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릴 숫자
Cyrillic numerals숫자 시스템 |
---|
힌두-아랍어 수 체계 |
동아시아인 |
미국인의 |
알파벳 |
이전 |
베이스별 위치 시스템 |
비표준 위치수 시스템 |
숫자 체계 목록 |
키릴 숫자는 10세기 후반 제1 불가리아 제국에서 개발된 키릴 문자에서 파생된 숫자 체계다. 제1차 불가리아 제국과 남부와 동슬라브 민족에 의해 사용되었다.[1] 이 시스템은 18세기 초 러시아에서 사용되었는데, 이때 베드로 대왕이 그의 시민본 개혁 계획의 일환으로 힌두 숫자로 대체하였다.[2][3] 1696년 이후에 발행된 은선 코펙과 1700년에서 1722년 사이에 발행된 동전에 키릴 숫자를 사용하여 날짜가 새겨진 기계적으로 채굴된 동전이 키릴 숫자를 사용하여 베드로 대왕의 화폐개혁 계획에도 키릴 숫자가 작용했다.[4] 1725년까지 러시아 제국 동전은 힌두 숫자로 바뀌었다.[5] 키릴 숫자는 여전히 교회 슬라브어로 쓰여진 책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6]
일반 설명
이 시스템은 준십진수 알파벳 체계로 이오니아 숫자 체계와 동등하지만 키릴 문자 대본의 해당 그래프로 작성된다. 이 순서는 표준 키릴 문자순서가 아닌 원래 그리스 문자에 기초한다.[7]
각 단위(1, 2, ... 9), 10의 각 배수(10, 20, ... 90), 100의 각 배수(100, 200, ... 900)에 별도의 문자가 할당된다. 텍스트와 숫자를 구분하려면 titlo(티틀로) ҃)를 숫자에 그려 넣거나 점으로 따로 떼어 놓기도 한다.[8] 숫자는 일반적으로 슬라보닉에서 [9]고부가가치 위치에서 저부가가치 위치까지 발음하는 것과 같이 표기되어 있는데, 단위는 11부터 19까지로 예외로 하며, 예를 들어 зі(17)은 "смааааа""" (문학적으로 7대 10, cf. 영어 7대 10)이다.[2]
예:
키릴 숫자를 평가하기 위해 모든 수치의 값을 합산한다. 예를 들어 ѱз은 700 + 7이고 707이다. 만약 숫자가 999보다 크면, 수천 개의 부호(҂ ()를 사용하여 숫자의 값을 곱한다. 예를 들어, ҂ѕ는 6000이고, ҂л҂는 3만 + 2000으로 구문 분석하여 32,000을 만든다. 더 큰 숫자를 생성하기 위해, 수정 기호는 곱하는 숫자를 둘러싸는 데 사용된다.[10] 그러한 경우(긴 저울과 짧은 저울과 유사하게)에 두 개의 저울이 존재했으며, 하나는 새로운 이름과 서명(май сч сч; Large count)이며, 다른 하나는 끝을 제외한 각 스퀴링(веи ичи счс; Great Count)이었다(49번째 전력에서 10까지 확장).[11][12]
값표
|
|
|
키릴 수정 기호 | ||||
이름(영어)[11] | 작은 카운트 승수 | 더 큰 카운트 승수 | 서명 | 예 |
---|---|---|---|---|
тсччча ( ((천문) | 1,000 | 1,000 | ҂ | |
쳉바 (미리아드) | 10,000 | 1,000,000 | ⃝ | |
еео(레비온) | 100,000 | 1012 | ҈ | |
ееор (군단) | 1,000,000 | 1024 | ҉ | |
вран ( (рра) (Raven/Crow) | 10,000,000 | 1048 | ꙰ | |
к코바(Trough/Log) | 100,000,000 | 1049 | ꙱ | |
쳉바 аmany(Many Meryad) | 1,000,000,000 | 십중팔구50 | ꙲ |
컴퓨터 코드
캐릭터 | ◌҃ | ◌︮ | ◌︦ | ◌︯ | ҂ | |||||
유니코드명 | 결합 키릴 티틀로 | 키릴식 티틀로 왼쪽 반쪽 결합 | 결합 마크롱 | 키릴식 티틀로 오른쪽 반쪽 결합 | 키릴릭 수천 개의 기호 | |||||
문자 부호화 | 십진법의 | 육각의 | 십진법의 | 육각의 | 십진법의 | 육각의 | 십진법의 | 육각의 | 십진법의 | 육각의 |
유니코드 | 1155 | 0483 | 65070 | FE2E | 65062 | FE26 | 65071 | FE2F | 1154 | 0482 |
UTF-8 | 210 131 | D2 83 | 239 184 174 | EF B8 AE | 239 184 166 | EF B8 A6 | 239 184 175 | EF B8 AF | 210 130 | D2 82 |
숫자 문자 참조 | ҃ | ҃ | ︮ | ︮ | ︦ | ︦ | ︯ | ︯ | ҂ | ҂ |
캐릭터 | ⃝ | ҈ | ҉ | ꙰ | ꙱ | ꙲ | ||||||
유니코드명 | 결합 엔클로징 서클 (키릴 혼용) 만 표지판) | 결합 키릴 백 수천 개의 기호 | 결합 키릴릭 MILLIGN | 결합 키릴식 텐 MILLIGN | 결합 키릴 백 MILLIGN | 결합 키릴 천 MILLIGN | ||||||
문자 부호화 | 십진법의 | 육각의 | 십진법의 | 육각의 | 십진법의 | 육각의 | 십진법의 | 육각의 | 십진법의 | 육각의 | 십진법의 | 육각의 |
유니코드 | 8413 | 20DD | 1160 | 0488 | 1161 | 0489 | 42608 | A670 | 42609 | A671년 | 42610 | A672년 |
UTF-8 | 226 131 157 | E2 83 9D | 210 136 | D2 88 | 210 137 | D2 89 | 234 153 176 | EA 99 B0 | 234 153 177 | EA 99 B1 | 234 153 178 | EA 99 B2 |
숫자 문자 참조 | ⃝ | DD; | ҈ | ҈ | ҉ | ҉ | ꙰ | ꙰ | ꙱ | ꙱ | ꙲ | ꙲ |
참고 항목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슬라보닉 숫자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참조
- ^ Dejić, Mirko (2013). "How the old Slavs (Serbs) wrote numbers". BSHM Bulletin: Journal of the British Society for the History of Mathematics. 29 (1): 2–17. doi:10.1080/17498430.2013.805559. ISSN 1749-8430. S2CID 121899464.
- ^ a b Chrisomalis, Stephen (2010). Numerical Notation: A Comparative History.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80–182. ISBN 978-1-139-48533-3. Retrieved 2016-12-28.
- ^ Yefimov, Vladimir (2002), "Civil Type and Kis Cyrillic", in Berry, John D. (ed.), Language Culture Type: International Type Design in the Age of Unicode, New York City: Graphis Press, pp. 369–147, ISBN 978-1932026016, retrieved 2017-01-02
- ^ Teplyakov, Sergei (2011). "How To Identify & Interpret Cyrillic Dates on Russian Coins of Peter I The Great". Metal Detecting World. Retrieved 2016-12-30.
- ^ Lorković, Tatjana (2003). "Coins and Medals of Imperial Russia". Yale University Library. Retrieved 2016-12-30.
- ^ Looijen, Maarten (2015). Over Getallen Gesproken/Talking About Numbers (in Dutch and English) (2nd ed.). Zaltbommel, Netherlands: Van Haren Publishing. pp. 59–60. ISBN 978-94-018-0601-5.
- ^ Ager, Simon. "Omniglot: Cyrillic Script". Retrieved 2016-12-29.
- ^ Gesang, Philipp (2013), Typesetting Cyrillic Numerals with ConTEXt MkIV (PDF), p. 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6-12-30, retrieved 2016-12-29
- ^ Lunt, Horace Gray (2001). Old Church Slavonic Grammar (7th ed.). Berlin, Germany: Walter de Gruyter. pp. 16–18. ISBN 978-3-11-016284-4.
- ^ Gamanovich, Alypy (2001). Shaw, John (ed.). Grammar of the Church Slavonic Language. Jordanville, New York: Holy Trinity Monastery. ISBN 978-0884650645. Retrieved 2016-12-28.
- ^ a b Козловский, Станислав (2007-02-25). "У больших чисел громкие имена" [Big Names of Large Numbers]. Вокруг Света (in Russian). Moscow. Retrieved 2017-01-02.
- ^ A. Kent; H. Lancour; J.E. Daily; W.Z. Nasri, eds. (1979). "Slavic Paleography". Encyclopedi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7. New York, NY: Marcel Dekker Inc. p. 510–520. ISBN 978-0-8247-2027-8. Retrieved 26 March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