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토셀레
Cystocele시스토셀레 | |
---|---|
기타 이름 | 탈구 방광, 투하 방광,[1] 전방 질벽 붕괴[2] |
![]() | |
73세 여성에게서 질 사이로 튀어나온 시스토셀. | |
발음 | |
전문 | 비뇨기과, 산부인과[3] |
증상 | 배뇨 시작 문제, 불완전한 배뇨, 요실금, 잦은 배뇨[1] |
합병증 | 소변보존[1] |
종류들 | 1, 2, 3학년[1] |
위험요소 | 출산, 변비, 만성 기침, 무거운 리프팅, 과체중[1] |
진단법 | 증상과 진찰에[1] 근거하여 |
차등진단 | 바톨린 낭종, 나보티안 낭종, 요도[4] 게실류 |
치료 | 라이프스타일 변화, 골반근육 운동, 질 페사리, 수술[1] |
빈도 | ~33[5]%의 여성 > 50세 |
탈구된 방광이라고도 알려진 시스토셀은 여성의 방광이 질로 불룩하게 나오는 의학적 질환이다.[1][5] 어떤 사람들은 아무런 증상이 없을 수도 있다.[6] 다른 사람들은 배뇨, 요실금, 또는 빈번한 배뇨를 시작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1] 합병증은 재발하는 요로 감염과 요로 유지가 포함될 수 있다.[1][7] 시스토셀과 탈구 요도가 함께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낭포레스로셀라.[8] 시스토셀은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9][10]
원인은 출산, 변비, 만성 기침, 무거운 리프팅, 자궁 절제술, 유전학, 과체중 등이다.[1][2][6] 근본적인 메커니즘은 방광과 질 사이의 근육과 결합 조직의 약화를 포함한다.[1] 진단은 흔히 증상과 진찰에 근거한다.[1]
만약 시스토셀이 거의 증상을 일으키지 않는다면, 무거운 리프팅이나 스트레칭을 피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1] 질 페사리, 골반 근육 운동 또는 수술이 더 중요한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에게 권장될 수 있다.[1]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수술의 종류는 집단 수술이라고 알려져 있다.[11] 나이가 들면서 병세가 더욱 일반화된다.[1] 50세 이상 여성의 약 3분의 1이 어느 정도 영향을 받는다.[5]
징후 및 증상
시스토셀의 증상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질덩어리
- 질에서 뭔가가 떨어지고 있다는 느낌
- 골반 무거움이나 충만감[1][12]
- 소변 시작의 어려움
- 배뇨가 불완전한 느낌
- 빈번하거나 긴급한 배뇨[12][1].
- 요실금[13]
- 잦은 요로감염[7][12]
- 허리와 골반 통증
- 피로를 느끼다
- 고통스러운 성교[12]
- 피를[14] 흘리는
정상적인 위치에서 질 속으로 떨어진 방광은 어떤 형태의 요실금이나 불완전한 방광 비우기를 유발할 수 있다.[1]
합병증
합병증은 요로 유지, 반복적인 요로감염, 요실금 등을 포함할 수 있다.[1][7] 앞쪽 질벽은 실제로 질 내성(개방)을 통해 돌출될 수 있다. 이것은 성행위를 방해할 수 있다.[6] 재발하는 요로감염은 요로보존증이 있는 사람에게 흔하다.[15] 또한 시스토셀은 치료할 수 있지만, 일부 치료는 골치 아픈 증상을 완화시키지 못할 수 있으며, 추가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 시스토셀은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시스토셀을 가진 여성들은 집을 떠나는 것을 피하고 사회적 상황을 피하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요실금은 여성들을 요양원이나 장기요양시설에 수용될 위험에 빠뜨린다.[medical citation needed]
원인
시스토셀은 여성의 방광과 질 사이의 근육, 근막, 힘줄, 결합조직이 약해지거나 분리될 때 발생한다.[2][16] 발달할 수 있는 시스토셀의 종류는 질벽 부착 실패(중간선 결함, 파라바질 결함, 횡방향 결함)가 하나, 둘 또는 세 가지에 기인할 수 있다. 중간선 결함은 질벽의 과다 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시스토셀이며, 파라바질 결함은 아쿠스 힘줄두스 페시아 골반에서 질 결합조직이 분리되는 것이고, 횡방향 결함은 음부의 상단(정점)에서 분리되는 것이다.[2] 출산한 여성의 40~60%에 골반탈출증이 있다.[17][18] 근육 부상은 시스토셀을 가진 여성에게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부상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출산을 한 여성에게 더 많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근육 부상은 앞쪽 질벽에 대한 지지도가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19]
결합조직장애를 가진 일부 여성들은 앞쪽 질벽 붕괴를 일으키기 쉽다. 마판증후군을 앓고 있는 여성의 3분의 1까지 질벽이 무너진 이력이 있다. 여성의 에를러-댄로스 증후군은 4명 중 3명꼴로 발병한다.[6]
위험요소
시스토셀을 개발하기 위한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다.
결합 조직 장애는 여성들로 하여금 시스토셀과 다른 골반 장기 탈출을 일으키게 한다. 질벽의 조직 인장 강도는 콜라겐 섬유의 구조가 변하여 약해지면 감소한다.[6]
진단
시스토셀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첫째는 팽창이다. 이는 질벽이 지나치게 움푹 들어간 탓으로 생각되며, 노화, 폐경, 질 분만과 가장 많이 관련된다. 그것은 루가 덜 보이거나 심지어 없을 때 관찰될 수 있다. 두 번째 유형은 변위다. 변위는 지지 조직의 분리 또는 비정상적인 신장이다.[25]
시스토셀의 초기 평가에는 여성이 기침을 참거나 강하게 할 때(발살바 기동) 소변 누출을 평가하는 골반검사와 시스토셀의 외관을 측정해 평가하는 전 질벽이 포함될 수 있다.[26][27] 여성이 방광을 비우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 임상의는 여성의 방광에 남아 있는 소변량을 포스트보이드 잔해라고 부르는 소변 후 측정해 볼 수도 있다. 이것은 초음파로 측정된다. 배뇨성 낭창은 배뇨 중 방광의 X선을 찍는 시험이다. 이 엑스레이는 방광의 모양을 보여주고 의사에게 소변의 정상적인 흐름을 방해할 수 있는 문제를 보게 해준다.[1] 소변 배양 및 민감도 검사는 소변 보존과 관련이 있을 수 있는 요로 감염의 유무를 평가한다.[12] 비뇨기계의 다른 부분에서 문제를 발견하거나 배제하기 위해 다른 테스트가 필요할 수 있다.[1] 스케네샘과 바톨린샘에 염증이 있을 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차등진단이 개선될 것이다.[28]
채점
시스토셀의 심각도를 평가하기 위해 많은 척도가 존재한다.[citation needed]
1996년에 개발된 골반기관 탈모 정량화(POP-Q) 평가는 질로 들어가는 시스토셀의 하강을 정량화한다.[6][13] POP-Q는 전측, 후측 및 비정형 질벽의 지지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설명을 제공한다. 기준점인 하이에멘에 대해 객관적이고 정밀한 측정을 사용한다. 다른 원인에 의한 질낭의 시스토셀과 탈출은 POP-Q 스테이지 0 또는 I로 보고된 양호한 지지(질 내하강 없음)부터 하메인 이상의 탈출이 포함된 IV의 POP-Q 점수까지 다양할 수 있다. 질강으로의 다른 구조물의 움직임과 그 하강도 계량화하는데 사용되었다.[6][13]
그 Baden–Walker 반쯤 가서 채점 시스템 두번째 가장 많이 사용되고 시스템을 가능한 방광은 질 안에 아주 가깝droops 가벼운(1학년)로 분류 할당합니다;(2학년)cystocele, 방광을 충분히 질의 개막에 도달하기 위해;그리고(3학년) 때 방광은 질을 통해 올라와 있싱크 사용된다.[1][29]
분류
시스토셀은 더 나아가 비정형, 정중형, 측면 또는 중측형으로 묘사될 수 있다.[citation needed]
무형의 시스토셀은 질 위쪽 3분의 1에 위치한다. 관련된 구조물은 내측골격근과 인대들이다. 추기경 인대와 자궁경부 인대는 상부의 질돔을 매달고 있다. 질 이 부위의 시스토셀은 추기경 인대 결손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16][25]
정중시토셀은 바기나 중간에서 형성되며 자궁근육 인대와 치골근의 시상정지의 결함에 의해 제공된 정지의 결함과 관련이 있다. 관상동맥박사는 시스토셀을 얇게 하거나 찢어지게 할 수 있다. 진단에 도움이 되는 것은 질 상피에 '흔들린' 점이 생기는 것이다. 이 결함은 MRI로 평가할 수 있다.[16][25]
측면 시스토셀은 펠비페리날 근육과 인대-기초 둘 다 결점이 생길 때 형성된다. 인대-기초는 질부의 측면에 대한 '햄록 같은' 현수막과 지지대를 형성한다. 이 측면 지지 시스템의 결함은 방광 지지대의 부족을 초래한다. 횡방향으로 발달하는 시스토셀은 필수 인대 구조인 전측 질벽과 아르쿠스 힘줄근 골반 사이의 해부학적 불균형과 관련이 있다.[16][25]
예방
시스토셀은 여성에게 골치 아픈 증상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순한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금연
- 체중감량
- 골반 바닥 강화
- 만성 기침의 치료
- 건강한 배변 습관 유지
-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먹는 것
- 변비 피와 긴장감[22][6]
치료
치료 옵션은 가벼운 시스토셀에 대한 치료 없이 보다 광범위한 시스토셀에 대한 수술까지 다양하다.[1] 만약 시스토셀이 귀찮지 않다면, 임상의는 시스토셀을 악화시킬 수 있는 무거운 리프팅이나 스트레이팅을 피하라고 권고할 수 있다. 만약 증상이 적당히 성가신 경우, 의사는 질에 놓인 페사리를 방광을 제자리에 고정시키고 돌출부를 차단할 것을 권고할 수 있다.[12][23] 치료는 비수술적 관리와 외과적 관리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치료 선택은 또한 나이, 아이를 가지려는 욕망, 장애의 심각성, 성교를 계속하려는 욕망, 그리고 여성이 가질 수 있는 다른 질병들과도 관련이 있다.[6]
비수술적
시스토셀은 종종 비수술적 방법으로 치료된다.
- 페사리 – 이것은 앞쪽 질 벽을 지탱하기 위해 질에 삽입된 탈착식 장치다. 페사리는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나온다. 페사리의 사용으로 가끔 합병증이 생긴다.[6]
- 골반 바닥 근육 치료 – 질 지지력을 강화하기 위한 골반 바닥 운동이 유익할 수 있다. 골반 바닥근육 강화에 도움이 되는 전문적인 물리치료가 처방될 수 있다.[1][12]
- 식습관 변화 – 고섬유 식품을 섭취하면 배변 증진에 도움이 될 것이다.[1]
- 에스트로겐 – 골반 근육 위축을[12] 예방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경내 투여
수술
앞쪽 질벽을 수리하는 수술은 앞쪽-뒤쪽 수술과 앞쪽 골반 장기 지지대의 다른 지점을 수리하는 다른 절차와 결합될 수 있다.[12] 시스토셀의 치료는 종종 더 침습적인 자궁 절제술을 동반한다.[30] 시스토셀 수리의 고장률이 여전히 높기 때문에 추가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13] 시스토셀을 고치는 수술을 받은 여성은 향후 10년 이내에 17%의 수술을 받아야 한다.[31]
시스토셀의 외과적 치료는 결함의 원인과 앞쪽 질벽의 상단(정점), 중간 또는 하부에서 발생하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수술의 종류도 지지 구조와 질벽 사이에 존재하는 손상 유형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2] 가장 흔한 외과적 수리 중 하나는 집단 수술이다.[30] 이 수술 절차는 질 조직을 세로 방향으로 접어서 제자리에 봉합하고 침입하는 방광벽에 더 강한 저항점을 만드는 것으로 구성된다. 외과용 망사는 때때로 앞쪽 질 벽을 강화하는데 사용된다.[6] 고장률이 10~50%이다.[32][30] 어떤 경우에는 외과의사가 수리를 강화하기 위해 수술용 망사를 사용할 수 있다.[30]
수술 중 질벽의 수리는 질과 방광 사이의 기존 조직을 접었다가 봉합해 강화시키는 것으로 이뤄진다.[1][11] 이것은 조직의 층을 조여 골반 장기를 정상 위치로 교체하도록 촉진한다. 이 수술은 또한 방광에 더 많은 도움을 준다. 이 수술은 산부인과 전문 외과의가 하고 병원에서 한다. 마취는 여성 개개인의 필요에 따라 다르다. 회복에는 4주에서 6주가 걸릴 수 있다.[1] 시스토셀을 치료하기 위해 다른 외과적 치료가 수행될 수 있다. 질벽에 대한 지원은 파라바지날 결함 수리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것은 대개 복부를 통해 인대와 페시아에 행해지는, 복강경 수술이다. 측면 인대 및 지지 구조는 질벽에 추가 지지대를 제공하기 위해 수리되며, 때로는 짧아진다.[30]
사크로콜포섹시술은 질 금고를 안정화시키는 시술로 특히 이전 수술이 성공하지 못한 경우 시스토셀 치료제로 선택되는 경우가 많다. 그 절차는 천골에 질 금고를 부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성공률이 90%[30]에 이른다. 어떤 여성들은 음부를 닫기 위해 수술을 받지 않기로 선택한다. 콜포클레아시스라고 불리는 이 수술은 질 입구를 닫아 시스토셀을 치료한다. 이것은 더 이상 질 성교를 원하지 않는 여성들에게 선택사항이 될 수 있다.[22]
직장/직장/직장의 탈구 또는 장골도 또한 있는 경우, 수술적 치료는 수리를 계획하고 수행하는 동안 이 동시 조건을 고려한다.[2] 수술 수리에 앞서 질적으로 투여되는 에스트로겐은 질 조직을 강화시켜 그물망이나 봉합을 수리에 사용할 때 더욱 성공적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질 두께는 에스트로겐 치료 후 증가한다.[31] 시스토셀의 외과적 관리에 대한 또 다른 리뷰는 인대와 페시아를 질에 더 강하게 부착하여 들어올리고 안정시키는 보다 성공적인 치료를 묘사하고 있다.[33]
수술 후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시스토셀의 수술적 치료에 따른 합병증은 다음과 같다.
수술 후 여성은 활동을 제한하고 기온 상승, 악취 배출, 지속적인 통증 등 감염 징후가 있는지 모니터링하라는 지시를 받는다. 임상의사들은 재채기, 기침, 변비를 피하라고 권고할 수 있다. 기침 중에 복부에 부목을 대는 것은 절개 부위를 지탱해 주고 기침의 고통을 줄여준다.[12] 이것은 기침을 하는 동안 교정하기 위해 수술 부위에 완만한 압력을 가함으로써 이루어진다.[34][35]
골반 장기에 대한 재발 수술은 시스토셀을 교정하는 수술이 실패했기 때문이 아닐 수도 있다. 후속 수술은 1차 수술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될 수 있다.[13] 탈모는 질 내 다른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다. 초기 보수 후 추가 수술은 망사 변위, 통증 또는 출혈의 합병증을 치료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요실금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추가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13]
외과적 치료의 한 가지 목표는 질과 다른 골반 장기를 해부학적으로 정상적인 위치로 복원하는 것이다. 이것은 증상 완화와 삶의 질 향상만을 원하는 치료를 받는 여성에게 가장 중요한 결과가 아닐 수도 있다. 국제우울증학회(IUA)는 시스토셀과 골반 장기 수리의 성공 여부와 관련해 수집된 자료에는 증상의 유무, 만족도, 삶의 질 등이 포함돼야 한다고 권고했다. 성공적인 결과를 위한 다른 측정에는 수술 시간과 병원 체류와 같은 수술 데이터가 포함되어야 한다. 표준화된 건강관리 삶의 질은 시스토셀의 성공적인 해결의 척도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장단기 합병증에 관한 데이터는 각 절차의 위험 대비 편익 비율을 더 잘 평가하기 위해 IUA의 권고사항에 포함된다.[13] 생물학적 이식술 대 토종 조직 또는 수술용 망사 사용의 우월성에 대한 최근의 조사는 이식술을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결과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준다.[36]
역학
한 대규모 연구는 여성의 일생 동안 29%의 비율을 발견했다. 다른 연구에서는 재발률이 3%[1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서는 매년 20만 건 이상의 골반 장기탈출 수술이 시행되고 있으며 이 중 81%가 시스토셀을 교정하기 위한 것이다.[14][11] 시스토셀은 다른 골반 장기와 구조의 탈수에 비해 가장 자주 발생한다.[13][14] 시스토셀은 질 금고의 3배, 후부 질벽 결함의 2배 정도로 흔하다. 시스토셀 발생률은 여성 100명당 9명 정도다. 증상의 가장 높은 발생률은 70세에서 79세 사이에 발생한다. 인구증가 통계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2050년까지 여성 탈모 환자가 최소 46% 증가할 것이다. 자궁절제술 후 탈출을 교정하기 위한 수술은 1,000명의 여성년당 3.6명이다.[13]
역사
주목할 만한 것은 많은 오래된 문화와 지역에서 시스토셀에 대한 언급이다.[37] 기원전 1500년에 이집트인들은 "태아가 떨어지는 것"에 대해 썼다. 기원전 400년에 한 그리스 의사는 그의 관찰과 치료법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환자가 사다리와 같은 액자에 묶인 후, 그녀는 위로 기울어져서 머리가 액자 밑바닥을 향하게 되었다. 그런 다음 프레임을 약 3~5분 동안 위아래로 다소 빠르게 움직였다. 환자가 반전된 자세를 취했기 때문에 성기의 탈장기가 중력의 힘과 흔들림 동작에 의해 정상 위치로 되돌아갈 것으로 생각되었다."[37]
히포크라테스는 탈락의 원인에 대해 자신만의 이론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최근의 출산과 젖은 발, '성적인 과잉'과 노력, 피로 등이 이 질환에 한몫 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히포크라테스의 사위인 폴리부스는 "탈출된 자궁은 국부적인 아스트링겐트 로션이나 질에 채워진 천연 스펀지를 사용하거나 질에 석류 반을 넣어 치료했다"고 썼다. 서기 350년, 소라누스라는 또 다른 시술자는 석류를 삽입하기 전에 식초에 담가야 한다는 그의 치료법을 설명했다. 여성이 침대에 누워 휴식을 취하고 액체와 음식 섭취를 줄인다면 성공은 더욱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그래도 치료가 성공하지 못했다면 여자의 다리는 사흘 동안 묶여 있었다.[37]
1521년 베렝가리오 다 카르피는 탈출을 위한 첫 번째 외과적 치료를 수행했다. 이것은 탈모에 밧줄을 묶고, 더 이상 생존할 수 없을 때까지 이틀 동안 조이고 끊어버리는 것이었다. 그 다음에 그 그루터기에 포도주, 알로에, 꿀이 발라졌다.[37]
1700년대에 스위스의 산부인과 의사인 페이어가 시스토셀에 대한 설명을 발표했다. 그는 시스토셀과 자궁탈출증 모두를 묘사하고 기록할 수 있었다. 1730년 할더는 시스토셀을 출산과 연관시켰다. 이 시기 동안, 오늘날에도 여전히 친숙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다. 1800년대에 마취, 봉합, 봉합 재료의 외과적 진보와 조셉 리스터의 항진산 이론의 수용은 시스토셀을 가진 여성들의 결과를 향상시켰다. 최초의 수술 기법은 여성 시체들을 대상으로 행해졌다. 1823년 제라딘은 절개와 절제가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1830년, 디펜바흐가 살아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음부를 처음으로 해부했다. 1834년 멘데는 조직의 가장자리를 해부하고 수리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1859년, Huguier는 자궁경부를 절단하는 것이 긴장의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제안했다.[37]
1866년에는 현재의 절차와 유사한 시스토셀을 교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후 심씨는 질벽의 전두께 절개를 필요로 하지 않는 또 다른 절차를 개발했다. 1888년, 전방의 질벽을 치료하는 또 다른 방법은 맨체스터가 전방의 질벽 수리와 자궁경부를 절단하고 복막절제술을 결합한 것이다. 1909년에 화이트는 시스토셀 수리의 재발률이 높다고 언급했다. 이때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질부를 다시 부착하는 것이 더 성공적이고 재발을 적게 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 같은 제안은 1976년에 다시 제안되었지만 추가 연구에서는 재발률이 더 낫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37]
1888년 복부에 다시 붙이기 위해 복부에 들어가는 치료법이 시도되었다. 일부는 이에 동의하지 않았고 수로를 통한 접근법을 제안했다. 1898년에는 더 많은 복부 접근법이 제안되었다. 앞쪽 질벽과 쿠퍼의 인대를 다시 붙이기 시작한 1961년까지는 더 이상의 진전은 주목되지 않았다. 불행히도 일부 환자에게는 앞쪽 수리에 성공했음에도 뒷쪽 질벽탈출증이 발생했다.[37]
1955년에 골반 구조를 지지하기 위해 망사를 사용하게 되었다. 1970년, 돼지로부터 얻은 조직은 수술에서 앞쪽 질 벽을 강화시키기 위해 사용되기 시작했다. 1976년부터는 방광의 탈출을 치료하는 데 이용되는 음부의 외과적 제거와 함께 봉합의 개선이 시작되었다. 1991년, 일부 골반 구조의 존재와 다른 골반 구조의 비존재에 관하여 골반 지지 구조의 상세한 구조에 관한 가정이 의심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줄기세포를 이용한 로봇 보조 복강경 수술도 사이스토셀 치료에 활용되고 있다.[37]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Cystocele (Prolapsed Bladder)". 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March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October 2017. Retrieved 25 October 2017.
- ^ a b c d e f Baggish, Michael S.; Karram, Mickey M. (2016). Atlas of pelvic anatomy and gynecologic surgery (4th ed.). Philadelphia, PA: Elsevier. pp. 599–646. ISBN 9780323225526. OCLC 929893382.
- ^ Liedl, Bernhard; Inoue, Hiromi; Sekiguchi, Yuki; Gold, Darren; Wagenlehner, Florian; Haverfield, Max; Petros, Peter (February 2017). "Update of the Integral Theory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Pelvic Floor Dysfunction in Females". European Urology Supplements. 17 (3): 100–108. doi:10.1016/j.eursup.2017.01.001.
- ^ Federle, Michael P.; Tublin, Mitchell E.; Raman, Siva P. (2016). ExpertDDx: Abdomen and Pelvis E-Book. Elsevier Health Sciences. p. 626. ISBN 978032344312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10-25.
- ^ a b c Firoozi, Farzeen (2014). Female Pelvic Surgery. Springer. p. 73. ISBN 978149391504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10-25.
- ^ a b c d e f g h i j k l m Williams, J. Whitridge (2012). Hoffman, Barbara L. (ed.). Williams gynecology (2nd ed.). New York: McGraw-Hill Medical. pp. 647–653. ISBN 9780071716727. OCLC 779244257.
- ^ a b c d Hamid, Rizwan; Losco, Giovanni (2014-09-01). "Pelvic Organ Prolapse-Associated Cystitis". Current Bladder Dysfunction Reports. 9 (3): 175–180. doi:10.1007/s11884-014-0249-4. ISSN 1931-7212. PMC 4137160. PMID 25170365.
- ^ "Cystoceles, Urethroceles, Enteroceles, and Rectoceles – Gynecology and Obstetrics – Merck Manuals Professional Edition". Merck Manuals Professional Edition. February 2017. Retrieved 2017-12-18.
- ^ "Cystocele (Fallen Bladder)". www.clevelandclinic.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12-29. Retrieved 2017-12-28.
- ^ Deng, Donna Y.; Rutman, Matthew; Rodriguez, Larissa; Raz, Shlomo (2005-09-01). "Correction of cystocele". BJU International. 96 (4): 691–709. doi:10.1111/j.1464-410x.2005.05760.x. ISSN 1464-410X. PMID 16104940. S2CID 32430707.
- ^ a b c Halpern-Elenskaia, Ksenia; Umek, Wolfgang; Bodner-Adler, Barbara; Hanzal, Engelbert (2017-12-06). "Anterior colporrhaphy: a standard operation? Systematic review of the technical aspects of a common procedure i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ternational Urogynecology Journal. 29 (6): 781–788. doi:10.1007/s00192-017-3510-5. ISSN 0937-3462. PMC 5948274. PMID 29214325.
- ^ a b c d e f g h i j k l Henry, Norma Jean E (2016). RN adult medical surgical nursing review module (10th ed.). Sitwell, KS: Assessment Technologies Institute. pp. 417–419. ISBN 9781565335653. OCLC 957778184.
- ^ a b c d e f g h i j Barber, Matthew D.; Maher, Christopher (2013-11-01). "Epidemiology and outcome assessment of pelvic organ prolapse". International Urogynecology Journal. 24 (11): 1783–1790. doi:10.1007/s00192-013-2169-9. ISSN 0937-3462. PMID 24142054. S2CID 9305151.
- ^ a b c "Cystocele Repair: Overview, Technique, Periprocedural Care". 2017-06-2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1-05. Retrieved 2018-01-05.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 - ^ a b Services, Department of Health & Human (April 2017). "Bladder prolapse". Victoria State Governm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5-07. Retrieved 2017-12-17.
- ^ a b c d Lamblin, Géry; Delorme, Emmanuel; Cosson, Michel; Rubod, Chrystèle (2016-09-01). "Cystocele and functional anatomy of the pelvic floor: review and update of the various theories". International Urogynecology Journal. 27 (9): 1297–1305. doi:10.1007/s00192-015-2832-4. ISSN 0937-3462. PMID 26337427. S2CID 20854954.
- ^ Robinson, Dudley; Thiagamoorthy, Gans; Cardozo, Linda (January 2018). "Review: Post-hysterectomy vaginal vault prolapse". Maturitas. 107: 39–43. doi:10.1016/j.maturitas.2017.07.011. PMID 29169578.
- ^ "Genital prolapse fact sheet Women's Health Queensland Wide". womhealth.org.au. April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12-22. Retrieved 2017-12-17.
- ^ Hoyte, Lennox P. John; Damaser, Margot (2016). Biomechanics of the female pelvic floor. London, UK: Elsevier Science. pp. 25–42. ISBN 9780128032282. OCLC 942975504.
- ^ Lince SL, van Kempen LC, Vierhout ME, Kluivers KB (October 2012). "A systematic review of clinical studies on hereditary factors in pelvic organ prolapse". Int Urogynecol J. 23 (10): 1327–36. doi:10.1007/s00192-012-1704-4. PMC 3448053. PMID 22422218.
- ^ Friedman T, Eslick GD, Dietz HP (January 2018). "Risk factors for prolapse recurrenc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 Urogynecol J. 29 (1): 13–21. doi:10.1007/s00192-017-3475-4. PMID 28921033. S2CID 195227569.
- ^ a b c "Pelvic organ prolapse womenshealth.gov". womenshealth.gov. November 28,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7, 2019. Retrieved 2017-12-17.
이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 ^ a b "Cystocele". The Mayo Clinic. Retrieved 20 December 2017.
- ^ Ramaseshan, Aparna S.; Felton, Jessica; Roque, Dana; Rao, Gautam; Shipper, Andrea G.; Sanses, Tatiana V. D. (2017-09-19). "Pelvic floor disorders in women with gynecologic malignancies: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Urogynecology Journal. 29 (4): 459–476. doi:10.1007/s00192-017-3467-4. ISSN 0937-3462. PMC 7329191. PMID 28929201.
- ^ a b c d Walters, Mark D; Karram, Mickey M (2014). Urogynecology and Reconstructive Pelvic Surgery. Saunders. pp. 326–341. ISBN 978-0323113779.
- ^ Zilinskas, Gwendolyn Brooke (January 2018). "Female Urinary Incontinence". Physician Assistant Clinics. 3 (1): 69–82. doi:10.1016/j.cpha.2017.08.010.
- ^ "Anterior Colporrhaphy GLOWM". www.glowm.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12-28. Retrieved 2017-12-27.
- ^ "Cystoceles, Urethroceles, Enteroceles, and Rectoceles - Gynecology and Obstetrics - Merck Manuals Professional Edition". Merck Manuals Professional Edition. Retrieved 2018-02-06.
- ^ Persu, C; Chapple, CR; Cauni, V; Gutue, S; Geavlete, P (2011-02-15). "Pelvic Organ Prolapse Quantification System (POP–Q) – a new era in pelvic prolapse staging".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4 (1): 75–81. ISSN 1844-122X. PMC 3056425. PMID 21505577.
- ^ a b c d e f g Williams, J. Whitridge (2012). Hoffman, Barbara L. (ed.). Williams gynecology (2nd ed.). New York: McGraw-Hill Medical. pp. 1214–1225. ISBN 9780071716727. OCLC 779244257.
- ^ a b Rahn, David D.; Ward, Renée M.; Sanses, Tatiana V.; Carberry, Cassandra; Mamik, Mamta M.; Meriwether, Kate V.; Olivera, Cedric K.; Abed, Husam; Balk, Ethan M. (2015-01-01). "Vaginal estrogen use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pelvic floor disorders: systematic review and practice guidelines". International Urogynecology Journal. 26 (1): 3–13. doi:10.1007/s00192-014-2554-z. ISSN 0937-3462. PMID 25392183. S2CID 36574083.
- ^ a b "Colporrhaphy Treatment for Prolapse CU Urogynecology Denver". University of Colorado Urogynecolog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12-23. Retrieved 2017-12-23.
- ^ Liedl, Bernhard; Inoue, Hiromi; Sekiguchi, Yuki; Gold, Darren; Wagenlehner, Florian; Haverfield, Max; Petros, Peter (2018). "Update of the Integral Theory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Pelvic Floor Dysfunction in Females". European Urology Supplements. 17 (3): 100–108. doi:10.1016/j.eursup.2017.01.001.
- ^ "Craven & Hirnle's Nursing Procedures and Fundamentals Online". Wolters-Kluver. Retrieved 2018-01-05.
- ^ Malone, Daniel Joseph; Lindsay, Kathy Lee Bishop (2006). Physical Therapy in Acute Care: A Clinician's Guide. SLACK Incorporated. ISBN 9781556425349.
- ^ Maher, Christopher; Feiner, Benjamin; Baessler, Kaven; Christmann-Schmid, Corina; Haya, Nir; Brown, Julie (2016-11-30). "Surgery for women with anterior compartment prolaps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7 (11): CD004014. doi:10.1002/14651858.cd004014.pub6. PMC 6464975. PMID 27901278.
- ^ a b c d e f g h Lensen, E. J. M.; Withagen, M. I. J.; Kluivers, K. B.; Milani, A. L.; Vierhout, M. E. (2013-10-01). "Surgical treatment of pelvic organ prolapse: a historical review with emphasis on the anterior compartment". International Urogynecology Journal. 24 (10): 1593–1602. doi:10.1007/s00192-013-2074-2. ISSN 0937-3462. PMID 23494056. S2CID 11650722.
추가 읽기
- 기침을 하는 동안 부목을 사용하여 통증을 줄이고 크레이븐의 간호 기본 원리: Human Health and Function, 6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