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의 거부
Denial of Violence폭력 거부: 오스만 제국과 터키의 아르메니아인에 대한 과거, 터키의 현재와 집단 폭력, 1789–2009는 터키의 사회학자 파트마 뮈게 괴섹의 2015년 저서로, 18세기부터 21세기까지 오스만 제국과 터키의 아르메니아인에 대한 국가 지원 폭력의 부정, 정당화, 합리화를 다루고 있다.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과 [1][2][3]터키에서의 끈질긴 부정의 동맹이다.이 책에서 제기된 주장 중 하나는 아르메니아인 대량학살이 터키 공화국의 창설을 가능하게 한 근본적 폭력 행위이며, 터키가 계속 부인하는 것은 터키 민족국가의 이념적 기반이라는 것이다.이 책은 방대한 연구와 방법론적인 혁신으로 평론가들로부터 찬사를 받았지만, 일부는 이 주제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밀도가 높고 읽기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발행 이력
괴첵은 2015년 [5]옥스퍼드 대학 출판부에서 출판된 이 [4]책을 연구하고 집필하는 데 12년을 보냈다.
내용
괴체크는 주로 터키인인 307명의 저자들이 쓴 356권의 회고록을 분석하면서 이들이 집단적인 반(反)아르메니아 [6]폭력에 대해 말하고 있는 내용을 분석했습니다.그녀는 이 작품들을 선정하지 않고 대신 "1928년 라틴어 대본 개혁 이후 터키어로 인쇄된 모든 책들을 체계적으로 읽었다"며 "1789년부터 2009년까지 일어난 일에 대한 사람들의 기억을 담고 있다"[4]고 말했다.괴섹은 이 체계적인 접근법은 연구자가 그러한 [7]원천에 내재된 편견의 희생양이 되지 않고 소스로서 회고록을 조사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한다.그녀는 주로 오스만과 터키 엘리트들이 "2세기 동안 반(反)아르메니아 폭력 문화"[8][9]를 이해하고 합리화하고 정당화하며 부인한 방식을 조사한다.
그녀는 아르메니아인 집단학살이 터키 민족국가를 만들 수 있었던 근본적 폭력 행위이며, 터키 민족국가의 부정이 그 국가의 [8]이념적 기반이라고 주장한다.그녀는 부정을 하나의 과정으로 분석합니다. 여기서 폭력의 각 에피소드는 이전의 부정들을 바탕으로 만들어지며 추가적인 [7]부정으로 이어집니다.괴체크에 따르면, 부정은 [10]수세기에 걸쳐 집단 폭력을 지속시키는 요소이다.
이 책은 서론, 결론, 그리고 4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폭력의 근원지에 대한 제국적 거부, 1789–1907", "젊은 터키인의 폭력행위 거부, 1908–1918", "초기 공화당의 폭력행위자 거부, 1919–1973", 그리고 "후기 공화당의 폭력에 대한 책임 거부, 1974년"[11]
괴체크는 오스만과 터키의 자료에서 폭력에 대한 그녀의 기록이 "현대 터키인들이 그들의 [9]조상이 말한 과거에서 일어난 일을 인식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희망하고 있다.
접수처
Jo Laycock은 "이 매우 상세한 설명은 결코 쉬운 소개가 아니다"라고 말한다.Göchek는 아르메니아인 대량학살 자체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주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에 기꺼이 관여할 것이라고 가정한다.그러나 전문가에게는 "장학금에 대한 환영"과 "개념적으로나 방법론적으로 정교하다"[9]고 할 수 있습니다.Sossie Kasbarian과 Kerem Oktem은 이 책을 "최고의 장학금" 그리고 "무슬림인에 의한 대량학살에 대한 우리의 지식에 대한 획기적인 공헌"이라고 칭했다.터키 엘리트들과 터키 민족국가를 위한 터키의 근본적인 역할.[12]
역사학자 스테판 이릭은 이 책이 때때로 그녀의 자료들이 잘못된 주장을 할 때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고 비판한다.Ihrig에 따르면, 이 책은 "공식 부정의 거울이 되고 있다"며 터키의 공식 서술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들은 괴섹의 업적을 높이 평가하지 않을 수도 있다.비록 "괴섹의 실험이 완전히 성공하지는 못할지도 모른다"고 하지만, "그 결과로 나온 책은 독자들과 미래의 연구자들에게 엄청난 보물창고를 제공한다"고 말했다.Ihrig에 따르면, 각각의 장은 추가적인 문맥화와 [4]서술과 함께 자신의 책이 될 수 있었다.
터키의 사회학자 아테슈 알티노르두는 괴첵의 "인상적인 연구 범위"와 "많은 독창적인 통찰력"을 칭찬하며, 사회학 및 감정 사회학에서의 회고록 사용에 기여한다.그는 회고록에 담긴 전기적인 내용이 부족하다고 비판하고 있어 자세한 내용은 독자들이 각주를 조사해야 한다.그는 이 책이 "아르메니아인 대량학살을 부정하는 것에 대한 결정적인 연구"이며 "오랫동안"[7] 그렇게 남아있을 것 같다고 결론지었다.
안드레코스 바르나바는 괴체크가 자신을 기소하기 위해 집단폭력 가해자의 말을 사용하는 방법과 그녀의 능숙하고 이론적으로 영감을 받은 분석을 칭찬한다.그러나 그는 대량학살과 인종청소를 구별하지 못하는 점을 비판하며 "독자들은 장들의 길이와 밀도로 인해 지연될 수 있다"고 말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르나바는 이 책을 터키의 폭력과 부정, 그리고 다른 집단 [6]만행을 부정하는 것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꼭 읽어야 할 책"이라고 생각한다.
키스 데이비드 와텐포는 이 책이 "역사와 사회학, 그리고 진정으로 사려 깊고 헌신적인 지식인이 자신과 가족의 [8]과거로 가는 여정"이라고 말한다.Vicken Cheterian은 "폭력 거부는 민족주의 현대화의 어두운 측면을 연구하는데 새로운 관점을 열어줄 독특한 책"이라고 말한다.[10]엘다드 벤-아하론은 이 책이 "대부분 경험적 연구에 대한 미묘한 해석을 제공하여 이 주제에 대한 학문의 상당한 격차를 메우는 탁월한 논문"이라고 말한다.그는 괴첵의 "특출난 책"이 대량학살 연구, 특히 가해자 [1]연구에 대한 학자들이 읽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 책은 또한 폭력 행위에 [6][7]대한 최근의 저작들에 대한 언급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고, 이 책의 결론은 [1]도덕성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어워드
레퍼런스
- ^ a b c Ben-Aharon, Eldad (2017). "Denial of Violence: Ottoman Past, Turkish Present, and Collective Violence Against the Armenians, 1789–2009. By Fatma Müge Göçek". Journal of Social History. doi:10.1093/jsh/shw140.
- ^ Usitalo, Steven A. (2017). "Denial of violence: Ottoman past, Turkish present, and collective violence against the Armenians, 1789–2009 by Fatma Müge Göçek,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xviii + 656 pp., US$78.00 (hardback), ISBN 978-0-199-33420-9". Canadian Slavonic Papers. 59 (3–4): 428–430. doi:10.1080/00085006.2017.1377444.
- ^ Polláková, Ľubica (2015). "Denial of violence: Ottoman past, Turkish present, and collective violence against the Armenians, 1789–2009. By Fatma Müge Göçek". International Affairs. 91 (3): 651–652. doi:10.1111/1468-2346.12307.
- ^ a b c Ihrig, Stefan (2017). "Denial of Violence—Ottoman Past, Turkish Present, and Collective Violence against the Armenians, 1789−2009 Fatma Müge Göcek". Holocaust and Genocide Studies. 31 (3): 497–499. doi:10.1093/hgs/dcx048.
- ^ 괴섹 2015, 제목 페이지.
- ^ a b c d Altinordu, Ateş (2016). "Denial of Violence: Ottoman Past, Turkish Present, and Collective Violence against the Armenians, 1789–2009". Contemporary Sociology: A Journal of Reviews. 45 (3): 309–311. doi:10.1177/0094306116641407r.
- ^ a b c Watenpaugh, Keith David (2017). "Fatma Müge Göçek. Denial of Violence: Ottoman Past, Turkish Present, and Collective Violence against the Armenians, 1789–2009; Ronald Grigor Suny. "They Can Live in the Desert but Nowhere Else": A History of the Armenian Genocide".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122 (2): 478–481. doi:10.1093/ahr/122.2.478.
- ^ a b c Laycock, Joanne (2015). "Review of 'Denial of Violence: Ottoman Past, Turkish Present and Collective Violence against the Armenians, 1789-2009'". Reviews in History. doi:10.14296/RiH/2014/1809.
- ^ a b Cheterian, Vicken (2016). "Denial of violence. Ottoman past, Turkish present, and collective violence against the Armenians 1789–2009, Fatma Müge Göçek,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pp. 656, US$78.00 (hardback), HC 978-0199334209". Nationalities Papers. 44 (4): 652–654. doi:10.1080/00905992.2016.1158006.
- ^ 괴섹 2015, 목차.
- ^ Kasbarian, Sossie; Öktem, Kerem (2016). "One hundred years later: the personal, the political and the historical in four new books on the Armenian Genocide". Caucasus Survey. 4 (1): 92–104. doi:10.1080/23761199.2015.1129787.
- ^ "Muge Gocek wins Mary Douglas Prize for Best Book 2015 U-M LSA Center for Russian, East European, and Eurasian Studies (CREES)". ii.umich.edu. Retrieved 12 January 2021.
추가 정보
- Göçek, Fatma Müge (2015). Denial of Violence: Ottoman Past, Turkish Present and Collective Violence Against the Armenians, 1789–2009.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33420-9.
외부 링크
- "F. M. Gocek, "Denial of Violence: Ottoman Past, Turkish Present, and…". New Books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