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바오 강
Davao River다바오 강
| |
---|---|
다바오 강 하구 | |
네이티브 이름 | 일로그응 다바오 (타갈로그) |
위치 | |
나라 | ![]() |
지역 | |
주 | 부키드논 |
물리적 특성 | |
출처 | |
• 위치 | 산 페르난도, 부키드논 |
입 | 다바오 만 |
• 위치 | 다바오 시 |
• 고도 | 0m(0ft) |
길이 | 170km(110mi) |
분지크기 | 1,623 km2(627 sq mi) |
방전 | |
• 위치 | 다바오 만 |
• 평균 | 80m3/s(2,800 cu ft/s) |
분지형상 | |
지류 | |
• 왼쪽 | |
• 권리 | 살루그 강 |
다바오 강은 민다나오 섬에서 필리핀 남부의 배수 분지에 의해 세 번째로 큰 강이다. 총 길이 170km(110mi)의 1,700 평방 킬로미터(660 sq mi) 이상의 면적을 배수한다. 그 지역의 대부분은 고지대에 있다. 하구에 가까운 강 내의 평균 흐름은 초당 70~80세제곱미터(2,500~2,800 cu ft/s)로 추정된다. 기후 유형은 강수량과 온도 및 습도(강우량 = 2600mm, 실제 EVAP 1028mm)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어 연중 비교적 균일하다. 그 지역은 태풍이 거의 오지 않는다.
통계
- 강 길이: 150km(93mi)[1]
- 최대 고도: 1,875m(6,152ft)
- 강우량 평균: 연평균 강수량은 1800mm이다. 비는 1년 내내 고르게 내린다.
지형/토양 유형
평야 및 계곡: 모재:
중간 업랜드:
힐스 앤 마운틴스:
- 카만사 모래흙 롬: 풍화 자갈과 모래가 있는 셰일 및 사암
- 산토양 : 미분화 : 다양한 화성암과 변성암
인구통계학적 특성
- DRW 인구: 800,000명
- 1인당 평균소득 : 가구당 연간 144,039명(2000년 전국 평균)
- 산업 및 농업 총생산: 지역 XI의 경우 641억 페소
- 빈곤선 이하 인구 : 농촌 45%, 도시 27% (남부 민다나오)
- 물 부족 지수 매개변수: 중간(WPI 56-61.9)
토지 이용
분지 안의 지형과 지형은 매우 다양하다. 저지대 도시, 농업, 습지, 맹그로브에서부터 자연 재배지, 농경지, 상류 농업, 일차 숲을 포함한 산악 숲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 지역은 DENR에 의해 77.5%의 임야와 22.5%의 외래 및 일회용지로 분류된다. 이것은 진정한 토지 이용(또는 토지 커버) 분류가 아니다. 상세한 토지 이용은 불가능하다. 정보는 시의 토지이용 종합계획을 포함한 여러 출처에서 얻을 수 있지만, 이 자료는 이론적이어서 바랑게이(지방자치단체의 가장 낮은 계층) 수준의 토지의 현실이나 적합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그러나 도시계획실은 토지이용지도 자료를 수집하고 디지털화하고 있다.
유역에서의 수자원 및 용도
1984년부터 1990년까지 실시된 하천 유량 측정에서는 이 기간 평균 하천 유량이 초당 약 78 입방미터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바오 시의 주요 식수원은 이웃한 탈로모 유역에 있다. 이 원천들은 압박을 받고 있고 다바오 강 유역은 가까운 미래에 물 추상화에 필요할 것 같다.
환경관리국은 하류 타무간 강의 합류 지점부터 하류 하류까지 8곳을 표본으로 추출한다. 다바오 강 하류와의 타무간 강 합류지점에서 DDF 소분류에 이르기까지 만두그 물은 등급 A – 공공 급수 등급 II로 분류된다. 바다까지의 이 지점의 하류는 B급 또는 레크리에이션 워터 클래스 I로 분류된다. 지난 4년간 용존산소에 대한 분석 결과, 품질에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수질 감시로는 강의 오염 수준과 추세를 감시하고 평가하기에 불충분하다.
참조
- ^ 1976년 10월( 페이지 12) "필리핀의 강 베이신스" 국립수자원위원회 발행
- D Hearne, crs, Help to Help UNESCO, 2004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다바오 강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