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니스 강
Denis Kang데니스 강 | ||||||||||||||
---|---|---|---|---|---|---|---|---|---|---|---|---|---|---|
![]() 2009년 11월 웨이트인 강모씨(오른쪽 사진) | ||||||||||||||
태어난 | 생피에르, 생피에르, 미켈론 | 1977년 9월 17일 |||||||||||||
기타 이름 | 슈퍼코리안[1] | |||||||||||||
국적 | 캐나다어, 프랑스어 | |||||||||||||
높이 | 5피트 11인치(1.80m) | |||||||||||||
무게 | 185파운드(84 kg; 13.2 st) | |||||||||||||
나누기 | 미들급 라이트 헤비급 | |||||||||||||
리치 | 77.0인치 (197cm)[2] | |||||||||||||
스타일 | 합기도, BJ, 킥복싱, 태권도, 가라테 | |||||||||||||
파이팅 아웃 | 노스 밴쿠버, 브리티시 컬럼비아, 캐나다 퀘벡 몬트리올 | |||||||||||||
팀 | 아메리칸 탑 팀 자하비 MMA 트리스타 체육관 | |||||||||||||
순위 | 브라질 주짓수 3도 블랙벨트 | |||||||||||||
년 활동 | 1998–2013 | |||||||||||||
킥복싱 레코드 | ||||||||||||||
합계 | 1 | |||||||||||||
이김. | 0 | |||||||||||||
손실 | 1 | |||||||||||||
녹아웃으로 | 1 | |||||||||||||
그리다 | 0 | |||||||||||||
종합격투기기록 | ||||||||||||||
합계 | 55 | |||||||||||||
이김. | 35 | |||||||||||||
녹아웃으로 | 15 | |||||||||||||
제출로 | 14 | |||||||||||||
결정으로 | 6 | |||||||||||||
손실 | 16 | |||||||||||||
녹아웃으로 | 6 | |||||||||||||
제출로 | 8 | |||||||||||||
결정으로 | 2 | |||||||||||||
그리다 | 2 | |||||||||||||
경연대회 금지 | 2 | |||||||||||||
다른 정보 | ||||||||||||||
웹사이트 | www.deniskang.com | |||||||||||||
셔독의 종합격투기 기록 | ||||||||||||||
메달 기록
|
데니스 강 | |
한글 | 데니스 강 |
---|---|
한자 | 데니스 姜 |
수정 로마자 표기법 | 데니스 강 |
매쿠네-라이샤워 | 테니시 강 |
데니스 강(한국인: 1977년 9월 17일생)은 캐나다 프로 종합격투기 선수로 가장 최근에 미들급에 출전했다.1998년부터 프로 경쟁자인 강정호는 UFC, PRIDE, DREAM, Impact FC, M-1 Global, K-1 HERORS, ROAD FC, Pancrase에서 경쟁했다.전성기에 그는 세계 최고의 선수들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고 팻 힐리, 마빈 이스트만, 고노 아키히로, 무릴로 루아에게 주목할 만한 승리를 거두었다.
배경
강씨는 생피에르와 미켈롱의 프랑스 해외 집회에서 한국인 아버지와 프랑스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3]그와 그의 가족은 그가 11살이었을 때 카나리아 제도로 이주했고 마침내 1988년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노스 밴쿠버로 이주했다.그들이 밴쿠버에 도착한 지 몇 년이 지난 후, 그는 부모님의 격려로 합기도 수업을 받기 시작했다.강정호는 고등학교 때 브라질 주짓수로 전향한 것은 자위 연습보다 그라운드 경기를 더 잘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종합격투기 경력
초기 경력
강정호의 MMA 경력은 1998년 캐나다 브리티시 콜롬비아 밴쿠버에서 열린 Ultimate Warrior Challenge에서 시작됐다.강정호는 데뷔전에서 에릭 하라우를 상대로 복종(후방 나체 초크)으로 승리하는 등 성공적인 모습을 보였다.강정호는 데니스 홀맨과 1번도 겨루지 않고 다음 8강전에서 2-5로 승리했다.그는 그의 첫 15번의 싸움에서 7 대 7로 무승부를 기록했고, 몇 번의 설득력 있는 패배를 했다.
이후 6번의 싸움 중 5번의 승리를 거둔 강정호는 한국의 MMA 조직인 스피릿 MC와 계약을 맺었다.데니스는 한국에서 싸우면서 5-0으로 뒤져 스피릿 MC 헤비급 챔피언에 등극했다.이에 따라 데니스는 플로리다로 이적한 뒤 아메리칸 탑 팀에 합류했다.
강정호가 프라이드 파이팅 챔피언십의 관심을 끈 것은 이때였다.강정호는 프라이드(PRIDE)와 계약을 맺고 프라이드 부시도 6에서 데뷔전을 치렀고, 1라운드 4분 24초 24로 일본 상대 오바 다카히로(Oba)를 완파했다.한국의 기치 아래, 데니스는 PRIDE 부시도 10에서 영국인 마크 위어에게 승리를 안겨주며 PRIDE에서의 다음 두 번의 싸움에서 승리를 거두었다.프라이드를 위해 싸우는 사이에 데니스는 미국인 알버트 바스콘셀레스와 싸웠고 개막 벨이 울린 지 12초 만에 그를 쓰러뜨렸다.강정호는 11일 열린 부시도 11라운드에서 프라이드 부시도 웰터급(183lb) 그랑프리 1라운드에서 추트박스의 멤버 무릴로 '닌자' 루아를 15초 만에 따돌리며 연승 행진을 이어갔다.부시도 12에서 데니스는 웰터급 그랑프리 준결승에 진출하기 위해 아르메니아 아마르 술루예프를 리어 나체 초크를 통해 제출하였다.이번 우승으로, 강정호는 지난 19번의 대회에서 18-0-1로 승리했다.그러나 2006년 11월 5일 부시도 토너먼트 준결승전을 통과하여 고노 아키히로를 꺾은 후, 부시도 13에서 결승전에서 미사키 가즈오에게 패했다.강정호는 이날 새벽 고노와의 경기에서 오른쪽 이두근이 찢어졌다.[4]
강정호는 3월 11일 스피릿 MC 헤비급 챔피언십 최정규와의 경기에서 손을 부러뜨린 뒤 2007년 단 한 경기만 치렀다.강정호는 만장일치로 승리했지만 몇 달 동안 경기에 나서지 못했다.[citation needed]
PRIDE의 계약 종료 후, 강정호는 스피릿 MC의 우승을 유지하는 K-1 히어로즈로 이적하였고, 2007년 10월 28일 'K-1 히어로즈 인 서울'에서 K-1 히어로즈 데뷔를 하였다.상대는 아키야마 요시히로(明山)로, 10개월의 정직 처분을 받고 병무청으로 복귀하고 있었다.강정호는 TKO를 통해 패했다.
강정호는 2008년 4월 29일 드림 2: 미들급 그랑프리 2008 1라운드 개막전에서 트라이앵글 초크를 통해 게가드 무사시에게 패했다.
2008년 8월 30일 강정호는 1라운드 1:31의 스트라이크로 김재영을 TKO로 꺾고 스피릿 MC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지켰다.[5]
강정호는 2008년 10월 25일 '로우 컴뱃: TKO'에서 UFC의 베테랑 마빈 이스트만을 TKO에 의해 물리쳤다.캐나다 앨버타 주 캘거리의 '구원'그 싸움은 48초 동안 계속되었다.
Ultimate Fighting Championship
강정호는 2009년 1월 17일 앨런 벨쳐를 상대로 발목 부상을 당했음에도 UFC 데뷔전을 치렀다.[6]강정호는 경기를 지배했지만 2라운드 막판 테이크다운 시도 끝에 기요틴 초크로 패했다.
강정호는 UFC 97에서 열린 자비에르 푸파포캄과의 경기에서 만장일치의 판정승으로 만회했다.
강정호는 2009년 11월 14일 UFC 105에서 마이클 비스핑과 맞붙었다.[7]강정호는 비스핑과의 싸움에 대한 인터뷰에서 앤더슨 실바와의 타이틀전을 원한다고 밝혔다.[8]Bisping TKO'd Kang 2라운드.[9]비록 그의 고향인 맨체스터에서 Bisping이 관중들이 가장 좋아하는 선수였고, 강 선수는 야유를 받고 있었지만, 강 선수는 1라운드에서 오른손으로 Bisping을 떨어뜨렸다.[10]강형사는 비스핑을 따라 마루로 나와 제출을 시도했지만, 강형사가 잠시 풀마운트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비스핑은 잘 방어하고 강형사의 공격을 무력화시켰다.[9]비스핑은 2라운드에서 단 한 번의 레그다운을 확보했고, 강인비가 만회하지 못한 캐나다인에게 악랄한 토대를 풀고 찧는 등 싸움의 동력이 바뀌었다.[11]이 싸움은 강정호와 비스핑 모두에게 4만 달러의 보너스 수표를 주며 '밤의 싸움'의 영예를 안았다.[12]
강정호는 2009년 12월 9일 브록 라슨, 롤란도 델가도, 제이슨 덴트와 함께 UFC에서 컷오프를 당했다.강정호는 W1 MMA와 계약을 했고, 2010년 12월 18일 퀘벡 몬트리올에서 그들의 비어있는 미들급 타이틀을 위해 싸울 것이라고 발표했다.
포스트 UFC
데니스는 W-1: 심판의 날에 김대원을 이겼다.[13]강정호는 2010년 7월 18일 임팩트 파이팅 챔피언십 대회에서 전 WEC 미들급 챔피언 파울로 필호와 맞붙었다.[14]그 싸움은 스플릿 무승부로 선언되었다.
데니스는 한국 MMA 프로모션 ROAD FC에 합류해 다연전 비독점 계약을 체결했다.[15]
데니스는 2012년 말 DREAM 18년 새해 전야전 1차전에서 일찌감치 몸쪽 무릎으로 멜빈 마뉴에프에게 패했다.[16]
사생활
그의 막내 동생 줄리앙 강은 대한민국의 배우 겸 모델이다.
선수권 대회 및 성과
종합격투기
- 프라이드 파이팅 챔피언십
- 스피릿 MC
- 스피릿 MC 헤비급(+80kg) 챔피언십(한 번; 마지막)
- 스피릿 MC 그랑프리 2004 챔피언십
- Ultimate Fighting Championship
- 밤의 싸움 (일회)
- 로드 FC
- 밤의 싸움 (일회)
종합격투기기록
전문 기록 분류 | ||
55경기 | 35승 | 16패 |
녹아웃으로 | 15 | 6 |
제출로 | 14 | 8 |
결정으로 | 6 | 2 |
그리다 | 2 | |
경연대회 금지 | 2 |
res. | 기록하다 | 상대 | 방법 | 이벤트 | 날짜 | 둥글다 | 시간 | 위치 | 메모들 |
---|---|---|---|---|---|---|---|---|---|
손실 | 35–16–2 (2) | 멜빈 맨호프 | TKO(몸통) | DREAM 18 | 2012년 12월 31일 | 1 | 0:50 | 일본 도쿄 | |
이기다 | 35–15–2 (2) | 해석손 | KO(펀치) | 로드 FC 8: 비통한 라이벌 | 2012년 6월 16일 | 1 | 4:57 | 대한민국 원주시 | |
손실 | 34–15–2 (2) | 오야마 슌고 | TKO(knees) | 로드 FC 5: 나이트 오브 챔피언스 | 2011년 12월 3일 | 1 | 4:30 | 대한민국 서울 | |
손실 | 34–14–2 (2) | 승배휘 | TKO(knees) | 로드 FC 3: 폭발 | 2011년 7월 24일 | 2 | 3:58 | 대한민국 서울 | |
손실 | 34–13–2 (2) | 제시 테일러 | 제출(후면 나체 초크) | 배틀필드 파이트 리그 8: 아일랜드 비트다운 | 2011년 5월 28일 | 1 | 1:57 | 캐나다 브리티시 콜롬비아 나나이모 | |
이기다 | 34–12–2 (2) | 이은수 | 결정(유니멀) | 로드 FC 2: Alive | 2011년 4월 16일 | 3 | 5:00 | 대한민국 서울 | 라이트 헤비급 시합. |
그리다 | 33–12–2 (2) | 파울루 필호 | 그리기(분할) | 임팩트 FC 2 | 2010년 7월 18일 | 3 | 5:00 |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 |
이기다 | 33–12–1 (2) | 김대원 | 제출(암-삼각 초크) | W-1: 심판의 날 | 2010년 6월 19일 | 1 | 1:49 | 캐나다 퀘벡 주의 라발 | |
손실 | 32–12–1 (2) | 마이클 비스핑 | TKO(몸에 니즈 & 펀치) | UFC 105 | 2009년 11월 14일 | 2 | 4:24 | 잉글랜드 맨체스터 | 밤의 싸움. |
이기다 | 32–11–1 (2) | 사비에르후파포캄 | 결정(유니멀) | UFC 97 | 2009년 4월 18일 | 3 | 5:00 | 캐나다 퀘벡 몬트리올 | |
손실 | 31–11–1 (2) | 앨런 벨처 | 제출(구이틴 초크) | UFC 93 | 2009년 1월 17일 | 2 | 4:36 | 아일랜드 더블린 | |
이기다 | 31–10–1 (2) | 마빈 이스트먼 | KO(펀치) | 원시 전투:속죄 | 2008년 10월 25일 | 1 | 0:48 | 캐나다 앨버타 주 캘거리 | |
이기다 | 30–10–1 (2) | 김재영 | KO(펀치 및 스토프) | 스피릿 MC | 2008년 8월 30일 | 1 | 1:13 | 대한민국 서울 | 스피릿 MC 헤비급(+80kg) 챔피언십 방어 |
손실 | 29–10–1 (2) | 게가드 무사시 | 제출(삼각 초크) | 드림 2: 미들급 그랑프리 2008 1라운드 | 2008년 4월 29일 | 1 | 3:10 | 일본 사이타마 시 | DREAM 미들급 그랑프리 오프닝 라운드. |
손실 | 29–9–1 (2) | 아키야마요시히로 | KO(펀치) | 히어로즈 2007년 한국서 | 2007년 10월 27일 | 1 | 4:45 | 대한민국 서울 | |
이기다 | 29–8–1 (2) | 최정규 | 결정(주요) | 스피릿 MC | 2007년 3월 11일 | 3 | 5:00 | 대한민국 서울 | 스피릿 MC 헤비급(+80kg) 챔피언십 방어 |
손실 | 28–8–1 (2) | 미사키 가즈오 | 결정(분할) | PRIDE 부시도 13 | 2006년 11월 5일 | 3 | 5:00 | 일본 요코하마시 | PRIDE 2006 웰터급 그랑프리 파이널. |
이기다 | 28–7–1 (2) | 고노 아키히로 | 결정(유니멀) | PRIDE 부시도 13 | 2006년 11월 5일 | 2 | 5:00 | 일본 요코하마시 | PRIDE 2006 웰터급 그랑프리 준결승. |
이기다 | 27–7–1 (2) | 아마르 술로예프 | 제출(한 쪽 팔의 목 졸림) | PRIDE 부시도 12 | 2006년 8월 26일 | 1 | 4:10 | 일본 나고야시 | PRIDE 2006 웰터급 그랑프리 8강. |
이기다 | 26–7–1 (2) | 무릴로루아 | KO(펀치) | PRIDE 부시도 11 | 2006년 6월 4일 | 1 | 0:15 | 일본 사이타마 시 | PRIDE 2006 웰터급 그랑프리 개막전. |
이기다 | 25–7–1 (2) | 앨버트 바스콘셀레스 | TKO(펀치) | 스피릿 MC | 2006년 4월 22일 | 1 | 0:12 | 대한민국 서울 | |
이기다 | 24–7–1 (2) | 마크 위어 | TKO(무릎에 복종) | PRIDE 부시도 10 | 2006년 4월 2일 | 1 | 4:55 | 일본 도쿄 | |
이기다 | 23–7–1 (2) | 론 필즈 | 제출(후면 나체 초크) | 절대 격투 선수권 대회 14 | 2005년 12월 10일 | 1 | 2:46 | 미국 플로리다 주 포트 로더데일 | |
NC | 22–7–1 (2) | 로버트 빌레가스 | 콘테스트 금지 | 스피릿 MC | 2005년 10월 29일 | 1 | 0:00 | 대한민국 서울 | |
이기다 | 22–7–1 (1) | 안드레이 세메노프 | 결정(유니멀) | PRIDE 부시도 8 | 2005년 7월 17일 | 2 | 5:00 | 일본 나고야시 | |
이기다 | 21–7–1 (1) | 오바 다카히로 | 제출(암바) | PRIDE 부시도 6 | 2005년 4월 3일 | 1 | 4:24 | 일본 요코하마시 | |
이기다 | 20–7–1 (1) | 알렉세이 베젤로조로프 | 제출(초크) | M-1 MFC: 헤비급 GP | 2004년 12월 4일 | 1 | 1:17 | 러시아 모스크바 | |
이기다 | 19–7–1 (1) | 진호양 | TKO(펀치) | 스피릿 MC | 2004년 9월 11일 | 1 | 0:49 | 대한민국 서울 | 스피릿 MC 그랑프리 2004 파이널; 스피릿 MC 헤비급(+80kg) 챔피언십 우승. |
이기다 | 18–7–1 (1) | 김재영 | 제출(암-삼각 초크) | 스피릿 MC | 2004년 9월 11일 | 1 | 1:38 | 대한민국 서울 | 스피릿 MC 그랑프리 2004 준결승. |
이기다 | 17–7–1 (1) | 하마다 준페이 | 제출(암바) | 스피릿 MC | 2004년 9월 11일 | 1 | 2:35 | 대한민국 서울 | 스피릿 MC 그랑프리 2004 8강. |
이기다 | 16–7–1 (1) | 코부스 후이사멘 | TKO(펀치) | 스피릿 MC | 2004년 6월 12일 | 1 | 1:06 | 대한민국 서울 | |
이기다 | 15–7–1 (1) | 현철조 | 제출(후면 나체 초크) | 스피릿 MC | 2004년 4월 10일 | 1 | 2:06 | 대한민국 서울 | |
이기다 | 14–7–1 (1) | 김형준 | TKO(펀치) | 스피릿 MC | 2004년 2월 7일 | 1 | 1:13 | 대한민국 서울 | |
이기다 | 13–7–1 (1) | 김재영 | TKO(펀치) | 스피릿 MC | 2004년 2월 7일 | 1 | 0:38 | 대한민국 서울 | |
그리다 | 12–7–1 (1) | 안드레이 세메노프 | 그리다 | M-1 MFC: 러시아 vs.월드 7 | 2003년 12월 5일 | 1 | 10:00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 |
이기다 | 12–7 (1) | 스테판 포트빈 | TKO(펀치) | TKO 메이저 리그 MMA | 2003년 9월 6일 | 3 | 2:22 | 캐나다 퀘벡 몬트리올 | |
이기다 | 11–7 (1) | 카이포칼라마 | 결정(주요) | SB 30: 충돌 코스 | 2003년 6월 13일 | 3 | 3:00 |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 | |
이기다 | 10–7 (1) | 브렌단 세긴 | 제출(암바) | SB 30: 충돌 코스 | 2003년 6월 13일 | 1 | 2:24 | 미국 하와이 호놀룰루 | |
이기다 | 9–7 (1) | 키스 로켈 | KO(펀치) | USMMA 3: 분노의 반지 | 2003년 5월 3일 | 2 | 2:59 | 미국 보스턴, 매사추세츠 주 | |
이기다 | 8–7 (1) | 크리스 피크 | 제출(후면 나체 초크) | 월드 프리스타일 파이팅 4 | 2003년 4월 4일 | 1 | 0:57 |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켈로나 | |
손실 | 7–7 (1) | 제이슨 밀러 | 제출(후면 나체 초크) | 익스트림 챌린지 50 | 2003년 2월 23일 | 2 | 1:41 | 미국 유타 주 솔트레이크시티 | |
손실 | 7–6 (1) | 조 독센 | 제출(삼각 초크) | UCC 11: 다음 레벨 | 2002년 10월 11일 | 1 | 4:49 | 캐나다 퀘벡 몬트리올 | |
이기다 | 7–5 (1) | 팻 힐리 | 제출(구이틴 초크) | 링 인 더 링 7 | 2002년 7월 20일 | 1 | 3:42 | 미국 워싱턴 주 오번 | |
이기다 | 6–5 (1) | 셰인 비버 | 제출(암록) | 월드 프리스타일 파이팅 2 | 2002년 7월 20일 | 1 | 3:03 |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켈로나 | |
NC | 5–5 (1) | 데니스 홀먼 | 콘테스트 금지 | 세계 프리스타일 파이팅 1 | 2002년 4월 13일 | 2 | 3:15 |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켈로나 | 홀맨은 실수로 강형사를 헤딩하고 눈 위의 베인 곳을 열었다. |
손실 | 5–5 | 마티 아멘다레스 | TKO(펀치) | IFC WC 15: 워리어 챌린지 15 | 2001년 5월 13일 | 3 | 3:45 | 미국 캘리포니아 주 오로빌 | |
손실 | 5–4 | 시부야 오사미 | 제출(후면 나체 초크) | Pancrase:증명3길 | 2001년 8월 31일 | 1 | 3:52 | 일본 도쿄 | |
손실 | 5–3 | 야마미야 게이이치로 | 결정(주요) | Pancrase:트랜스7길 | 2000년 12월 4일 | 2 | 3:00 | 일본 도쿄 | |
이기다 | 5–2 | 스즈키 미노루 | TKO(뒷 부상) | 팬크라세: 2000년 기념 쇼 | 2000년 9월 24일 | 1 | 3:43 | 일본 요코하마시 | |
이기다 | 4–2 | 로니 카나다 | TKO(펀치) | 서캐나다에서 가장 험난한 곳 | 2000년 3월 18일 | 1 | 4:06 |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켈로나 | |
손실 | 3–2 | 조 슬릭 | 제출(암-삼각 초크) | 익스트림 챌린지 24 | 1999년 5월 15일 | 1 | 5:53 | 미국 유타 주 솔트레이크시티 | |
손실 | 3–1 | 자켄 플린 | 제출(구이틴 초크) | 바스 러튼 인비테이셔널 2 | 1999년 4월 24일 | 1 | 4:07 | 미국 콜로라도 주 리틀턴 | |
이기다 | 3–0 | 톰 볼거 | 제출(삼각 초크) | 1 | 1:55 | ||||
이기다 | 2–0 | 파디 하빕 | TKO(펀치) | 얼티밋 워리어 챌린지 2 | 1998년 11월 1일 | 1 | 0:53 | 밴쿠버, 브리티시 콜롬비아, 캐나다 | |
이기다 | 1–0 | 에릭 하라우 | 제출(후면 나체 초크) | 얼티밋 워리어 챌린지 | 1998년 8월 2일 | 1 | 0:15 | 밴쿠버, 브리티시 콜롬비아, 캐나다 |
킥복싱 레코드
킥복싱 레코드 | ||||||||
---|---|---|---|---|---|---|---|---|
0승 1패 | ||||||||
결과 | 상대 | 방법 | 이벤트 | 날짜 | 둥글다 | 시간 | 위치 | 메모들 |
손실 | ![]() | KO(우측 후크) | 서울 K-1 월드 그랑프리 2004 | 2004년 7월 7일 | 1 | 1:48 | 대한민국 서울 |
제출 그래플링 레코드
결과 | 상대 | 방법 | 이벤트 | 날짜 | 둥글다 | 시간 | 메모들 |
---|---|---|---|---|---|---|---|
손실 | ![]() | 포인트 | (87.9kg 이하) |
참고 항목
참조
- ^ "Denis Kang". MMARising.com. Retrieved April 9, 2009.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10-04. Retrieved 2011-04-14.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Biography". Denis Kang's Official Web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6-13. Retrieved 2008-05-29.
- ^ Bolduc, Justin (November 28, 2006). "Din Thomas - Talks PRIDE and the Future". Nokaut.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7, 2007.
- ^ Sherdog.com. "Kang Stomps Kim, Again". Sherdog. Retrieved 15 May 2017.
- ^ "Yahoo!". kr.news.yahoo.com. Retrieved 15 May 2017.
- ^ "Report: Michael Bisping vs. Denis Kang at UFC 105". Inside Fights. 2009-08-16. Retrieved 2009-08-21.
- ^ "Denis Kang talks Bisping, PRIDE and Anderson Silva". iFight365.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11-15. Retrieved 2009-11-12.
- ^ a b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11-19. Retrieved 2009-11-15.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11-15. Retrieved 2009-11-15.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1][데드링크]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2-05. Retrieved 2010-07-26.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W1-Judgement Day quick Results and updates". mmehfighter.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6-23.
{{cite web}}
: CS1 maint : bot : 원본 URL 상태 미상(링크) - ^ "Paulo Filho faces Denis Kang at Impact FC". Portaldovaletudo.uol.com.b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7-06. Retrieved 2010-05-17.
- ^ "Denis Kang Signs With Korea's Road FC". MMA Fighting. 17 February 2011. Retrieved 15 May 2017.
- ^ "DREAM 18/Glory 4: Special NYE 2012 – Quick Results – Bibiano Chokes Out Maeda, Kang KO'd By Manhoef". TopMMANews.com. Retrieved 2012-12-31.