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사조직 제거(치과)

Debridement (dental)
괴사조직 제거(치과)
Gingivitis-before-and-after-3.jpg
철저한 기계적 괴사조직 제거 전(위) 및 후(아래) 치아
ICD-9-CM96.54

치과에서 괴사조직 제거술은 치아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치석미적분(타르타르) 축적을 치아 세척으로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1] 괴사조직 제거는 초음파 기구를 사용하여 미적분을 파괴하여 치주칼 메스치료제를 포함한 수공구와 과산화수소 등의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설명

치아 괴사조직 제거술은 치아에 쌓인 플라그미적분(타르타르)을 제거하는 시술이다.[1] 사조직 제거는 개인 또는 전문 치아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전문적 괴사조직 제거 기법에는 초음파 기기(미적분을 파괴하여 제거가 용이하게 됨)의 사용과 더불어 치주용 메스커치료제를 포함한 수공구 사용이 포함된다.[citation needed] 괴사조직 제거는 또한 식염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citation needed]

절차들

치주 주머니

치주 주머니는 질병의 과정에서 형성된다; 그것은 치주 인대의 분리를 초래하는 칭기바의 비정형적인 확장으로 정의된다.[2] PDL은 치아의 뿌리를 지지대 치골에 붙이는 인대다. 이 인대는 밀폐력 흡수를 허용한다. 주머니 안에 플라그가 쌓이면서 스피로체트의 증가로 인한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 치석을 구성하는 박테리아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공격적인 치주염의 경우 치주 주머니 안에서 3종의 주요 세균이 확인되었다. 이 박테리아에는 포르피로모나스 칭기발리스,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어, 액티노바코빌루스 액티노마이템코미탄스 등이 포함된다.[2] 건강한 깅기바는 거의 미생물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부분 코코아 세포와 직선봉으로 이루어져 있다. 병든 깅기바는 스피로체테와 이동봉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플라그와 숙주 염증 반응 사이의 상호작용은 주머니 깊이의 변화를 결정한다.[3] 박테리아 플라크는 괴사세포와 유해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비특정 숙주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 이 과정에서 단백질과 프로스타글란딘이 생성돼 대식세포, 섬유소, 중성미자, 상피세포 등 건강한 조직을 손상시키거나 죽일 수 있다.[2] 결합조직과 모세혈관에 노출되면 미생물이 순환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것은 숙주 보호 메커니즘을 억제하여 뼈의 추가 파괴로 이어진다.[3]

치주 주머니는 관상동맥 팽창이나 무정맥 이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임상적 부착 손실 없이 관상동맥이 부풀어올라 발생하는 주머니는 유사포켓으로 간주된다. 존재하는 뼈의 손실 유형에 따라 결정되는 치주 주머니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수평골손실이 있을 때 보조 주머니가 생기는데, 주머니의 밑부분은 치골뼈까지 관상이다. 주머니 밑바닥이 치골뼈와 비슷한 수직 뼈 손실이 있을 때 불협화음이 생긴다.[4]

치주 주머니의 임상적 징후로는 푸르스름한 빨강, 두꺼워진 징기바, 징기발 출혈, 국소적인 통증, 그리고 어떤 경우에는 분출된다. 치주 주머니는 치주골, PDL, 징기발 조직을 포함한 지지조직의 파괴로 인해 의치가 헐거워지거나 상실될 수 있다. 치주 주머니의 임상 진단은 치과의사 또는 치위생사가 수행하는 전체 구강 치주 탐침을 통해 이루어진다.[2][5]

치주 주머니를 치료하려면 전문적이고 가정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치주주머니의 가정치료에서는 칫솔질을 통한 꼼꼼하고 일상적인 플라그 제거와 치간청소를 포함한다. 전문적 치료에는 괴사조직 제거, 스케일링, 뿌리 평면화를 위한 정기적인 치과 방문이 포함된다. 임상 치료 목표는 파괴적인 병원균이 들어 있는 관상동맥판과 부조화판을 제거하여 염증성 질환을 억제하는 것이다. 일관되고 완전한 바이오필름 제거로 감염을 막을 수 있고 건강한 치주검을 달성할 수 있다.[6]

치주머니의 또 다른 주요 위험요인은 흡연이 주머니의 심각성과 유병률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담배를 끊는 것은 환자들이 담배를 끊고 치주 건강을 이루도록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필요한 개입이다.[5] 흡연은 또한 괴사조직 제거, 스케일링, 뿌리 계획 및 적절한 가정 관리가 완료되면 치료 과정을 지연시킨다.

치주 주머니의 치유는 주머니 깊이의 감소로 나타난다. 염증을 줄여 주머니 깊이를 줄일 수 있지만 큰 변화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치주 주머니 감소가 발생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은 비수술 치주치료(NSPT)와 수술 치주치료 중 하나이다. NSPT는 초기 괴사조직 제거, 스케일링, 뿌리 계획, 항생제 치료 및 구강 건강 교육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재평가 예약 시 NSPT로 치주 주머니 깊이를 제어하고 유지하지 못할 경우 수술용 치주 치료가 필요하다.[2] 수술용 치주요법은 주머니의 병리학적 변화를 제거함으로써 환자에게 안정적이고 유지보수가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 준다. 수술 치료의 전반적인 목적은 안정적이고 쉽게 유지될 수 있는 상태를 얻기 위해 주머니 벽의 병원성 명판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것은 치주 재생을 촉진할 수 있다.[2]

치주 스칼러스

전문적인 치주 치료는 초기 괴사조직 제거, 스케일링 및 특정 치주 기구를 통한 뿌리 계획 등을 포함한다. 이 기구들에는 기계적인 괴사조직 제거에 사용되는 파일, 치료제, 산후조영제, 미니조영제 등이 포함된다. 치주악기의 판크는 단단할 수 있는데, 이것은 무겁고 끈기 있는 미적분학에서 더 잘 작동하거나 미세 조정과 경량적립을 위해 유연할 수 있다.[7]

치주파일은 더 크고 끈질긴 퇴적물을 으스러뜨려 메스, 치료제 또는 초음파 메스로 더 많은 괴사조직이 제거될 수 있도록 준비하는데 사용된다. 베이스에 일련의 블레이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루트 계획과 미세한 스케일링에는 적합하지 않다.[7] 범용 치료제는 쌍으로 된 미러 작업 끝과 둥근 발가락을 가진 이중 엔드 기구다. 이러한 기구는 치주 주머니의 뿌리 표면을 포함하여 치아의 모든 표면에 사용할 수 있다.[8] 그레이시 트리트에는 면적에 따라 더 강하고 단단한 쐐기와 각이 있는 작업용 칼날이 있다. 오프셋 블레이드는 더 큰 적응을 허용하기 때문에 하위징 스케일링 및 루트 평면화에 가장 적합하다.[7] five는 gracy's와 유사하지만, 더 깊은 주머니(>5mm)로 확장될 수 있도록 확장된 쐐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five는 gracy's와 유사하다. 그들은 또한 무겁거나 끈질긴 미적분학을 위한 더 얇은 날을 가지고 있다.[7] 미니 파이브는 날이 절반 길이로 되어 있어 애프터파이브를 개조해 깊은 주머니, 퍼클, 발달용 그루브, 선각 등에 쉽게 삽입하고 적응할 수 있다. 그들은 또한 조직 외상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한다.[7] 초음파 스칼러는 타원 운동으로 움직이며 절삭 가장자리가 없다. 초당 3,000~8,000 사이클의 주파수로 작동하며 자력발광 또는 피에조 전기 기술을 사용해 플라그와 미적분 제거와 동시에 운전자의 손목 피로도 줄여준다.[9]

참고 항목

참조

  1. ^ a b Page, RC; Schroeder, HE (1976). "Pathogenesis of inflammatory periodontal disease. A summary of current work". Laboratory Investigation. 34 (3): 235–49. PMID 765622.
  2. ^ a b c d e f Newman, Michael G. (2012). Carranza’s Clinical Periodontology. St. Louis: Saunders/Elsevier.
  3. ^ a b Boyd, Linda D.; Giblin, Lori; Chadbourne, Dianne (2012). “Bi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diabetes mellitus and periodontal disease: State of the evidence”. Can J Dent Hyg. 46: 93-102.
  4. ^ Nield-Gehrig, Jill S.; Willmann, Donald E (2011). Foundations of Periodontics for the Dental Hygienist.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5. ^ a b Newman, Michael; Takei, Henry; Klokkevold, Perry; Carranza, Fermin (2015). Carranza’s Clinical Periodontology. St. Louis: Saunders/Elsevier.
  6. ^ Arabaci, Taner; Cicek, Yasin; Canakci, Cenk F. (2007). “Sonic and ultrasonic scalers in periodontal treatment: a review”. Int J Dent Hyg. 5: 2-12.
  7. ^ a b c d e Nield-Gehrig Jill (2012). Fundamentals of Periodontal Instrumentation & Advanced Root Instrumentation.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8. ^ Darby, Michele; Walsh Margaret (2015). Dental Hygiene: Theory and Practice. St. Louis: W.B. Saunders Company.
  9. ^ "Drisko CL, Cochran DL, Blieden T, Bouwsma OJ, Chen RE, Damoulis P, Fine JB, Greenstein G, Hinrichs J, Somerman MJ, Lacono V, Genco RJ (2000). Position paper: sonic and ultrasonic scalers in periodontics. J Periodontal. 71: 1792-801". {{cite journal}}: Cite 저널은 필요로 한다. journal= (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