2000, 2001, 2002 |
스티브 칼튼 † | 4 | 1972, 1977, 1980, 1982 |
그레그 매덕스 † | 1992, 1993, 1994, 1995 | |
샌디 쿠팩스 † | 3 | 1963, 1965, 1966 |
톰 시버 † | 1969, 1973, 1975 | |
짐 파머 † | 1973, 1975, 1976 | |
페드로 마르티네스 † | 1997, 1999, 2000 | |
클레이튼 커쇼 | 2011, 2013, 2014 | |
맥스 슈어저 | 2013, 2016, 2017 | |
저스틴 벌랜더 | 2011, 2019, 2022 | |
데니 맥레인 | 2 | 1968, 1969 |
밥 깁슨 † | 1968, 1970 | |
게이로드 페리 † | 1972, 1978 | |
브레트 사베르하겐 | 1985, 1989 | |
톰 글래빈 † | 1991, 1998 | |
요한 산타나 | 2004, 2006 | |
Tim Lincecum | 2008, 2009 | |
로이 할러데이 † | 2003, 2010 | |
Corey Kluber | 2014, 2017 | |
제이콥 디그롬 | 2018, 2019 | |
블레이크 스넬 | 2018, 2023 |
팀별 우승
단 두 팀만이 투수가 사이영상을 받은 적이 없습니다.브루클린/로스앤젤레스 다저스는 12개로 다른 어떤 팀보다 더 많은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팀. | # 상중의 | 몇 해 |
---|---|---|
브루클린/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12 | 1956, 1962, 1963, 1965, 1966, 1974, 1981, 1988, 2003, 2011, 2013, 2014 |
밀워키/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7 | 1957, 1991, 1993–1996, 1998 |
필라델피아 필리스 | 1972, 1977, 1980, 1982, 1983, 1987, 2010 | |
보스턴 레드삭스 | 1967, 1986, 1987, 1991, 1999, 2000, 2016 | |
뉴욕 메츠 | 1969, 1973, 1975, 1985, 2012, 2018, 2019 | |
볼티모어 오리올스 | 6 | 1969, 1973, 1975, 1976, 1979, 1980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1972, 2007, 2008, 2014, 2017, 2020 | |
뉴욕 양키즈 | 1958, 1961, 1977, 1978, 2001, 2023 |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 5 | 1999–2002, 2006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1968, 1969, 1984, 2011, 2013 |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1971, 1974, 1990, 1992, 2002 | |
시카고 컵스 | 1971, 1979, 1984, 1992, 2015 | |
토론토 블루제이스 | 1996–1998, 2003, 2021 | |
휴스턴 애스트로스 | 1986, 2004, 2015, 2019, 2022 |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1976, 1978, 1989, 2007, 2023 | |
캔자스시티 로열스 | 4 | 1985, 1989, 1994, 2009 |
미네소타 트윈스 | 1970, 1988, 2004, 2006 | |
시카고 화이트삭스 | 3 | 1959, 1983, 1993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1967, 2008, 2009 |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1968, 1970, 2005 | |
몬트리올 엑스포스/워싱턴 내셔널스 | 1997, 2016, 2017 | |
밀워키 브루어스 | 1981, 1982, 2021 |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2 | 1964, 2005 |
피츠버그 파이리츠 | 1960, 1990 | |
시애틀 매리너스 | 1995, 2010 | |
탬파베이 레이스 | 2012, 2018 | |
신시내티 레즈 | 1 | 2020 |
마이애미 말린스 | 2022 | |
콜로라도 로키스 | 0 | 없음. |
텍사스 레인저스 | 없음. |
만장일치 수상자
만장일치로 사이영상을 수상한 선수는 20명으로 총 27승을 거뒀습니다.
이러한 만장일치 수상 중 6개는 최우수 선수상(아래 *로 표시됨, **는 선수의 만장일치 수상이 MVP 수상과 함께 동반됨)을 의미합니다.
내셔널리그에서는 12명의 선수가 만장일치로 사이영상을 수상해 총 15승을 올렸습니다.
- 샌디 쿠팩스 (1963*, 1965, 1966)
- 그레그 매덕스 (1994, 1995)
- 밥 깁슨 (1968*)
- 스티브 칼튼 (1972)
- 릭 서트클리프 (1984)
- 드와이트 구든 (1985)
- 오렐 허샤이저 (1988)
- 랜디 존슨 (2002)
- 제이크 피비 (2007)
- 로이 할러데이 (2010)
- 클레이튼 커쇼 (2014*)
- 샌디 알칸타라 (2022)
아메리칸리그에서는 8명의 선수가 만장일치로 사이영상을 수상해 총 12승을 거뒀습니다.
- 데니 맥레인 (1968**)
- Ron Guidry (1978)
- 로저 클레멘스 (1986*, 1998)
- 페드로 마르티네스 (1999, 2000)
- 요한 산타나 (2004, 2006)
- 저스틴 벌랜더 (2011*, 2022)
- 셰인 비버 (2020)
- 게릿 콜 (2023)
참고 항목
- 트리플 크라운(피칭)
- 이달의 투수
- 메이저 리그 올해의 구원 투수상
- 마리아노 리베라 AL 올해의 구원투수상과 트레버 호프만 NL 올해의 구원투수상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 "Essurance MLB Awards" 최우수 투수(MLB)
- 올해의 야구 다이제스트 투수(MLB)
- "플레이어 초이스 어워드" 우수 투수 (각 리그)
- 스포팅 뉴스 선발 투수(각 리그)
- '그렉 스피라 메모리얼 인터넷 베이스볼 어워드' 올해의 투수(각 리그)
- NLBM 윌버 "총알" 로건 레거시 상 ("올해의 투수") (각 리그)
- 스포츠 뉴스 올해의 구원 투수(각 리그)
- NLBM 힐튼 스미스 레거시 상("올해의 릴리버") (각 리그)
- TSN 올해의 구원 투수(각 리그)(단종)
- 롤레이드 릴리프 맨상(각 리그) (중단)
- 워렌 스판상(최고의 왼손 투수)
- 메이저 리그 올 센추리 팀
- 메이저리그 역대 팀
- "위대한 업적의 투구의 벽" (테드 윌리엄스 박물관과 타자 명예의 전당)
- 사와무라 에이지 상(NPB 최고 선발 투수)
- 최동원상(KBO 최고 선발투수)
- 야구대상
메모들
- A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Score = 7F + 4S + 3T + 2FO + FI
, 여기서 F는 1등표, S는 2등표, T는 3등표, FO는 4등표, FI는 5등표입니다.[1] - a b c 참고: 판정(야구)
- a b c 야구에서 세이브는 특정한 상황에서 승리한 팀을 위해 경기를 마친 투수에게 인정됩니다.1969년 메이저리그 공식 통계가 되었습니다.
참고문헌
특정한
- ^ a b c d e f g h i "Cy Young Award on Baseball Almanac". Baseball Almanac. Retrieved October 22, 2008.
- ^ "Cy Young Award Winners (American League)". Encart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1, 2009. Retrieved November 1, 2008.
- ^ "Cy Young Award voting results". Baseball Digest.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9, 2007. Retrieved November 1, 2008.
- ^ Rubin, Adam (November 14, 2012). "R. A. Dickey wins NL Cy Young". ESPN. Retrieved November 4, 2023.
- ^ Zimniuch, Fran (August 1, 2018). Baseball's New Frontier: A History of Expansion, 1961-1998. U of Nebraska Press. p. 169. ISBN 978-1-4962-1004-3.
- ^ "MLB on Yahoo! Sports – News, Scores, Standings, Rumors, Fantasy Games". Yahoo! Spor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19, 2012. Retrieved March 25, 2018.
- ^ Jenkins, Chris (September 25, 2006). "Where's the fire?". The San Diego Union-Tribu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8, 2011.
- ^ Kepner, Tyler (October 1, 2016). "Zach Britton Is Perfectly Unorthodox Choice for Cy Young Award".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1, 2022. Retrieved March 25, 2018.
- ^ "Chicago Cubs: This is not the Arrieta we were looking for". cubbiescrib.com. September 3, 2016. Retrieved March 25, 2018.
일반
- "Cy Young Award". Baseball Almanac. Retrieved October 2, 2008.
- "Cy Young Award winners". Major League Baseball. Retrieved October 2, 2008.
- "Most Valuable Player MVP Awards & Cy Young Awards Winners". Baseball-Reference. Retrieved October 9, 2011.
- "Cy Young Award Winners (American League)". Encart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1, 2009. Retrieved November 1, 2008.
- "Cy Young Award voting results". Baseball Digest. November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9, 2007. Retrieved November 1,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