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제임스 오도노후
David James O'Donoghue데이비드 제임스 오도노후 | |
---|---|
![]() | |
태어난 | 영국 런던 | 22 1866년 7월
죽은 | 1917년 6월 27일 | (50세)
교육 | 작성자, 편집자 |
데이비드 제임스 오도노후(David James O'Donoghue, 1866년 7월 22일 ~ 1917년 6월 27일)는 아일랜드 전기 작가 겸 편집자였다.
초년기
데이비드 제임스 오도노휴는 1866년 런던의 첼시에서 아일랜드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나 첼시의 한스 타운 지역에서 자랐다.[1] 그는 주식회사 킬워스에서 온 벽돌공 존 오도노휴의 아들이었다. 코크,[2][3] 그리고 Co에서 온 브리짓 그리핀. 십이지장.[4] 그는 9명의 아이들 중 셋째였고, 토마스, 존, 제임스, 에드먼드 등 4명의 형제와 메리, 엘렌, 캐서린, 아그네스를 두었다. 그는 언론인이자 작가가 되기 전, 열여섯 살 때부터 업홀더의 견습생이었다.[5]
경력
그는 가톨릭 학교에 다녔고 대영박물관에서 자신의 교육을 받았다. 그는 아일랜드 음악, 미술, 문학에 관한 주제에 관한 더블린 논문을 쓰는 것으로 저널리즘적인 작업을 시작했다. 런던 아일랜드 문학협회의 창립자였던 그는 전국문학협회 더블린 부회장과 인명사전 《아일랜드의 시인》(1891–93; 개정판, 1912)의 편찬자로 2000여 명의 저자를 대상으로 한 글을 남겼다. 그는 또한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다.
- 19세기 아일랜드 시 (1894년)
- 아일랜드의 유머 (1894; 신판, 1911)
- 1300명의 아일랜드 예술가 목록(1894)
- 제임스 클래런스 망간(1897)의 생애와 글
- 아일랜드 음악 모음집 목록(1899년)
- 아일랜드 능력 지리적 분포 (1906)
오도노휴는 J. F. 랄로르의 저술(1895년)과 윌리엄 칼턴의 아일랜드 농민의 특성과 이야기(4권, 1896년–97년) 판을 출간했다. 그는 사무엘 러버(6권, 1898–99)의 작품과 산문 작품(1903)과 제임스 클래런스 만건의 시(1904)를 편집했다. 그는 윌리엄 칼튼(1896년)과 리처드 포크리치(1899년), 로버트 에밋(1902년)에 관한 전기를 썼다.
1896년에 그는 더블린으로 이사했다. 1909년 그는 대학 더블린의 사서가 되었다. 그는 길버트 도서관(Dublin; 1918)의 카탈로그 공동 편집자였다.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는 자서전(1938년)에 그에 대해 썼다.
그는 1917년 6월 27일에 죽었다.[6]
메모들
- ^ The Catholic Encyclopedia and its Makers. The Encyclopedia Press. 1917. p. 127. Retrieved 24 September 2021 – via archive.org.
- ^ 1861년 잉글랜드 웨일스 인구 조사
- ^ W.B.의 자서전 예이츠
- ^ 1911년 잉글랜드 웨일스 인구 조사
- ^ 1871-1911 잉글랜드 웨일스 인구 조사
- ^ 더블린 다이어리 - 더블린헤리티지에서.ii 2007년 6월 28일 웨이백 기계에 보관
외부 링크
![]() | Wikisource는 다음과 같은 원작을 가지고 있다. 데이비드 제임스 오도노후 |
Wikimedia Commons의 David James O'Donoghue 관련 미디어
- 아일랜드 문학의 동반자
- 이 문서는 공개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cite encyclopedia}}
누락되거나 비어 있음(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