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브레 리바노스 (에리트레아)

Debre Libanos (Eritrea)
데브레 리바노스 수도원
위치에리트레아 주 세나페
나라에리트레아
디노미네이션에리트레아 정교회
역사
설립됨5세기
설립자아부네 리바노스

Debre Libanos of Ham (or Däbrä Libanos of Šəmäzana, or Debre Libanos of Eritrea) (in Tigrigna: ደብረ ሊባኖስ ካልኣይ ቁዱስ ቦታ ብድሕሪ ደብረ ሲና) is the second-oldest monastery in Eritrea after Debre Sinia.[1] 에리트레아 정교회의 일부다.[2] 수도승들이 밭을 갈 것으로 예상되는 엄격한 수도원이다.[3] 이 수도원은 에티오피아의 다브레 리바노스 수도원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위치

아스마라에서 남동쪽으로 약 150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사적 지역인 안바셰트 겔레바에 있는 슈메자나 주, 오늘날 에리트레아 주 아크켈레 구제이의 남부에 있으며, 아가메 주, 티그라이 주, 아가메 주와 국경에 가깝고 함 마을(오르 아함) 부근에 있다. 함은 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정착지다.[4] 이 위치는 드뷔브굴로 마카다의 현대적인 지역에 있다. 이 수도원은 때때로 다브레 베르크라고도 불린다.[1] 원래 함 마을에 있던 수도원은 나중에 함 고원 아래 절벽 가장자리에 자리 잡은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5][3]

창시자와 시대

바로 이 고대 수도원은 아프리카 악숨 제국의 호른이 기독교로 개종한 지 100년 이내에 선교사 압부나 리바노스(혹은 메트나 메트워스 또는 예스린)가 5세기 말이나 6세기 초에 세운 것으로 전해진다.[6] 이 창시자는 "악수마이트 시대의 가장 중요한 성도 중 한 사람이고 에티오피아에서 수도원주의와 금욕주의의 초기 창시자 중 한 사람으로 유명하다"[6]고 말했다. 그는 현재 에티오피아 정교회에리트레아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 수도원에는 그의 학자인 게들레이 리바노스의 매우 희귀한 복사본이 포함되어 있다.[6] 아프리카 뿔의 많은 수도원이 고대의 것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이것은 실제로 고대로 세워진 몇 안 되는 수도원들 중 하나이다.[7] 랄리벨라 황제로부터 받은 토지 보조금(또는 gʷltlt)의 기록, 즉 섭정명 가브라 마스칼(재위 1181년 ~ 1221년)이 수도원에 땅을 준 기록이 남아 있다.[8] 그것은 아프리카의 뿔에서 현존하는 현존하는 가장 초기 토지 보조금 문서다.[9][1]

도서관

다브레 리바노스 수도원에는 약 84점의 필사본이 있는 중요한 기록 보관소가 있다.[1] 그것은 아프리카 혼의 초기 원고들 중 하나인 "황금 복음서" (또는 벵겔라 베르크)를 포함하고 있다.[10] 이 책은 당시로 거슬러 올라가는 한계주의 토지 헌납에 의해 증명된 13세기 기독교 성서 사복음서의 금속으로 덮인 책이다.

언급

Taˀamməré Maryam (Mary of Mary)에 나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 수도원의 교회 천장에서 기적 같은 물이 떨어졌다고 한다.[11]

아보츠

이것의 초기 전복은 다음과 같다.

  • 테스파 ḥyy or 또는 제나 요안네스, 1209년경
  • 이미 1225년과 1268년까지의 예르드지안네 크르스토스 또는 아에가 메자흐,
  • 1270년 테케테 베한 또는 or나이 므네페스
  • 아스피자 또는 에프레, 1200년대 ~ 1319년
  • 1322년부터 사예 아르앗의 통치[1] 기간까지, ǝ베 아르지아드 또는 크레스토스 아부후, 게브레 크뤼스토스 또는 예르드드반야네 아르지아드.

매장

그것은 또한 아직 연대를 진행 인 미라로 만들어진 60여구의 시신을 보관하고 있다.[4][12] 미라로 만든 시체는 보자기에 싸여 있다가 오늘날 승려들이 입는 똑같은 노란 천과 동물의 가죽으로 단단히 싸여 있다.[5] 완전한 미라로 만든 유골의 몇 가지 표본은 발과 손만 노출되어 있고, 나머지 신체는 완전히 피부에 싸여 있었다. 손과 발에는 피부와 못이 매우 잘 보존되어 있었다. 에리트레아에서 미라의 기원은 이집트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은데, 아바 리바노스(그 곳의 미라들 가운데 시체가 있다고 믿어지는 사람)는 관습이 흔한 이집트를 여행했기 때문이다. 구전 전통에 따르면 에리트레아의 수도원에서 발견된 미라로 만들어진 유골은 이 유골에 거주했던 종교인들의 시체들이다. 미라화의 이유와 실제 관행이 도입된 정확한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구전 전통에 따르면, 기독교를 확장하기 위해 중동에서 알렉산드리아를 거쳐 에리트레아로 오는 승려들과 함께 약 5세기에서 8세기 사이에 이 관습이 소개되었을지도 모른다.

참조

  1. ^ a b c d e 바우시, 알레산드로. "데브라 리바노스." 백과사전 Aethiopica: D-Ha: Vol. 2권, Siegbert Uhlig, 2권, Harassowitz, 2005, 페이지 28–29. 편집.
  2. ^ Abune Libanos Monastery, Debre Werk, HAM part 1, retrieved 2019-10-23
  3. ^ a b sevensecondsaway (2005-04-20). "The Monastic Community of Ethiopia". Tezeta. Retrieved 2019-10-23.
  4. ^ a b 커티스, 매튜 C, 알레산드로 바우시 "함" 백과사전 Aethiopica: D-Ha: Vol. 2권, Siegbert Uhlig, 2, Harrassowitz, 2005, 페이지 980–981 편집.
  5. ^ a b "Debre Libanos of Ham: The ancient and historical monastery ". www.shabait.com. Retrieved 2019-10-23.
  6. ^ a b c 바우시, 알레산드로. "리바노스." 백과사전 Aethiopica: 헤-N: 제3권, 지그버트 어글리그, 제3권, 하라소위츠, 2007, 페이지 558–560이 편집했다.
  7. ^ 캐플런, 스티븐 "몬스터리스." 백과사전 Aethiopica: 헤-N: 제3권, 지그버트 어글리그, 제3권, 하라소위츠, 2007, 페이지 987–993 편집.
  8. ^ 리처드 판허스트, 에티오피아 국경지대 (로렌스빌: Red Sea Press, 1997), 페이지 22, 37
  9. ^ 크럼미, 도널드 "지글트." 백과사전 Aethiopica: D-Ha: Vol.2, Siegbert Uhlig, vol. 2, Harrassowitz, 2005, 페이지 941–942가 편집했다.
  10. ^ 바우시, 알레산드로. "Wahngelae Warq." 백과사전 Aethiopica: O-X: Vol. 4, Siegbert Uhlig, Harrassowitz, 2010, 페이지 1130–1132.
  11. ^ 커티스, 매튜 C, 데니스 노스니친. "굴로 마제다." 백과사전 Aethiopica: D-Ha: Vol.2, Siegbert Uhlig, Vol. 2, Harrassowitz, 2005, 페이지 911–912 편집.
  12. ^ "A glimpse into Mummified Remains from Eritrea". website. Retrieved 2019-10-23.

참고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