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미에라자상아목

Dampiera purpurea
감미에라자상아목
Dampiera purpurea.jpg
과학적 분류 edit
킹덤: 플랜태
클래드: 기관지동물
클래드: 안기오스페름스
클래드: 에우디코츠
클래드: 별자리
순서: 아스테랄레스
패밀리: 구데니아과
속: 감미에라
종:
D. 자줏대
이항식 이름
감미에라자상아목
동의어
  • 감미에라 바이콜러 드 브리즈
  • 감미에라 운둘라타 R.B.
  • 감미에라 브라우니 F. Muell, nom. 불법체류자.
  • 감미에라 멜라노포곤 드 브리스의 이름.불법의
  • 감미에라 브라운관오발리폴리아(R.Br.) 도미니크
  • 감미에라타원숭이 R.B.
  • 감미에라오미사 드 브리즈
  • 감미에라 로툰디폴리아 R.B.
  • 감미에라 브라운관 로툰디폴리아(R.Br) 도미니크
  • 감미에라네르보사 드 브리즈

흔히 산 또는 보라색 댐피라로 알려진 댐피라(Dammiera perpleura)는 호주 동부의 빅토리아, 뉴사우스웨일스, 퀸즐랜드 등이 원산지인 구데니아과에 속하는 하위 스럽이다.봄과 초여름(9~12월)에 꽃망울을 터뜨려 나비, 벌 등의 곤충에 의해 수분된다.경작에 쉽게 적응하여, 감미에라 자줏대는 호주에서 정원 식물로 재배된다.

분류학

다작의 식물학자 로버트 브라운은 1810년 작품 《프로드로무스 플로레 노바에 홀란디아에 et Insulae Van Diemen》에서 Dammiera perpleura를 묘사했다.[2]그것의 종명은 라틴 형용사 자줏대감이다.[3]

설명

댐피에라 자반(Dammiera perpperurea)은 길이가 0.9~6cm(0.35~2.36인치)이고 너비가 0.5~4.2cm(0.20~1.65인치)인 타원 잎에 오보베이트가 있는 1m(3.3ft) 높이의 발기형 다단 식물이다.잎의 줄기와 아랫부분은 고운 털로 덮여 있고 질감이 거칠고, 잎은 성숙하면 털이 없다.이 꽃들은 주로 8월과 1월 사이에 그 종의 고유 범위에서 생산된다.꽃받침 가지 2~3개에서 9개씩 떼를 지어 각각 3~5개의 꽃이 핀다.[4]지름 2.5cm(1인치)에 이르며, 분홍색과 흰색의 꽃들이 기록되어 있지만,[3] 일반적으로 노란색 중심과 함께 파란색 보라색이다.[5]

분포 및 서식지

댐피에라 자반증은 빅토리아, 뉴사우스웨일스, 퀸즐랜드의 스키로필 숲과 히스에서 발생한다.[4]In the Sydney region, it is found under such trees as smooth-barked apple (Angophora costata), yellow bloodwood (Corymbia eximia), red bloodwood (C. gummifera), blackbutt (Eucalyptus pilularis), monkey gum (E. cypellocarpa), silvertop ash (E. sieberi), Sydney peppermint (E. piperita), predominantly on sandstone-based soils but sometimes also clay토양, 그리고 일반적으로 배수가 잘 되는 곳에.연간 강우량은 800~1600mm이다.[5]

생태학

댐피에라 자반증은 산불에 의해 죽임을 당하며, 지상에서 새로운 새싹이 발생한다.이 꽃들은 10개월 안에 꽃을 피울 수 있고, 화재 후 약 2~3년 후에 절정을 이룰 수 있다.그것은 또한 불의 씨앗에 의해 재생된다.[5]

리케니대헤스페리과의 나비들과 유럽의 꿀벌들은 꽃에서 먹이를 찾고 있으며 꽃가루 매개자일 가능성이 높다.[5]

재배

댐피에라 자반증은 아열대 기후에서 시원한 기후에서 자랄 수 있다.재배에 있어서 여러 가지 형태가 반영되어 있는 가변종이다.약간 그늘진 위치를 선호하며, 그것은 또한 완전한 태양에 적응하고 약간의 서리 내성을 가지고 있다.그것은 대부분의 합리적으로 배수된 토양에 적응할 수 있지만 더 무거운 토양에서는 더 활발하다.[3][6]일단 확립되면 건조한 기간에도 견딜 수 있지만 봄과 여름에 꾸준한 수분 공급을 통해 최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6]꽃을 피운 후 가지치기하는 빛은 식물의 모양을 유지시켜 준다.[6][7]식물은 절단이나 분할에 의해 번식할 수 있다.[8]

참조

  1. ^ "Dampiera purpurea". Australian Plant Name Index (APNI), IBIS database. Centre for Plant Biodiversity Research, Australian Government, Canberra. Retrieved 2009-09-17.
  2. ^ Brown, Robert (1810). Prodromus Florae Novae Hollandiae et Insulae Van Diemen. London, UK: Richard Taylor and Company. p. 588.
  3. ^ a b c Elliot Rodger W.; Jones, David L.; Blake, Trevor (1984). Encyclopaedia of Australian Plants Suitable for Cultivation:Volume 3 - Ce-Er. Port Melbourne: Lothian Press. pp. 470–72. ISBN 0-85091-167-2.
  4. ^ a b "Dampiera purpurea". PlantNET - New South Wales Flora Online. Royal Botanic Gardens & Domain Trust, Sydney Australia. Retrieved 2009-09-27.
  5. ^ a b c d Benson, Doug; McDougall, Lyn (1997). "Ecology of Sydney plant species:Part 5: Dicotyledon families Flacourtiaceae to Myrsinaceae" (PDF). Cunninghamia. 5 (2): 330–544.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5-12-23. Retrieved 2017-03-07.
  6. ^ a b c Seale, Allan (1988). Garden Companion to Australian Native Plants. Australia: Reed Books. p. 90. ISBN 0-7301-0187-8.
  7. ^ Greig, Denise (1987). The Australian Gardener's Wildflower Catalogue. Australia: Angus & Robertson. p. 132. ISBN 0-207-15460-0.
  8. ^ Wrigley John W.; Fagg, Murray (1979). Australian Native Plants. William Collins Publishers Sydney, Australia. p. 106. ISBN 0-00-2164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