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니얼 헨들러
Daniel Hendler대니얼 헨들러 | |
---|---|
![]() 2014년 헨들러 | |
태어난 | |
국적 | 우루과이의 |
직업 | 배우, 감독, 시나리오 작가 |
년 활동 | 1996-현재 |
배우자 | 아나 카츠(2007년-현재) |
아이들. | 헬레나 (b. 2008) 라이문도 (b. 2011년) |
다니엘 헨들러(Daniel Hendler, 1976년 1월 3일생)는 우루과이 출신의 영화, 텔레비전, 연극 배우로서 그가 살고 있는 아르헨티나의 극장에서 주로 일하고 있다. 그는 바다 밑바닥, 가족법, 파라노이드, 7단계, 그리고 여러 번 함께 일했던 다니엘 버먼 감독의 로스트 얼라이브와 같은 영화에서 주연을 맡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리오 데 라 플라타 양쪽에서 활동하면서 헨들러는 배우로서의 수상으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2004년에는 로스트 얼라이브에서의 연기로 베를린 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2010년 영화 '노베르토의 마감일'로 시나리오 작가 겸 감독으로 데뷔했다. 헨들러는 25와트 같은 영화로 우루과이 극장에 활력을 불어넣은 배우 세대의 일원으로, 이른바 뉴아르헨티나 극장의 단골 배우 중 한 명이다.[1][2][3][4][5]
초년기
1976년 우루과이 몬테비데오에서 태어난 헨들러는 뷰 ceo 인근 지역에서 자랐으며,[6] 포키토스와 코르돈에서도 살았다.[7] 그는 유대인 유산의 집안에서 자랐다. 그의 아버지는 상인이었고 어머니는 연극광이었다.[8] 헨들러는 젊었을 때 헤브라리카와 축구에서 농구를 하곤 했다. 헨들러는 "나는 유대인 학교에서 공부했고, 내가 그 환경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내가 무엇에 둘러싸여 있고, 무엇을 선택하고 싶었고, 그 가치관으로부터 무엇을 선택하지 않았는지를 더 잘 분별하고 싶은 단계를 거쳤다고 생각한다"[9]고 말했다. 안타깝게도, 그는 다섯 살 때부터 부모님이 별거했기 때문에 두 번의 바 미츠바 의식을 치렀다. 그는 유대인이지만 신앙심이 깊지 않고 신을 믿지 않는다.[10] 14살 때, 그는 몇몇 친구들과 연극을 시작했다.[11]
그는 카톨릭 대학교 몬테비데오 대학의 조교수와 드라마 책임자였다. 1994년에 그는 연기 훈련을 시작했다.[12] 그는 많은 친구들과 함께 "아카파라 엘 522"(여기서 522)라는 연극 그룹을 만들었는데, 이 연극은 일종의 내면의 농담과 말장난의 일종으로 고향에서 버스 노선이 멈추는 곳이다.[13] 이들은 '몬테비데오에서 열린 청소년 연극 경연대회'에 출연해 100여 편의 연극과 경쟁하며 "이후 5편의 작품을 만들었는데, 이 중 3편은 내가 쓰고 연출한 작품이고, 다른 1편은 친구가 만든 작품이며, 나머지 1편은 일행의 친구 같은 레오 마슬리아(Leo Masliah)의 작품"이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12] 그는 '아카파라 엘 522'에 출연하는 동안 음악가 겸 작가 레오 마슬리아와 연계를 맺었으며, 그와 함께 문학 워크샵을 만들고, 그의 이야기 중 하나를 각색했으며, 연극 아불리미아에서 연출을 받았다.[6] 그는 또한 파블로 스톨과 후안 파블로 레미나와 함께 단편 영화를 만들었다.[14]
헨들러는 몬테비데오 건축대학에서 거의 5년을 보냈고,[8] 그 외 몇 년간 연극 훈련을 받았다. 우선 그는 배우가 되고 싶었고, 그 다음에는 음악가(몇 년 동안 기타를 공부했고),[6] 그 후에는 건축가가 되고 싶었지만, 마침내 연기를 하기로 결정했다. 배우로서 그의 첫 경험 중 하나는 연극 '롬피엔도 코디고스'에서였다.[6]
그의 주요 영향으로는 로베르토 존스, 로베르토 폰타나, 월터 레이노, 호르헤 볼라니,[15] 파블로 스톨, 후안 파블로 리브나를 들 수 있다.[1]
경력
2001년 부에노스아이레스 국제 인디펜던트 시네마 페스티벌에서 우루과이 영화 25와트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면서 "아주 좋은 상이었고, 어쩌면 가장 예쁜 상이었을지 모르지만, 내 경력에 있어서 어떤 의미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쩌면 아무것도 아닐지도 모른다. 25와트(Watts)로 작업한 것이 나와 내 경력에 중요했기 때문에 큰 의미가 있었던 것은 큰 의미가 있었다."라고 헨들러는 말했다.[16] 25와트에서 헨들러는 몬테비데오의 한적한 동네에서 온 젊은이를 연기한다. 그는 뚜렷한 방향도 없이 방황하면서 동시에 이탈리아어 시험을 위해 공부해야 하고 그의 가정교사를 짝사랑한다. 2000년 매우 낮은 예산으로 촬영된 이 영화는 우루과이 영화를 다시 활성화시켰고, 유럽에서 받은 상(국제영화제 로테르담 최우수작품)에 힘입어 우루과이 영화계의 새로운 무대의 시작을 알렸다.[1][2] 헨들러는 개봉 후 거의 10년이 지난 지금 한 인터뷰에서 "팔라시오 살보라는 짝을 제출하지 않은 우루과이 영화와 그 산책로가 존재의 정당성으로 어떤 동네 남자들의 이야기라는 것은 참신했다"고 말했다.[2]
이미 여러 편의 단편 영화와 장편 영화에 출연했지만, 그는 2002년 아르헨티나에서 통신 회사인 텔레포니카의 광고로 유명해졌고,[17] 몇 년 후에 인정받게 될 캐릭터인 월터를 연기했다.[18] 그 후 헨들러는 '잃어버린 포옹'에서의 작품과 '바다 밑바닥을 위한 라틴 아메리카 영화제'에서의 남우주연상으로 베를린 국제영화제에서 은곰상을 수상했다. 바텀 오브 더 씨(2003)에서 헨들러는 자신이 바람을 피우고 있다고 의심하는 여자친구의 정신분석학자를 쫓는 편집증적 건축학 학생 역을 맡았다.
"그렇지 않다면 연기에 관여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의심의 여지 없이 내가 좋아하는 부분이 있다. 어떤 일이 일어나느냐 하면 자신에게 오는 인기는 항상 기대했던 것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즉, 자신이 그렇게 느껴질 때 환영을 받고 싶어하는 것이다. 하지만 나는 결코 그런 고통을 겪지 않았다. 왜냐하면 나는 엄청난 인기의 선을 넘은 적이 없기 때문이다. 사랑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늘이 진다는 것을 배우기는 어렵다. 즉, 이상적인 인기는 없으며, 많은 사람들이 당신을 사랑하게 될 것과 마찬가지로, 많은 사람들이 당신을 거부할 것이라고 추측해야 한다."
—Hendler on popularity[19]
헨들러는 다니엘 버먼의 작품에 단골로 등장한다.[20] '천국에 가는 모든 스튜어디스'(택시운전사 역할)에서 잠시 역할을 맡은 것 외에 '메시아를 기다리며'(2000년), '잃어버린 포옹'(2004년), '가족법(2005년) 등에서 활동했다. 이 세 편의 영화에서 그의 등장인물들은 버만의 분신이라고 여겨지는 "아리엘"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21] 이것은 로스트 얼라이브에서 가장 눈에 띈다. 헨들러는 실제 생활에서처럼 폴란드의 조상을 연구하여 여권을 얻고 유럽으로 이민을 가는 젊은 유대인 역할을 한다.[22][23] 그 질문에 헨들러는 내가 버만의 분신이라고 느끼지 않는다고 말했다.[15]
버만과 헨들러는 1998년 처음 감독 마르코 베치스와 함께 차고 올림포의 배우를 찾고 있는 우루과이 극장을 방문했을 때 만났다.[23] 그들은 배우 월터 레이노를 보러 갔고,[24] 같은 연극에서 아마추어라는 제목의 헨들러였다. 헨들러 공연이 끝난 후, 그들은 디지털 카메라로 바에서 캐스팅을 했는데, 버먼은 유대인 역을, 헨들러는 나치 역을 맡았다. 마침내 그는 차고 올림포의 역할을 얻지 못했지만, 몇 달 후 버먼은 메시아를 기다리게 하기 위해 그를 불렀다.[23]
2007년 《파라노이드》는 헨들러가 영화 '바텀 오브 더 바다' 촬영 중 헨들러를 만난 영화감독 가브리엘 메디나를 바탕으로 은둔하고 억압받는 아동 파티 연예인 루치아노를 연기하며 개봉했다.[25] 뉴욕타임스(NYT)의 스티븐 홀든 평론가는 분노에 찬 신경질적인 자기 사색에 대해 헨들러 씨는 루치아노를 너무나 사랑스런 패배자로 만들어 자신을 극복하도록 응원한다고 썼고,[26] 박스오피스는 헨들러는 루치아노의 근심의 핵심인 성공에 대한 두려움을 포착했다고 썼다.[27]
'파라노이드'에 이어 헨들러는 시리즈 '무예르 아세시나스('킬러 우먼스')'의 에피소드에 출연하며 텔레비전에 첫 침입을 했고, 2008년에는 코미디 시리즈 '아퀴 노 건초 퀴엔 비바'에서 로만이라는 이름의 게으른 관리인을 연기하는 모습이 목격되기도 했다. 헨들러는 클라린과의 인터뷰에서 "텔레비전을 하고 싶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그 길을 가지 않은 것이 점점 나를 짓누르고 있었다"[19]고 말했다.
작가 겸 감독으로서 그의 첫 작품은 노베르토의 마감(2010년)으로, 노베르토라는 수줍고 실직한 세일즈맨이 자신에 대한 자신감을 얻기 위해 연기 공부를 시작한다. 시나리오 작가로서, 그는 이전에 다니엘 버만의 엘니도 바시오(2008)의 대본을 공동 작업한 적이 있다. 이 영화는 우루과이에서 촬영되었고 Rio de la Plata의 양국에서 제작되었다. "내가 선택한 제작진은 내 '꿈의 팀'이다. 국적을 넘어 같이 일하기를 꿈꿨던 사람들이다. 그리고 결국 우루과이와 아르헨티나의 혼합물인 매우 혼합된 팀이 되었다."라고 헨들러는 말했다.[28] 그는 "영화 제작을 공부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많은 경우 우리는 영화의 문제가 기술적인 지식 위에 있다는 가정에서부터 시작하지만, 기술적인 규칙은 가장 빨리 배우고 여러분이 가장 적게 사용하는 것이다. 특정 자원 사용 경험은 당신이 상상한 것을 스크린으로 전송할 때 가능한 해결책이나 바로 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지식이 많으면 많을수록 쉽게 도달할 수 있지만, 영화적 기법에 대한 '진리'는 감독으로서 가장 쉽게 풀 수 있는 것이다. 이미 할 줄 아는 것도 있었고, 그렇지 않은 것도 있었고, 영화마다 네가 보고 있는 것에 의존하는 것도 있었다."[29] 2003년까지 헨들러는 "10시에 하루가 끝난다"라고 불리는 난해한 이야기를 쓰기 시작했다. 그는 그 이야기를 일축했지만, 마침내 그 이야기가 노르베르토의 마감일이 될 때까지, 점점 더 유명해지기 시작한 역할인 노르베르토라는 인물을 포함한 또 다른 앙상블 영화 "The Move"[30]에 등장인물들이 보관되었다.
다니엘 헨들러는 2012년 텔로노벨라 졸드도스에서 안드레스 고데저 역을 맡아 큰 성공을 입증했다. 이 작품으로 타토상과 마르틴 피에로상을 받았다.
헨들러는 영화와 TV에서의 작품 외에도 무대 배우로서도 "거기가 내가 더 편하고, 네가 진짜 배우라는 느낌이 드는 곳이야. 그는 "텔레비전이나 영화에서는 배우가 되기 위해 연기하지만, 극장에서는 모든 도구를 가지고 연기한다"고 말했다.[16]
사생활
헨들러는 2007년 아르헨티나 영화감독 아나 카츠와 결혼했다.[19] 이 커플은 딸이 있었고, 헬레나는 2008년에 태어났다.[6] 몬테비데오에서 부에노스아이레스로 이주하여, 그의 시간을 파르케 센테나리오와 몬테비데오로 나눈다.[8][19] 그는 아르헨티나 시민권을 취득하지 않았다.[6]
필모그래피
영화들
- 메시아를 기다리는 중(2000년)
- 25와트(2001)
- 천국에 가는 모든 스튜어디스(2001)
- 사바도(2001)
- 엘오조엔라누카(2001)
- 사베노 콘테스타(2002)
- 바다 밑바닥(2003)
- 로스트 얼라이언스(2004)
- 위스키(2004)
- 로스 자살리다스 (2005년
- 퀸즈(2005)
- 라페레라(2006)
- 라 노비아 에란테(2006)
- 카라 데 케소(2006)
- 가족법(2006)
- 라 론다(2008)
- 파라노이드(2008)
- 카베사아프레미오(2009)
- 7단계(2011년)
- 로스 마르치아노 (2011년)
- 미 프리메라 보다(2011년)
- 계곡 사이(2012년)
- 비노파라로바르(2013년)
- 에디피시오 타투아페 마할(2014년)
- 공원에서 온 내 친구 (2015)
- 히조스 누에스트로(2015년)
- 알 보르드 (2016년)
- 엘오트로 헤르마노(2017년)
- 세베리나 (2017년)
- 머니체인저(2019년)
- 더 슬립워커 (2019)
- 침입자(2020)
텔레비전
- 무예르 앙 로호: 데스페다(2003)
- 신코디고(2004) (미인증)
- 에피타피오스(2004) (미니시리즈)
- 아퀴노 건초 퀴엔 비바(2008)
- 무예레스 아세시나스(2008)
- 파라 베스티르 산투스 (2010)
- Cuando me sonrees(2011년)
- 로스우니코스(2011년)
- 텔레비시온x라벤투시온(2011년)
- 졸업파도스(2012년)
감독
- 노르베르토의 기한(2010년) (서면)
참조
- ^ a b c Joel Rosenberg (December 7, 2011). "Sería un sueño dirigir a Maslíah de protagonista". 180.com.uy (in Spanish). Retrieved December 17, 2011.
- ^ a b c "El lado oculto" (in Spanish). November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6, 2012. Retrieved December 17, 2011.
- ^ "Daniel Hendler: Norberto apenas tarde". www.cine.ar (in Spanish). July 14, 2009. Retrieved December 13, 2011.
- ^ ""Norberto apenas tarde", el debut de Daniel Hendler como director, en BAFICI". exitoina.com (in Spanish). July 14, 2009. Retrieved December 13, 2011.
- ^ Diego Batlle (October 20, 2011). "Norberto apenas tarde, de Daniel Hendler". www.otroscines.com (in Spanish). Retrieved December 13, 2011.
- ^ a b c d e f Fabian Romero (November 15, 2010). "Norberto, apenas tarde". besijue.com (in Span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6, 2012. Retrieved December 17, 2011.
- ^ "Idealizan a Mujica pero no lo votarían". El País (in Spanish). May 15, 2011. Retrieved December 17, 2011.
- ^ a b c Fabiana Scherer (March 19, 2006). "Daniel Hendler: en la era de la adultez". La Nación (in Spanish). Retrieved December 17, 2011.
- ^ Johana Klinkovich. "Entrevista a Daniel Hendler: "Me gusta trabajar, pero también tomar mate entre toma y toma"". www.delacole.com (in Spanish). Retrieved December 17, 2011.
- ^ "UN PREMIADO ACTOR URUGUAYO - Daniel Hendler". www.montevideo.com.uy (in Spanish). July 7, 2004. Retrieved December 17, 2011.
- ^ 툴루즈의 다니엘 헨들러(비디오)
- ^ a b "Daniel Hendler, datos biográficos". Clarín (in Spanish). October 18, 2006. Retrieved December 4, 2011.[영구적 데드링크]
- ^ "Daniel Hendler: "Me gusta ser el centro"" (PDF). América Late (in Spanish). August 27,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April 4, 2012. Retrieved December 17, 2011.
- ^ Mariano Lopez (2011). "Interview for Segunda Pelota" (in Span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2, 2011. Retrieved December 17, 2011.
- ^ a b Eliana Sosa (April 2, 2004). "Daniel Hendler: "Este momento social es como una guerra mundial"". LaRed21 (in Spanish). Retrieved December 17, 2011.
- ^ a b Patricia Pujol (October 11, 2011). "Jugar a ser actor". Sala de espera (in Span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6, 2012. Retrieved December 17, 2011.
- ^ "Biografía de Daniel Hendler" (in Spanish). Retrieved December 17, 2011.
- ^ "El cine nacional está en estado delicado". El País (in Spanish). May 15, 2011. Retrieved December 17, 2011.
- ^ a b c d Steve Ramos (January 28, 2008). "Daniel Hendler: "No pretendo convertirme en comediante"". Clarín (in Spanish). Retrieved December 17, 2011.
- ^ Jaime Galeano. "Burman-Hendler: Lazos Familiares". Revista Sudestada (in Spanish). Retrieved December 17, 2011.
- ^ Josefina Sartora (2003). "EL ABRAZO PARTIDO". Cineismo.com (in Spanish). Retrieved December 17, 2011.
- ^ "El Abrazo partido de Daniel Burman". Commeaucinema.com S.A. (in Spanish). Retrieved December 17, 2011.
- ^ a b c Cecilia Sosa (March 21, 2004). "Los tres mosqueteros". Página/12 (in Spanish). Retrieved December 17, 2011.
- ^ "El trabajo y el placer". LaRed21 (in Spanish). Retrieved December 17, 2011.
- ^ Miguel Frias (October 21, 2008). "Daniel Hendler-Jazmín Stuart: El amor y la fobia". Clarín (in Spanish). Retrieved December 17, 2011.
- ^ Stephen Holden (January 21, 2010). "Rooting for Lovable Loser in a Furry Purple Suit".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December 17, 2011.
- ^ Steve Ramos (January 19, 2010). "Argentine Gabriel Medina makes a striking debut with this hip comedy - The Paranoids". Boxoffi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7, 2012. Retrieved December 17, 2011.
- ^ Yessika Miglierina. "Cine uruguayo: Hendler en buena hora" (in Spanish). Retrieved December 17, 2011.
- ^ Ernesto Muniz (October 1, 2010). "Hendler, justo a tiempo". Montevideo Portal (in Spanish). Retrieved December 17, 2011.
- ^ Daniela Espejo (May 16, 2011). ""Norberto apenas tarde", de Daniel Hendler. Actor al mando". Cinestel (in Spanish). Retrieved December 17, 2011.
외부 링크
- 다니엘 헨들러 IMDb
- Daniel Hendler Cinenacional.com (스페인어) (199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