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클론 보니타
Cyclone Bonita강도 높은 열대 저기압(SWIO 척도) | |
---|---|
카테고리 4 열대 사이클론(SSHWS) | |
![]() 마다가스카르로 접근하는 사이클론 보니타의 위성 이미지 | |
형성된 | 1996년 1월 3일 |
소멸됨 | 1996년 1월 20일 |
(1월 15일 이후 최저치) | |
최고풍속 | 10분 지속: 185km/h(mph) 1분 지속: 250km/h(시속 1mph) |
최저 압력 | 920 hPa(mbar), 27.17 inHg |
사망률 | ~42 |
영향을 받는 영역 | 마다가스카르, 모잠비크, 짐바브웨, 잠비아, 앙골라 |
1995-96년 남서인도양 사이클론 일부 |
1996년 1월 강력한 열대성 사이클론 보니타가 마다가스카르와 모잠비크를 강타해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오래 지속된 폭풍은 1995년 마지막 시간에 발달하기 시작했고, 남서 인도양의 공해 위로 서서히 통합되었다.일반적으로 서남서쪽으로 추적한 이 소동은 1월 5일 메테오-프랑스로부터 그 이름을 받았다.결국 열대성 사이클론으로 정점을 찍은 보니타는 1월 10일 마다가스카르 북동부를 강타하기 전에 모리셔스와 레유니온을 북쪽으로 우회했다.이 폭풍은 최대 15만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쳤고, 넓은 농경지가 범람했으며, 25명의 목숨을 앗아갔다.그 여파로 마다가스카르 정부와 국제사회는 물론 비정부기구(NGO)에서도 재난구호가 이뤄졌으며 유엔 인도주의부는 약 45만 달러의 기부금 분배를 도왔다.
보니타는 비록 이전의 강도의 일부를 빠르게 회복했지만 현저하게 줄어든 폭풍으로 모잠비크 해협에 등장했다.처음 상륙한 지 3일 후, 사이클론은 모잠비크의 잠베지아 주 상공을 해안으로 이동했다.보니타는 북부 전역에서 대규모 홍수를 일으켜 수백 채의 건물이 파손되거나 파괴됐으며 17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불어난 강물이 도로와 다리를 침수시켜 일부 지역을 고립시켰다.기상학적 드문 경우인 보니타는 며칠 동안 내륙을 계속하여 뚜렷한 열대성 저기압으로 지속되었다; 이 시스템은 아프리카 남부를 가로지르고 결국 남대서양으로 들어갔다.이 과정에서 짐바브웨와 잠비아에 때아닌 폭우가 내렸다.잠비아 기상부가 발간한 논문은 보니타가 아프리카 대륙을 가로질러 남서인도양에서 남대서양까지 추적한 것으로 확인된 최초의 폭풍이라고 단언했다.
기상사
사이클론 보니타는 1995년 12월 31일 차고스 군도의 디에고 가르시아 동쪽 약 600km(370mi)에서 관측된 약한 기상 구역에서 유래했다.이 시스템은 뚜렷한 저수준 순환과 곡선 밴딩 기능으로 표시되었고,[1] 합동태풍경보센터(JTWC)가 즉각 모니터링에 들어갔다.[2]교란이 일반적으로 남서쪽으로 표류함에 따라 이후 며칠 동안 적대적인 상층 패턴이 더 이상의 조직을 방해했다.1월 3일, 저기압 센터는 초기 강화의 징후를 보여,[1] 메테오-프랑스가 기관에서 사용하는 7개의 뚜렷한 강도 범주 중 가장 낮은 열대 소동을 선언하게 되었다.[3]주변 환경은 열대성 사이클로네시스(cyclogenesis)에 더욱 유리해졌고, 그 결과 이 시스템은 더욱 성숙해졌으며,[1] 1월 5일 새벽에는 우울증으로, 12시간 후에는 온화한 열대성 폭풍으로 격상되었다.[3]당시 이름이 보니타였다.[4]JTWC는 다음날 새벽 06S(보니타 내부 명칭)를 열대성 폭풍에 준하는 수준으로 격상했다.[2]
계속 거세지면서 태풍은 서남서쪽으로 가속되어 아열대성 고기압의 산등성이에 부딪히면서 거의 적기에 가까운 서부로 향했다.사이클론의 내부 구조는 조직적으로 꾸준히 개선되어 잘 발달된 열대 계통의 모델과 잘 어울렸다.극심한 열대성 사이클론 단계를 넘어,[4] 보니타는 1월 8일 1200 UTC에서 열대성 사이클론 지위를 달성했다.[3]세인트 브랜든의 바로 남쪽을 지나, 이 시스템은 폭이 50km(30mi) 정도 되는 넓고 정의가 잘못된 눈을 보여주었다.[4]사이클론은 1월 8일에 걸쳐 급속도로 강화되었으며, 눈은 굳고 중심부는 짙은 구름이 잔뜩 끼었다.모리셔스 북쪽 약 225km(140mi)를 추적한 보니타는 시속 185km(115mph), 중심 기압 920hPa(27inHg)의 최대 강도에 도달했다.이것은 폭풍우를 지역 규모에서 두 번째로 높은 열대성 사이클론으로 분류했다.[3]JTWC는 06S를 250km/h(155mph)의 1분 피크 풍속(사피르-심슨 허리케인 눈금에서 4등급 강도와 결합)으로 다음날 1200 UTC로 정점을 찍은 것으로 보고 있다.[2]
메테오프랑스에 따르면 보니타는 1월 9일 새벽쯤부터 눈이 비대칭적으로 변하고 정의가 제대로 되지 않는 등 조금씩 약해지기 시작했다.[3][4]남쪽의 능선 때문에 폭풍이 남쪽으로 진행되지 못했고,[4] 레유니온에서 북쪽으로 약 270km(170mi)를 지나자 보니타는 마다가스카르 남쪽의 중상층 고기압에 의해 조종되는 것으로 보이는 서쪽과 후에 대략 서쪽으로 이동했다.[5]마다가스카르 동부 해안에 접근하면서 강한 열대성 사이클론으로 남아 현지시간 10일 밤 마하벨로나 부근에 상륙했다.[6]착륙 당시 위성사진에는 맑은 눈이 보였다.[7]약 하루 동안 섬나라를 가로지르며 모잠비크 해협에 다시 떠오르면서 온화한 열대성 폭풍으로 크게 약화되었다.일단 물에 잠기면, 사이클론이 아프리카 대륙을 향해 서남서쪽으로 진행되면서, 우호적인 환경은 빠른 재집중화를 야기했다.[6]1월 13일 1200 UTC에서 보니타는 시속 95km의 10분 바람으로 2차 최고 강도의 열대성 폭풍 상태를 재현했다.[3]사이클론은 광범위한 순환과 좋은 구조로 현지 시간으로 1월 13일 밤 퀘리마네 구와 페바네 구 사이의 모잠비크 잠베지아 주 상공에 두 번째이자 마지막 상륙을 했다.보니타는 내륙을 굽이치며 점차 약해져 공해상에서 거의 역추적만 했다.[6]
비록 메테오-프랑스와 JTWC의 "최고의 트랙" 리스트가 1월 15일 0600 UTC로 끝나지만,[2][3] 남아 있는 열대 저압은 남아프리카 대륙을 가로질러 일반적으로 서쪽으로 계속되기 때문에 뚜렷하고 활발하게 유지되었다.이 지역에 상륙하는 거의 모든 열대성 사이클로인이 남쪽으로 재발하거나 해안으로 이동하면서 빠르게 소멸하는 곳에서는 희귀한 시냅스 패턴이 보니타의 잔해를 지속시켜 1월 16일 짐바브웨 북부 상공으로 이동하게 했다.이후 이틀 동안 약해진 폭풍은 위성사진에서 두드러지게 남아 결국 앙골라 해안에서 벗어나 1월 19일 남대서양으로 진입했다.다음날까지 이 시스템은 차가운 물과 며칠 동안의 육지 상호작용에 굴복하여 완전히 소멸되었다.잠비아 기상부가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보니타는 남아프리카를 남서인도양에서 남대서양으로 횡단한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열대성 사이클론이었다.[8]
영향과 여파
마다가스카르.
토하마시나의 한 녹음소는 시속 150km(95mph)의 강풍을 동반한 비가 24시간 동안 170mm(6.7인치)나 내렸다.지난 1월 10일 230km/h(140mph)를 넘은 돌풍이 해안 섬인 슐레 사인마리에에서 더 강한 바람이 관측됐다.[9]광범위한 민물 범람이 내륙 먼 곳까지 침투해 안타나나리보 인근 한 지역에서만 1800ha(4400에이커)의 벼농사가 침수됐다.[10]마다가스카르의 북동쪽 해안선을 따라 피해가 가장 컸으며, 특히 마하벨로나, 페노아리보 아츠나나나, 마함보 주변이 특히 피해가 컸다.[9][11]사회 기반 시설과 농작물이 모두 큰 타격을 입은 곳메테오-프랑스는 열대성 저기압의 계절적 보고에서, 이 나라에서 25명이 사망했거나, 사망자의 신원을 밝히지 않은 채 사망했다고 확인했다.[9]전체적으로, 그 폭풍은 15만명에 달하는 개인들에게 영향을 미쳤고,[11] 그 중 5천명은 집을 잃었다.[9]하지만, 그 재난에 대한 보도는 부족했다.[12]
폭풍우 이후,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세 곳의 공산국가의 인도주의적 위기를 완화하기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재난 구호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이 프로그램은 영양실조 아동 1,500명을 대상으로 한 특별 물품과 함께 4만 명의 피해자에게 긴급 식량 배급을 제공하는 것이었다.이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마하벨로나에 영양실조 재활센터가 설립되었는데, 이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총 120만 달러(1996년 미화)의 비용이 들었고, 부분적으로 유엔 인도주의 문제부(DHA)가 자금을 지원했다.2월 말에, 마다가스카르 정부는 국제 원조를 요청했다; 3월 6일까지 프랑스와 독일은 거의 8만 달러 상당의 긴급 물자뿐만 아니라, 총 10만 달러의 원조 기금을 기부했다.[11]전반적으로, DHA는 대부분 유럽에서 온 약 45만 달러의 외국인 기부금을 처리했다.[13]비키 J 마다가스카르 주재 미국 대사 Huddleston은 타르를 분배하기 위해 25,000 달러의 할당을 승인했고, 미국 국제 개발 기구는 17,000 달러를 의료비로 보냈다.[14]
사이클론이 맹위를 떨친 직후 구호단체와 NGO들 사이에서는 이번 폭풍이 시즌 초반에 너무 이르거나 재난 자금의 상당 부분을 쏟아 부을 만큼 피해가 크지 않다는 우려가 나왔다.결과적으로, 비상 대응의 범위에 대한 예비 기증자 간의 의견 불일치는 개입 지연을 초래했다.보니타에 대한 대응에 대한 스톰 이후의 평가는 기관 간 조율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부각시켰다.[14]
아프리카
보니타는 또한 북부 모잠비크, 특히 잠베지아, 남풀라, 카보 델가도 지방에서 파괴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이 폭풍으로 퀘리마네 시의 주택 400여 채가 심하게 파손됐다.그 후, 국제 단체들은 폭풍 피해자들에게 비상 식량 공급을 분배했다.[15]상당한 강우로 인해 전국 내륙 곳곳에서 홍수가 발생해 무려 17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홍수로 2,500 ha(6,200 에이커)의 농작물이 파괴되었고 약 12개의 학교를 포함한 많은 건물들이 파괴되었다.[16][17]부지 강은 둑을 넘어 불어나 인근 주택들을 쓸어버리고 부지 지구에서는 통행할 수 없는 도로를 만들었다.현지 관리들은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장소에 접근할 수 없어 보고된 것보다 더 큰 파괴가 우려되었다.풍위강 유역에서도 상당한 홍수가 보고되었다. 풍위강 지류 두 곳의 다리가 물에 잠겼다.[12]
보니타의 잔해들은 가뭄에 시달리는 짐바브웨 동부지역보다 80년 만에 가장 많은 강수량을 기록했다.지난 1월 15일부터 16일까지 이틀간 계속된 강우량이 135mm(5.3인치)의 강수량을 기록한 러사페에서 깨졌다.[18]불안정한 날씨는 잠비아까지 확장되었는데, 잠비아는 상대적으로 강한 바람과 많은 지역에서 정상 이상의 계절 강수량을 기록했고, 그에 비해 강수량은 평균을 유지하거나 심지어 전국 북부와 동부 지역에서 평균보다 약간 낮은 경향을 보였다.잠비아의 일일 총 강수량은 1월 16일 초마에서 134mm(5.3인치)로 정점을 찍었다.[8]
참고 항목
- 사이클론 나디아 – 1994년 3월 말 모잠비크 북부 해안을 강타했다.
- 사이클론 게랄다 – 약 2년 전에 마다가스카르가 보니타보다 더 큰 파괴로 타격을 입었고, 보니타의 여파로 재난 구호 단체들의 벤치마크로 사용되었다.[14]
참조
- 일반
- Le Goff, Guy; et al. (1996). "1995–1996 Cyclone Season in the South-West Indian Ocean" (in English and French). Météo-France. Retrieved November 30, 2013.
- 특정
- ^ a b c 르 고프 외, 24페이지
- ^ a b c d Joint Typhoon Warning Center. "06S (Cyclone Bonita) Best Track". Naval Meteorology and Oceanography Command. Retrieved November 30, 2013.
- ^ a b c d e f g "Donnees De Bonita" (in French). Météo-France. Retrieved 2011-10-04.
- ^ a b c d e 르 고프 외, 25페이지
- ^ 르 고프 외, 페이지 25-26
- ^ a b c 르 고프 외, 26페이지
- ^ 르 고프 외 28페이지
- ^ a b Mudenda, O. S.; Mumba, Z. L. S. "The Unusual Tropical Storm of January 1996". Zambia Meteorological Department. CiteSeerX 10.1.1.601.2986. Retrieved December 29, 2020 – via CiteSeerX.
{{cite journal}}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journal=
(도움말) - ^ a b c d 르 고프 외, 페이지 27
- ^ "Four dead, thousands homeless after cyclone hits Madagascar". Agence France Presse. January 22, 1996. – LexisNexis를 통해(가입 필요)
- ^ a b c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Humanitarian Affairs (March 6, 1996). "Madagascar Cyclone Bonita Situation Report No.1". ReliefWeb. Retrieved December 2, 2013.
- ^ a b Brakenridge, G. R.; et al. "Global Flood Reports, 1996". Dartmouth College. Retrieved December 2, 2013.
- ^ United Nations Secretary-General (November 3, 1997). "Measures taken following the cyclones and floods that have affected Madagascar" (PDF).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p. 2. Retrieved December 2, 2013.[영구적 데드링크]
- ^ a b c Bureau for Humanitarian Response/Office of Foreign Disaster Assistance (August 1996). "Madagascar: Disaster Preparedness Assessment Mission" (PDF). 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p. 4. Retrieved December 2, 2013.
- ^ "International news: Maputo, Mozambique". Associated Press International. Associated Press. January 18, 1996. – LexisNexis를 통해(가입 필요)
- ^ Newman, Steve (January 27, 1996). "Earthweek: Diary of the planet For the week ending 26 January 1996". Toronto Star. – LexisNexis를 통해(가입 필요)
- ^ "Mark falls on German rate cut". Agence France Presse. January 31, 1996. – LexisNexis를 통해(가입 필요)
- ^ "International news: Harare, Zimbabwe". Associated Press International. Associated Press. January 17, 1996. – LexisNexis를 통해(가입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